[국내논문]Thioacetamide로 유발된 간 손상에 대한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추출물의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from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gainst Thioacetam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원문보기
The genus Taraxacum, known by the common name Dandelion, is a medicinal herb in the family Asteraceae. I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due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
The genus Taraxacum, known by the common name Dandelion, is a medicinal herb in the family Asteraceae. I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due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protective effects of Dandelion related with anti-oxidative activity to Thioacetamide (TAA)-induced liver damage. 36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experimental groups : Control, Dandelion water extract (DWE), TAA, TAA&DWE 300, TAA&DWE 600, TAA&DWE 1,200 groups. Rats in DWE and TAA&DWE groups were pretreated with DWE (300, 600 or 1,200 mg/kg BW) by gavage for 7 days. All rats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with TAA (200 mg/kg BW) or normal saline at 12 hours after last oral administration and sacrificed at 12 hours after last treatment. Levels of WBC and Neutrophil count were significantly decresed in TAA&DWE 1,200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AA group (P<0.05). In TAA&DWE 600 and TAA&DWE 1,200 groups, serum AST, ALT, GGT levels were lower than TAA group (P<0.05). The serum TG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AA&DWE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AA group. Liver tissues from TAA group showed extensive histopathological changes, characterized by moderate or severe hepatocytes degeneratio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congestion. In the TAA&DWE group, The severity of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The MD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GSH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AA&DWE 1,200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GR, CAT and GST activities in the TAA&DWE 1,200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The genus Taraxacum, known by the common name Dandelion, is a medicinal herb in the family Asteraceae. I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due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protective effects of Dandelion related with anti-oxidative activity to Thioacetamide (TAA)-induced liver damage. 36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experimental groups : Control, Dandelion water extract (DWE), TAA, TAA&DWE 300, TAA&DWE 600, TAA&DWE 1,200 groups. Rats in DWE and TAA&DWE groups were pretreated with DWE (300, 600 or 1,200 mg/kg BW) by gavage for 7 days. All rats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with TAA (200 mg/kg BW) or normal saline at 12 hours after last oral administration and sacrificed at 12 hours after last treatment. Levels of WBC and Neutrophil count were significantly decresed in TAA&DWE 1,200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AA group (P<0.05). In TAA&DWE 600 and TAA&DWE 1,200 groups, serum AST, ALT, GGT levels were lower than TAA group (P<0.05). The serum TG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AA&DWE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AA group. Liver tissues from TAA group showed extensive histopathological changes, characterized by moderate or severe hepatocytes degeneratio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congestion. In the TAA&DWE group, The severity of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The MD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GSH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AA&DWE 1,200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GR, CAT and GST activities in the TAA&DWE 1,200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TAA grou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가 풍부하게 함유된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Dandelion water extract, DWE)을 랫드에 7일간 경구투여 후 TAA 단회 복강주사를 통해 활성산소종 매개 간 손상에 대한 민들레의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에 널리 존재하고 재배가 용이하여 식품학적 가치와 농업신소재 개발 가능성이 높은 서양민들레(T. officinale)를 재료로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특히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E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이 풍부한 민들레 잎 부분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TAA로 유발된 활성산소종 매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한간 손상에 대한 민들레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민들레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제인 테르펜, 페놀화합물,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민들레를 이용해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랫드에 투여하여 TAA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민들레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TAA 투여 시 증체율의 감소, 중심정맥 주위의 염증세포 침윤과 간세포 괴사가 나타났고, 백혈구 증가 및 AST, ALT 및 GGT의 증가, TG 합성이 감소되었다.
제안 방법
6주령의 Sprague Dawley계 수컷 랫드(Samtako Bio, Korea)를 입수 후 7일간 검역 및 순화기간을 거쳐 순위화한 체중을 이용한 완전임의 배치법에 의해 군 분리를 시행하였으며, 실험기간 중 동물실은 온도 22±2oC,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 조도 150∼300 lux 수준으로 관리하였다.
민들레 추출물(Dandelion water extract, DWE)은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의 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입 후 세척한 민들레 줄기와 잎은 65oC의 공기대류식 건조기에 넣어 24시간 동안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민들레를 분쇄기에 넣고 20 mesh의체를 통과시켜 분말을 제조하였다. 물중탕 및 교반,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응기에 900 g의 증류수와 분말100 g을 넣고 80∼90o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만든 민들레추출물은 여과 후(Watman No.
1과 같다. DWE 투여용량은 랫드의 사료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처리직전 측정한 각 개체의 체중에 따라 DWE를 체중 kg당 15 mL이 되도록 멸균 증류수로 희석하여 경구용 존데를 이용, 7일간 정해진 시간에 급여하였으며, TAA 비처리구의 대조군과 TAA 처리구의 TAA 단독 투여군은 동일 용량의 멸균 증류수를 동일기간 경구투여 하였다. 7일간 DWE 및 멸균 증류수 경구투여가 종료된 후 12시간 경과한 시점에 TAA 비처리구의 대조군과 DWE 단독 투여군은 체중 당 2 mL의 생리식염수를 단회 복강투여 하였으며, TAA 처리구의각 군은 TAA (CAS No.
균질액을 4oC에서11,0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으로부터 지질과산화물인 malondialdehyde (MDA)와 glutathione (GSH)의 농도, glutathione reductase (GR), catalase (CAT), glutathione-S-transferase (GST) 활성을 상용화된 ELISA Kit (Cayman chemical Co,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처리하고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결정하였다.
부검 시간의 한쪽 엽을 분리하여 −70oC에 냉동보관한 간조직을 이용하여 산화적 손상분석을 실시하였다.
염색한 조직표본은 광학현미경으로 저배율(×200)에서관찰하였으며 간 손상 정도는 중심정맥 주변대를 기준으로 염증세포의 침윤 및 간세포 괴사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정상(nomal), 몇몇 부위에서만 관찰될 경우를 경도(mild), 중심정맥주변대의 대부분에서 관찰되나 범위가 국한될 경우 중등도(moderate), 주위 소엽까지 관찰될 때를 고도(severe)로 정의하였다.
적출한 간 조직은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 및 탈수 후 paraffin에 포매하여 4 μm 두께의 미세절편을 제작하였고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DWE 투여용량은 랫드의 사료섭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처리직전 측정한 각 개체의 체중에 따라 DWE를 체중 kg당 15 mL이 되도록 멸균 증류수로 희석하여 경구용 존데를 이용, 7일간 정해진 시간에 급여하였으며, TAA 비처리구의 대조군과 TAA 처리구의 TAA 단독 투여군은 동일 용량의 멸균 증류수를 동일기간 경구투여 하였다. 7일간 DWE 및 멸균 증류수 경구투여가 종료된 후 12시간 경과한 시점에 TAA 비처리구의 대조군과 DWE 단독 투여군은 체중 당 2 mL의 생리식염수를 단회 복강투여 하였으며, TAA 처리구의각 군은 TAA (CAS No. 62-55-5; Sigma Chemical, USA)를 예비실험을 통해 결정한 용량에 따라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단회 복강주사 하였다.
체중은 0.01 g까지 1일 1회 측정하였으며, 최종 체중은 TAA 투여 후 안락사 직전에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섭취량 및 음수량은 매일 1회 잔량을 조사하였다.
01 g까지 1일 1회 측정하였으며, 최종 체중은 TAA 투여 후 안락사 직전에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섭취량 및 음수량은 매일 1회 잔량을 조사하였다.
채혈은 복강투여 종료 12시간 후, 실험동물을 에테르로 마취하여 개복하고 후대정맥을 통해 실시하였다. 각 처리구별 랫드의 혈구성분은 다품종자동혈구 측정기(HEMAVET 850, CDC, USA)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 γ-Glutamyl transpeptidase (GGT), Triglycerides (TG)를 포함한 혈청성분은 자동혈액화학분석기(Dri-chem 4000i, Fujifilm Co.
대상 데이터
민들레 추출물(Dandelion water extract, DWE)은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의 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입 후 세척한 민들레 줄기와 잎은 65oC의 공기대류식 건조기에 넣어 24시간 동안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민들레를 분쇄기에 넣고 20 mesh의체를 통과시켜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밖에도 잎은 뿌리보다 칼륨, 칼슘, 철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C, E의 함량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있다(Kang 등, 2000). 본 연구에서 민들레 추출물은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잎과 줄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결과는 일원분산분석방법으로 평균을 비교하였고 사후 검정은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시행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GraphPad Instat 3.0 (GraphPadSoftware, Inc., La Jolla, CA, USA)를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증체율은 TAA 단독 투여군에서 11.6±3.05%로TAA 비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DWE 저용량 병용 투여군은 17.1±0.93%, 중용량 병용 투여군은16.6±1.32%, 고용량 병용 투여군에서는 17.3±1.48%로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사망한 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호흡수 증가 및 유루, 활동성 저하와 같은 임상증상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TAA 투여 및 DWE 급여가 실험동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투여기간 동안 측정한 증체율은 Fig.
지질과산화산물인 MDA 농도는 TAA 단독 투여군(4.79±0.39 μmol/mg)에서 TAA 비처리구에 비해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01), DWE 고용량군(3.67±0.23 μmol/mg)에서는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
GR, CAT 및 GST 효소 활성치는 TAA 단독 투여군에서 각각 3.88±0.37 units/mg, 59.33±10.84 units/mg, 225.06±19.62 units/mg로 TAA 비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01), TAA 처리구의 DWE 병용 투여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DWE 고용량 병용 투여군에서 각각5.09±0.38 units/mg, 75.79±12.46 units/mg, 272.11±17.17 units/mg로 TAA 단독 투여군과 비교 시 유의성 있게높았다(P<0.05).
GSH 농도는TAA 단독 투여군(2.31±0.29 nmol/mg)에서 TAA 비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P<0.01), DWE 고용량 병용 투여군(2.83±0.17 nmol/mg)에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각 군의 증체율을 비교한 결과, DWE 단독 투여군에서 18.0±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AA 비처리구와 TAA 처리구의 모든 군에서 시험기간 동안 멸균 증류수 및 DWE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은 없었으며, 자발운동저하, 호흡수 이상, 유루 및복와위 등의 특이적 임상증상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각 군의 증체율을 비교한 결과, DWE 단독 투여군에서 18.
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에서 DWE를 고농도로 단독 투여한 군에서 이상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고 실험기간동안 지속적 체중증가를 나타내어 DWE가 실험동물에게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며 고농도로 섭취하더라고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조군에 비해 민들레 추출물급여 시 흰쥐의 증체율이 유의성 있게 증가한 Cho 등(2000)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05). 또한 호중구수치는 TAA 단독 투여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TAA 및 DWE 병용 투여군에서는 용량 의존적으로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DWE 고용량병용 투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러한 결과는 TAA 투여가 간염을 유발시키며, DWE가 TAA에 의한 간 손상을 어느 정도 억제한 것으로 볼수 있다.
혈청 TG 수치는 TAA 단독 투여군(18.00±6.88 mg/dL)에서 TAA 비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DWE 병용 투여군에서 TAA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간 실질 장애 시 합성 부전으로 혈액 내 수치가 감소하게 되는 혈청 TG 수치는 TAA 단독 투여군(18.00±6.88 mg/dL)에서 TAA 비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P<0.001), DWE 병용 투여군에서 TAA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에서도 혈청 AST, ALT 그리고 GGT 수치는 TAA 비처리구에 비해 TAA 처리구의 TAA 단독 투여군(416.33±57.73 IU/L, 134.33±17.01 IU/L, 10.25±0.50 IU/L)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TAA에 의한 간 손상이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50 IU/L)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TAA에 의한 간 손상이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TAA 처리구의 DWE 중ㆍ고용량 병용 투여군에서 ALT, AST 및 GGT는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민들레 추출물이 간 손상을 억제시키기는 하나 저용량에서는 충분히 보호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일정 농도 이상의 DWE 급여 시간 보호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간 실질 장애 시 합성 부전으로 혈액 내 수치가 감소하게 되는 혈청 TG 수치는 TAA 단독 투여군(18.
간 조직검사에서 대조군과 DWE 단독 투여군 간조직검사에서 중심정맥 주변의 염증세포 침윤과 간세포 괴사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TAA 단독 투여군에서는 고도의 염증세포 침윤과 괴사가 나타났고 DWE 병용 투여군에서는 용량에 따라 경도 및 중등도의 병변이 관찰되었다. 이는 DWE 단독 급여가 간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TAA에 의해 간세포 손상이 유발되었고(Kuroda 등, 1987) DWE 병용 투여군에서 TAA에의한 간손상을 억제되어 DWE의 급여가 TAA에 의해 매개되는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TAA 투여 시간 중량 증가와 백혈구 수치의 증가, 간 손상 시 누출되는 AST, ALT, GGT의 증가, TG 합성의 감소, 중심정맥 주변 간세포 괴사 및염증세포 침윤이 관찰되어 TAA 투여가 간 손상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TAA 단독 투여군에비해 DWE 고용량 병용 처리군에서 간 중량이 감소하고 혈액 내 염증수치, AST, ALT 및 GGT가 감소하고 TG 합성이 높게 측정된 결과와 간세포 괴사 및염증세포 침윤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DWE 전처리가 항염작용을 통해 TAA에 의해유도되는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민들레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MDA, GSH 농도측정 및 GST, GR, CAT 활성측정 시 MDA는 TAA 단독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DWE 고용량 병용 투여군에서는 TAA 단독투여군에 비해 의미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MDA는 불포화지방산이 활성산소종에 의해 과산화되어 생성된 대사체의 분해산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항산화기전과 균형이 깨질 경우 지질과산화에 의해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Lozeva 등, 2004).
4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활성산소종의 정상 수준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효소적 항산화제 중 GSH 수치(Halliwell, 1999; Maureen 등, 2007)와 효소적 항산화 기전에 관여하는 CAT, GR, GST (Zimmerman 등, 1990; Eaton, 2006)를측정한 결과 네가지 모두 TAA 단독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냈으며 DWE 고용량투여군에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의미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GSH는 환원형 글루타치온으로 자유라디칼에 전자를 제공하여 활성산소종의 반응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You 등(2010)은 흰 쥐에 알콜을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하고 민들레 열수 추출물을 급여한 후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실험에서 대조군과 에탄올 단독 투여군에 비해 민들레 열수 추출물 병용 투여군에서 MDA 수치가 유의성있게 감소하고 GSH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CAT, GST 및 GR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민들레 열수 추출물 병용 투여군에서 에탄올 단독 투여군에 비해 각각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지표가 민들레 열수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위결과를 통해 TAA 단독투여군에서 MDA 증가 및 GSH, CAT, GR, GST의 감소는 TAA가 간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켰으며, DWE 고용량 병용 투여군에서의 의미있는 증가를 통해 항산화 기전에 의해 간 보호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TAA 투여 시 증체율을 감소와 간손상 시 누출되는 AST, ALT, GGT의증가, TG 합성이 감소된 결과를 통해 TAA 투여가 간손상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P<0.05), 과산화 지질의 대표적인 marker인 MDA의 증가와GSH, GR, GST, Catalse와 같은 항산화작용 요소들의 유의적 감소를 통해 그 기전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민들레 추출물을 고용량병용 처리한 군에서 증체율이 증가하고 혈액 내 염증수치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AST, ALT, GGT가 감소하고 TG 합성이 높게 측정된 결과를 통해(P<0.
05). 또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민들레 추출물을 고용량병용 처리한 군에서 증체율이 증가하고 혈액 내 염증수치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AST, ALT, GGT가 감소하고 TG 합성이 높게 측정된 결과를 통해(P<0.05) 민들레 추출물 전처리가 TAA에 의해 유도되는 손상으로 부터 간을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분석ㆍ비교하여 이것이 민들레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각종 항산화제의 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민들레를 이용해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랫드에 투여하여 TAA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민들레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TAA 투여 시 증체율의 감소, 중심정맥 주위의 염증세포 침윤과 간세포 괴사가 나타났고, 백혈구 증가 및 AST, ALT 및 GGT의 증가, TG 합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민들레 추출물 고용량 투여 시 증체율 증가, 중심정맥 주위의 경미한 염증세포 침윤, 백혈구 감소를 보였으며, AST, ALT 및 GGT의 감소, TG 합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TAA 투여 시 증체율의 감소, 중심정맥 주위의 염증세포 침윤과 간세포 괴사가 나타났고, 백혈구 증가 및 AST, ALT 및 GGT의 증가, TG 합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민들레 추출물 고용량 투여 시 증체율 증가, 중심정맥 주위의 경미한 염증세포 침윤, 백혈구 감소를 보였으며, AST, ALT 및 GGT의 감소, TG 합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민들레 추출물이 TAA로 유도된 간세포 괴사 및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TAA 단독 투여군에 비해 민들레 추출물 고용량 투여 시 증체율 증가, 중심정맥 주위의 경미한 염증세포 침윤, 백혈구 감소를 보였으며, AST, ALT 및 GGT의 감소, TG 합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민들레 추출물이 TAA로 유도된 간세포 괴사 및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TAA 단독 투여군에서 MDA의 증가와 GSH, GR, GST, Catalse와 같은 항산화작용 요소들의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민들레 추출물 투여군에서 MDA가감소하고 GSH, GR, GST 및 Catalse의 활성이 증가한것으로 보아 TAA에 의해 유도되는 간 손상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으며, 민들레 추출물이 항산화 기전과 관련하여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민들레 추출물 급여가 TAA로 유도된 간 손상에서 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민들레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 이외에도 이뇨, 항암, 체내 지질대사 개선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과 효능을 가진 유용식물 자원이다.
혈구검사에서 총 백혈구 수와 호중구 수는 각각 TAA 처리구의 TAA 단독 투여군(9.23±0.88 K/μL, 2.31±0.15 K/μL)에 비해 DWE 병용 투여군에서 용량의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고용량 병용투여군(7.47±1.60 K/μL, 1.73±0.37 K/μL)에서는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5).
혈청 AST, ALT, GGT 수치는 TAA 처리구의 TAA 단독 투여군(416.33±57.73 IU/L, 134.33±17.01 IU/L, 10.25±0.50 IU/L)에서 TAA 비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AA 처리구의 DWE 중ㆍ고용량 병용 투여군에서는 TAA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다.
후속연구
인삼 사포닌 및 에탄올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에 대한 Kim 등(1996)의 연구에서 TAA와 인삼 에탄올 추출물 및 silymarine을 병용 투여는 TAA단독 투여군에 비해 간의 염증세포 침윤과 세포 괴사가 적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간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지 못했다. 이는 본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며, 향후DWE와 같은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식품 및 신약 개발 시 생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유효농도를 설정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민들레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개발 및 신약 및 농업신소재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비타민과 같은 민들레의 유효성분 및 효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들레는 어떻게 이용되어 왔습니까?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는 천연 유용식물인 민들레의 일반명은 Dandelion, 학명은 Taraxacum이다. 민들레는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강장, 해열, 거담, 해독제로 사용되었으며, 서양에서는 식욕부진, 소화불량, 비장질환, 간염 등의 질병치료에 이용되었다(González Castejón 등, 2012). 최근 민들레의 생리활성을 대표하는 유효물질의 약리성,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이뇨, 항염증, 지질대사 개선 등과같은 민들레의 다양한 효과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방법으로 입증되고 있으며(Schütz 등, 2006), 민들레의 잎과 줄기에 다량 함유된 테르펜과 페놀화합물,플라보노이드, Vitamine C 및 Vitamine E와 같은 성분이 산화적 세포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 지면서(Schütz 등, 2006; González 등, 2011) 암이나 심장질환과 관련한 민들레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Takasaki 등, 1999a, b).
민들레중에서 국내에 분포하며 식용 가능한 것들은 무엇입니까?
민들레는 전 세계적으로 2,000여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 국내에 분포하며 식용 가능한 것은 좀민들레(Taraxacum hallaisanense), 산민들레(T. ohwianum), 흰민들레(T. coreanum), 토종민들레(T. mongolicum, T. platycarpum) 및 서양민들레(T. officinale)로 크게 구분된다(Fon-Quer 등, 1962). 토종 민들레는 형태학적 형질이 불분명하여 개화기시인 봄철에만 품종구분이 가능하고 재배가 어렵고 유용식물의 생리적 활성과 관련된 유효물질 성분 함량이 같은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생육지, 재배조건, 관리및 채집시기에 따라 상이하므로 특정 유효물질을 분리ㆍ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Kang과 Kim, 2001).
전자친화성 대사산물은 어떠한 문제를 유발시킵니까?
간독성 물질인 Thioacetamide (TAA)는 간에서Cytochrome P450 2E1에 의해 산화성 변환을 받아TASO 및 TASO2와 같은 전자친화성 대사산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대사산물은 활성산소종매개의 산화적스트레스를 야기하고 세포손상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간세포 괴사, 간세포 증식, 간경화를 유발한다(Hunter 등, 1977; Hajovsky 등, 2012). 또한 TAA는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의 기준에 따라Carcinogen 2B로 분류되며 급성 노출 시 간염을 유발하고 만성 노출 시 간경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간독성 유발실험에 적용되고 있다(Rousar 등, 2009).
참고문헌 (34)
Bisset NG, Phillipson JD, Czygan FC, Frohne D, Hooltzel D, Nagell A, Pfander HJ, Willuhn G, Buff W. 1994. Herbal Drugs and Phytopharmaceuticals: A Handbook for Practice on a Scientific Basis. pp. 486-489. CRC Press, London.
Cho SY, Park JY, Oh YJ, Jang JY, Park EM, Kim MJ. 2000.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6:676-682.
Dwivedi Y, Rastogi R, Sharma SK, Gang NK. 1991. Picrolive affords protection against thioacetamide-induced hepatic damage in rats. Planta Medica 57: 25-28.
Grieve M. 1994. A Modern Herbal. 3rd ed. pp 249-255. Tiger Books International, London.
Hagyma'si K, Bla'zovics A, Fehe'r J, Lugasi A. 2000a. The in vitro effect of dandelion antioxidants on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Phytotherapy Research 14: 43-44.
Hagyma'si K, Bla'zovics A, Lugasi A. 2000b. In vitro antioxidant evaluation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WEB.) water extracts. Acta Alimentaria 29: 1-7.
Hajovsky H, Hu G, Koen Y, Sarma D, Cui W. 2012. Metabolism and Toxicity of Thioacetamide and Thioacetamide S-Oxide in Rat Hepatocytes. Chem Res Toxicol 25: 1955-1963.
Han EK, Jung EJ, Lee JY, Kim YS, Jung CK.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0: 56-62.
Han SH, Hwang JK, Park SN, Lee KH, Kim KH, Kim KS et al. 2005. Potential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Taraxacum mongolicum H. on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4-89.
Ho C, Choi EJ, Yoo GS, Kim KM, Ryu SY. 1998.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Planta Med 64: 577-578.
Hunter AL, Holscher MA, Neal RA. 1977. Thioacetamide-induced hepatic necrosis I. Involvement of the mixedfunction oxidase enzyme system. J Pharmacol 200:439-448.
Kalny P, Fijałek Z, Daszczuk A, Ostapczuk P. 2007. Determination of selected microelements in Polish herbs and their infusions. Sci Total Environ 381: 99-104.
Kang MJ, Seo YH, Kim JB, Shin SR, Kim KS. 200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6: 182-187.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 60-67.
Keum YS. 1995.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Taraxacum wiggers in Korea.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Kuroda K, Terao K, Akao M. 1987. Inhibitory effect of fumaric acid on hepatocarcinogenesis by thioacetamide in rats. J Natl Cancer Inst 79: 1047-1051.
Kim HY, Choi HS, Kin KH. 1996. Effects of Saponin and Ethanol Extract of Panax Ginseng against Thioacetam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Toxicological Research 12:251-258.
Kurose I, Higuchi H, Miura S, Saito H, Watanabe N, Hokari R, Hirokawa M, Takaishi M, Zeki S. 1997. Oxidative stress-mediated apoptosis of hepatocytes exposed to acute ethanol intoxication. Hepatology 25: 368-378.
Lee HH, Kim YS, Park HY. 2007. Plant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from leaf explant culture of Taraxacum coreanum Nakai. Korean J Med Crop Sci 15: 62-66.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78-86.
Lim DY, Kim SH, Hur JR. 2011. A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Taraxacum coreanum and Taraxacum officinale. Journal of Korean Beauty Society 17: 544-549.
Lozeva V, Montgomery JA, Tuomisto L, Rocheleau B, Pannunzio M, Huet PM, Butterworth RF. 2004. Increased brain serotonin turnovercorrelates with the degree of shunting and hyperammonemia in rats following variable portal vein stenosis. J Hepatol 40: 742-748.
Okuyama H, Nakamura H, Shimahara Y, Uyama N, Kwon YW, Kawada N, Yamaoka Y, Yodoi J. 2002. Over exprssison of thioredoxin prevents thioacetamide-induced hepatic fibrosis in mice. J Hepatol 42: 117-123.
Rousar T, Kucera O, Krivakova P, Lotkova H, Kandar R, Muzakova V, Cervinkova Z. 2009. Evaluation of oxidative status in acetaminophen treated rat hepatocytes in culture. Physiological Research 58: 239-246.
Shin YJ. 2007. Antioxidant and Anti-imflammatory Effects of fractions.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a.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2: 602-605.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Masuda K,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b.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II.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2: 606-610.
You YH, Yoo SN, Yoon HG, Park JJ, Lee YH, Kim SO, Oh KT, Lee JM, Jun WJ. 2010. In vitro and in vivo hepatoprotective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from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root against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8: 1632-163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