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여가자원 이용 및 여가활동 비교분석: 2012년 국민여가활동 조사 결과를 기초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e of Leisure Resources and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Forty-hour-a-week Working System: Based on 2012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7 no.4, 2013년, pp.19 - 37  

박민정 ((재)한국건강가정진흥원) ,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welfare, forty-hour-a-week working system:(FWS) has been an important goal throughout world, and in fact, advanced countries implemented this a long time ago.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opinions concerning FWS; some people emphasizes the improvement in life qu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월평균 여가비용과 여가비용 충분도, 그리고 희방여가비용에 관련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비용의 경우 직접 금액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충분도의 경우 ‘매우 충분하다’에서 ‘매우불충분하다’까지 5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의 정책효과를 근로자의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라서 여가시간을 포함한 여가비용, 여가공간 등의 여가 자원의 이용실태 및 요구도와 여가활동유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여가만족감과 행복수준의 차이분석을 통해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의 당위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제도적 실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의 정책효과를 근로자의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진단하고자 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라서 여가시간을 포함한 여가비용, 여가공간등의 여가자원의 이용실태 및 요구도와 여가활동 유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여가만족감과 행복수준의 차이분석을 통해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의 당위성을 확인하고 제도적 실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의 정책효과를 근로자의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진단하고자 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라서 여가시간을 포함한 여가비용, 여가공간등의 여가자원의 이용실태 및 요구도와 여가활동 유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의 정책효과를 근로자의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라서 여가시간을 포함한 여가비용, 여가공간 등의 여가 자원의 이용실태 및 요구도와 여가활동유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첫 번째,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여가자원 이용실태와 여가활동 참여실태를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연구대상자의 여가 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을 비교분석해보고자 하는 것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 40시간 근무제란 무엇인가? 주 40시간 근무제(Forty-hour-a-week Working System)는 현행 법정근로시간이 주당 44시간인 것을 주당 40시간을 줄여 연간 근로시간을 2497시간에서 2000시간 이내로 줄이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일주일에 8시간 씩 5일을 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2000).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시장에 있어서 어떤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반면,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시장에 있어서 실질임금을 상승시켜 고용창출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며(Hunt, 1999; Crépon and Kramarz, 2002; , Kawaguchi, Naito and Yokoyama, 2008; 안주엽, 이규용, 2001; 여가생활에 있어서도 단순한 여가 시간의 증가는 수동적 여가행태의 연장으로 이어질 뿐 야외 여가활동이 증가하기 보다는 TV 시청, 낮잠 등으로 소일하는 코쿤형의 형태로 나타날 것이라는 것(김민관, 2004; 서강대언론문화연 구소, 2001; 신성희, 2004)이다.
각 선진국들은 주 40시간 근무제를 언제 도입하였는가? 근로복지 차원에서 주 40시간 근무제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예전부터 실시되었다. 미국은 1938년, 프랑스는 1946년, 독일은 1967년, 일본은 1988년, 중국은 1997년부터 주 40시간 근무제를 실시하였다. 이후 프랑스는 2000년부터 주 35시간, 독일은 1995년부터 주 35시간을 시행하고 있으며, 네덜란드는 1982년부터 주 38시간 근로가 일반화되었고 그 후 주 36시간 근무가 정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