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통을 가진 간호사의 근무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 to Work of Nurses with Low Back Pai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6, 2013년, pp.597 - 609  

양진향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work experience among nurses with low back pain. Specific aims were to identify problems nurses face as workers at a hospital and how they interact with other workers. Method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tilized. Data were collected from iterative fieldwork 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요통 유병률이 일반인에 비해 높은 이유는? 간호사는 업무특성 상 주로 서서 일하고 보행량이 많으며 환자 이동 및 침상 간호와 관련하여 허리에 부담을 주는 활동을 많이 하므로 요통 유병률이 일반인에 비해 높은 편이다. 지금까지 간호사의 직업성 요통을 예방하기 위한 접근은 주로 허리 보호대 사용, 리프트와 같은 기계장비 사용 등 인간공학적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에 집중되었는데, 지난 20년 간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Nelson et al.
간호사의 직업성 요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직업성 요통은 재발률이 높고 만성화된 요통은 근무의욕을 떨어뜨리며 무력감 등 심리사회적 문제를 유발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Kim, & Ahn, 2007). 실제로 연구대상 간호사의 상당수가 직업성 요통으로 인해 자신의 직업을 포기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인력부족으로 인한 연장근무가 직업성 요통의 상대위험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eiger-Brown et al.
요통으로 다양한 제약 상황과 맞닥뜨리게 된 간호사들의 근무 적응 경험을 탐색하는 일은 개인의 통증경험을 넘어 간호업무의 생산성과 보건의료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을 가지는 이유는? 간호사는 업무특성 상 요통 유병률이 매우 높은 직업으로 이러한 직업성 요통이 발생하면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몸의 통제감을 잃게 되면서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제약성을 경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생산성, 의료비용, 국민건강관리 등의 측면에서 비용부담도 적지 않다. 따라서 요통으로 다양한 제약 상황과 맞닥뜨리게 된 간호사들의 근무 적응 경험을 탐색하는 일은 개인의 통증경험을 넘어 간호업무의 생산성과 보건의료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uijs, P. C., Lambeek, L. C., Koppenrade, V., Hooftman, W. E., & Anema, J. R.. (2009). Can workers with chronic back pain shift from pain elimination to function restore at work? Qualitative evaluation of an innovative work related multidisciplinary programme.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22, 65-73. http://dx.doi.org/10.3233/BMR-2009-0215. 

  2. Coole, C., Drummond, A., Watson, P. J., & Radford, K. (2010). What concerns workers with low back pain? Findings of a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referred for rehabili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20, 472-480. http://dx.doi.org/10.1007/s10926-010-9237-5 

  3.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4. Crowe, M., Whitehead, L., Gagan, M. J., Baxter, D., & Panckhurst, A. (2010-a). Self-management and chronic low back pain: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1478-148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316.x 

  5. Crowe, M., Whitehead, L., Gagan, M. J., Baxter, G. D., Pankhurst, A., & Valledor, V. (2010-b). Listening to the body and talking to myself-the impact of chronic lower back pain: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 586-592.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9.012. 

  6. Geiger-Brown, J., Trinkoff, A. M., Nielsen, K., Lirtmunlikaporn, S., Brady, B., & Vasquez, E. I. (2004). Nurses' perception of their work environment, health, and well-being: A qualitative perspective.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2, 16-22. 

  7. Griffiths, F., Borkan, J., Byrne, D., Crabtree, B. F., Dowrick, C., Gunn, J., et al. (2010). Developing evidence for how to tailor medical interventions for the individual patient.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 1629-1641. http://dx.doi.org/10.1177/1049732310377453 

  8. Holloway, I., Sofaer-Bennett, B., & Walker, J. (2007). The stigmatisation of people with chronic back pai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9, 1456-1464. 

  9. Hsieh, L. L., Kuo, C. H., Yen, M. F., & Chen, T. H. (2004).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for low back pain treated by acupressure and physical therapy. Preventive Medicine, 39, 168-176. 

  10. Jun, K. J. (2009). Occupational diseases and injuries among Korean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194-204. 

  11. Kim, E. A. (2010).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s. Hanyang Medical Reviews, 30, 265-273. 

  12. Kim, J., Lee, J. A., Choi, S. H., Hwang, S. S., & Jung, M. H. (2007). Nurses and low back pain: A literature revie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4, 298-312. 

  13. Kim, K. S., Park, J. K., & Kim, D. S. (2010).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 405-422. http://dx.doi.org/10.5143/JESK.2010.29.4.405 

  14. Kim, Y. H., Kim, Y. S., & Ahn, Y. H. (2007). Low Back Pai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4, 5-12. 

  15. Ko, J. K. (2007). Comparing the effects of drug therapy, 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on pain,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45-654.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Survey on working environment. Retrieved March 25, 2013,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17. Lee, J. K. (199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ercis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 114-129. 

  18. Lipscomb, J. A., Trinkoff, A. M., Geiger-Brown, J., & Brady, B. (2002). Work-schedule characteristics and repor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registered nurse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8, 394-401. 

  19. Matthias, M. S., Miech, E. J., Myers, L. J., Sargent, C., & Bair, M. J. (2012). An expanded view of self-management: Patients' perceptions of education and support in an intervention for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Pain Medicine, 13, 1018-1028. http://dx.doi.org/10.1111/j.1526-4637.2012.01433.x 

  20. May, S. (2007). Patients' attitudes and beliefs about back pain and its management after physiotherapy for low back pain.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12, 126-135. 

  21. Nelson, A., Owen, B., Lloyd, J. D., Fragala, G., Matz, M. W., Amato, M., et al. (2003). Safe patient handling and movemen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3 (3), 32-43. 

  22. Park, J. K., Jang, S. H., Kim, D. S., Hur, K. H., Lee, H. Y., Choi, E. Y., et al. (2010).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risk factors in general hospital nurses: Nursing task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0 (10), 86-89. 

  23. Shaw, W. S., & Huang, Y. H. (2005).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returning to work with low back pain: Identifying themes from focus group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7, 1269-1281. 

  24. Soklaridis, S., Ammendolia, C., & Cassidy, D. (2010). Looking upstream to understand low back pain and return to work: Psychosocial factors as the product of system issues. Social Science & Medicine, 71, 1557-1566.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0.08.017 

  25. Song, R., & Ahn, S. (2008).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back pain, physical fitness, sleep,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back pai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269-279. 

  26. Sung, M. H., Seo, D. H., & Eum, O. B. (2010). Factors affecting low back pain in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343-350. 

  27. Wiitavaara, B., Lundman, B., Barnekow-Bergkvist, M., & Brulin, C. (2007). Striking a balance--health experiences of male ambulance personnel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A grounded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 770-7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