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jeok-san has been commonly used to treat low back pain disease. We performed the experiments on simultaneous analysis of 11 compounds and antioxidant effects of Ojeok-san. A HPLC method was established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11 compounds. The detection wavelengths were set at 230, 254, 280,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13) 그리하여 최근에는 천연의약품에서 항산화제를 탐색하는 추세이다.14)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오적산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오적산의 구성약재에 대한 주성분 11종에 대해 광다이오드 어레이(photodiode array; PDA) 검출기가 결합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귀의 주성분은? 분석조건의 확립 −오적산의 구성 약재 중 진피와 지각의 주성분인 naringin, hesperidin 및 neohesperidin, 당귀의 주성분인 nodakenin, 건강과 생강의 주성분인 6-gingerol, 작약의 주성분인 albiflorin과 paeoniflorin, 천궁의 주성분인 ferulic acid, 계피의 주성분인 cinnamaldehyde 및 감초의 주성분인 liquiritin과 glycyrrhizin등 11종의 성분을 선정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45분 이내에 모든 성분들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분리능과 꼬리끌림현상을 줄이고자 각각의 이동상에 1.
오적산의 구성 약재 중 진피 지각의 주성분은? 분석조건의 확립 −오적산의 구성 약재 중 진피와 지각의 주성분인 naringin, hesperidin 및 neohesperidin, 당귀의 주성분인 nodakenin, 건강과 생강의 주성분인 6-gingerol, 작약의 주성분인 albiflorin과 paeoniflorin, 천궁의 주성분인 ferulic acid, 계피의 주성분인 cinnamaldehyde 및 감초의 주성분인 liquiritin과 glycyrrhizin등 11종의 성분을 선정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45분 이내에 모든 성분들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분리능과 꼬리끌림현상을 줄이고자 각각의 이동상에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박영순 (2002) 한방의 약리해설, 699. 아카데미서적, 서울. 

  2. Shin, K. M., Jang, M. G., Kim, E. J., Kim, S. W., Lee, J. D., Kim, K. S. and Lee, S. D. (2010) The use of Ojeok-san in low back pain patients: results of a telephone survey. The Acupuncture 27: 77-78. 

  3. Moon, Y. H. and Park, Y. J. (1994)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Ohjuksan. Kor. J. Pharmacogn. 25: 253-263. 

  4. Jeon, M. H., Baek, S. H., Shin, S. W. and Lee, Y. S.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Ojeok-san on annihilation of uterine myomal cell and cell apoptosis. J. Korean Obstetrics Gynecol. 16: 45-55. 

  5. Kim, J. H., Soh, K. S., Jeong, C. G. and Kim, K. H. (2004) Effects of Ojuck-san on hyperlipidemia in rats. Kor. J. Orient. Preventive Med. Soc. 8: 185-202. 

  6. Kim, J. W., Lee, K. S. and Song, B. K. (1988) A study on the effect on Ohjucksan in different types. K. H. Univ. O. Med. J. 11: 55-75. 

  7. Min, D. K., Goh, S. K., Lee, S. D. and Wen, Y. (2002) Brain metal level in Ohjeoksan-treated rats. Kor. J. Orient. Preventive Med. Soc. 4: 242-257. 

  8. Cho, Y. J., Ju, I. S., Kwon, O. J., Chun, S. S., An, B. J. and Kim, J. H.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9-54. 

  9.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10. Choe, S. Y. and Yang, K. 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83-288. 

  11. Rice-Evans, C., Miller, N. J. and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2. Sies, H. (1986). Bio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Angewandte Chemie. 25: 1058-1071. 

  13.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nd Aruoma, O. I.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17. 

  14. Kwon, J. W., Lee, E. J., Kim, Y. C., Lee, H. S. and Kwon, T. O. (2008)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Pharmacogn. 39: 155-163. 

  1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Moreno, M. I., Isla, M. I., Sampietro, A. R. and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macol. 71: 109-114. 

  17. Kim, O. S., Kim, Y. J. and Shin, H. K. (2012)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Herbal Formula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24: 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