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산시 도심 노후화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agnosis of Downtown Deterioration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4, 2013년, pp.39 - 53  

권일화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남광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 형성은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핵심요소인 도심 및 부도심의 관리는 도시 활동의 변동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부산의 경우 1960년 이후 도시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심 규모의 확대 및 인구과밀화 속에서 20년 단위의 도시기본계획 이외에 도심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이나 관리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매우 부족하였다. 효율적인 도심지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심기능의 수요 및 노후 예측을 위한 체계적인 도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재생측면에서의 도심지역 노후 진단을 통해 현재 도심의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도심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지표로는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로 나누어 현황을 살펴본 후, 미시적 접근으로 경제적 지표를 활용하여 부산시 서면 도심지역의 경제적 노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구분포나 토지이용 측면에서 교외화 단계를 지나 비효율적 분산화 단계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심 및 부도심의 기능 강화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이에 본 연구는 보다 미시적 관점에서 도심지역을 진단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심 지역의 문제점과 도심기능의 강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efficient formation of urban space structure is a key factor in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spect, the maintenance of the center and sub-center of the city that are key factors has been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due to the variability and complexity of urban act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노후를 물리적 시설의 기능 저하 뿐 만 아니라 기존 도심의 체계적인 관리 부족으로 인한 도심 기능의 작동성 부재로 보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기준의 거시적 도심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미시적으로 부산 서면도심의 주요기능인 경제적 기능의 노후를 진단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부산시 도심 및 부도심을 중심으로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를 활용한 거시적 도심현황 파악 및 서면도심의 미시적 노후를 진단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각 항목의 지표를 선정하고, 각 동과의 거리를 통해 노후범위를 알아보았다.
  • 그러나 두 데이터 간의 수집시기의 불일치 문제로 인한 매칭율 100%를 보장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불일치하는 필지 정보를 해결하기 위해 근접부번지를 순차적으로 찾아 매칭시키는 주소정제 모듈을 개발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심지와 연결된 가로단위별 지가 변화와 같은 변동성의 관찰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 또한, 결핍은 사회적 부분의 기능저하에 관한 의미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를 물리적 시설의 기능 저하 뿐 만 아니라 기존 도심의 체계적인 관리 부족으로 인한 도심 기능의 작동성 부재로 보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기준의 거시적 도심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미시적으로 부산 서면도심의 주요기능인 경제적 기능의 노후를 진단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절차로는 우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도심 및 노후에 관한 정의를 내리고, 도심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또한 선행 연구 등에서 활용된 노후화 분석지표를 고려하여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활용 가능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 본 절에서는 서면 도심의 경제적 현황 파악과 동시에 미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도심 노후를 진단하고자 한다. 먼저 경제적 현황 파악을 위해 국가교통DB센터에서 제공하는 부산시 OD자료 중 출근목적통행을 활용하여 서면 도심으로의 출근도착통행량을 분석하였다.
  • 즉, 지가는 도시의 경제적 현황을 나타내는 핵심지표라 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서면 도심의 노후진단을 위해 필지단위의 개별 공시지가를 활용해 미시적 노후범위를 살펴보고, 2000년에서 2010년까지 지가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부산시의 도심 및 부도심을 대상으로 거시적 도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 물리적 기준의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물리적 기준으로 활용된 지료로 토지 및 건축물 관련 지표가 가장 많았다.
  • 이러한 감소추세 가운데 강서구, 해운대구의 경우 출근도착통행량이 점차 증가하여 2040년에는 각각 15%, 8%로 높은 출근도착통행량 비율을 차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심 사업체의 감소로 인한 종사자수가 감소하면서 통행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심 사업체 및 종사자수 현황을 진단해 보았다. 서면의 도심형 사업체의 경우 20000년 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2005년 15%, 2010년 14% 점차 감소하였다.
  • 본 연구는 불일치하는 필지 정보를 해결하기 위해 근접부번지를 순차적으로 찾아 매칭시키는 주소정제 모듈을 개발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심지와 연결된 가로단위별 지가 변화와 같은 변동성의 관찰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 이외 도심 노후 진단을 위한 종합적인 지표를 활용한 분석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공간상의 미시적 차원의 도심 노후 분포패턴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활용된 종합적인 지표와 더불어 세부적인 도심지 분석을 위해 보다 미시적 분석단위를 활용하여 도심 노후의 시계열적 변화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효율적인 도심지역의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도심지의 노후화의 현황과 그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물리적·경제적·사회적 지표를 활용하여 부산지역의 도심 및 부도심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끝으로 개별 필지단위의 지가를 활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지가 평균이상의 지역이 서면교차로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서면교차로를 중심으로 각 주요간선도로별 지가현황을 살펴보았다. 이 중 중앙로(시청)와 서전로의 경우 도심 중심부인 서면교차로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지가 하락지점이 형성되고 있었고, 특히 서전로의 경우 100~200m 지역에서 약 750만원의 평균지가의 급격한 감소지점이 형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은 언제 급속한 경제성장이 이루어졌나요? 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 형성은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핵심요소인 도심 및 부도심의 관리는 도시 활동의 변동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부산의 경우 1960년 이후 도시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심 규모의 확대 및 인구과밀화 속에서 20년 단위의 도시기본계획 이외에 도심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이나 관리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매우 부족하였다. 효율적인 도심지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심기능의 수요 및 노후 예측을 위한 체계적인 도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도시 활동의 변동성과 복잡성에 따른 도심 기능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움에 따라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이는 도시 활동의 변동성과 복잡성에 따른 도심 기능의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도심지역에 대한 미시적인 토지이용현황 관리나 도시계획 수립 등이 늦어져 간선교통체계 계획 수립 및 토지이용계획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오고 있다. 영국의 경우 2008년 런던시청 주도로 런던을 글로벌 차원의 도심으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도심의 경계 확정은 물론 교통, 환경, 주거, 노후화, 산업 등 다양한 측면의 도심기능강화를 위한 현황조사에서 발전전략에 이르는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Great London Authority, 2008).
효율적인 도심지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요? 부산의 경우 1960년 이후 도시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도심 규모의 확대 및 인구과밀화 속에서 20년 단위의 도시기본계획 이외에 도심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이나 관리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매우 부족하였다. 효율적인 도심지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심기능의 수요 및 노후 예측을 위한 체계적인 도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재생측면에서의 도심지역 노후 진단을 통해 현재 도심의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도심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C.H. and D.B. Lee.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price distribution and functional distribution of the C.B.D in Busan. Korea Real Estate Academy 35:171-181 (최창환, 이동본. 2005. 부산시 도심지가의 분포특성과 도심 기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보 35:171-181). 

  2. Gibbs, J.P. 1967. Urban Research Methods, Princeton : D. Van Nostrand Company, Inc. 

  3. Great London Authority. 2008. London's Central Business District: Its Global Importance. GLAEconomics. pp.46-53. 

  4. Greene, R.P. and J.B. Pick. 2006. Exploring the Urban Community: A GIS approach, Pearson Education, Inc, pp.49-108. 

  5. Ha, S.K. 2006 Community empowerment and urban renewal: a new approach of neighborhood renewal in the UK.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9(2):25-47 (하성규. 2006. 커뮤니티 주도적 재개발의 새로운 접근: 영국의 근린 재개발전략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9(2):25-47). 

  6. Jang, H.M. and S.W. Jung. 2008. A study on user cognition for urban revitalization : based on Paju Geumchon area.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3):167-176 (장희명, 정성원. 2008. 기존도심 활성화 방안에서의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파주시 금촌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3):167-176). 

  7. Jiro Hattori. 1970. Metropolitan area theory. Tokyo University(服部?二?. 1970. 大都市地域論, 東京. 高今書院). 

  8. Johnson, J.H. 1981. Urban Geography : An Introductory Analysis New York: Pergamon Press. 

  9. Kang, B.J., G.H. Lee, D.S. Oh and H.C. Kim. 2000. Causes and policy activating of a loss of inner city. Urban Information Service 215:1-12 (강병주, 이건호, 오덕성, 김혜천. 2000.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활성화 대책. 도시정보 215:1-12). 

  10. Kang, M.J., J.H. Kim and J.M. Ha. 2008. Development of indicators evaluating the level of blight in commercial zones for urban regeneration.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227-234 (강민정, 김주현, 하재명. 2008. 도심재생을 위한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2):227-234). 

  11. Kim, C.S. 2000. A Study on the Central District of Urban. Bosunggak pp.19-51 (김창석. 2000. 도시중심부연구. 보성각 19-51). 

  12. Kim, H.K. and S.J. Yeo. 2007. City center regeneration in Busan metropolita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205-217 (김흥관, 여성준. 2007. GIS를 활용한 부산시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205-217). 

  13. Kim, H.Y., J.S. Kim and S.H. Lee. 2010.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45-54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45-54). 

  14. Kwon, D.H. 2002.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enter city in local cities : case study on Jeon-ju City. Master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24-37 (권대환. 2002. 지방도시의 중심시가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시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37쪽). 

  15. Lee, S.D. and S.C. Choi. 1996. A characteristics and its problems of the inner city in the city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1(6):9-26 (이상대, 최상철. 1996. 서울시 내부기성시가지의 시가지특성과 도시계획적 과제. 국토계획 31(6):9-23). 

  16. Lim, M.H. 2003. Focusing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 in Jeonju : a study on improvements and problems of old, poor residential areas around a downtown. Master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25-57 (임민희, 2002. 도심주변의 노후 불량주거지 개선 실태와 과제에 관한 연구:전주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57쪽). 

  17. Murphy, R.E. and J.E. Vance. 1967. Delimiting the CBD : In Jack P. Gibbs(ed), Urban Research Methods, Princeton : D. Van Nostrand Company, Inc, pp. 187-220. 

  18. Nam, K.W., I.J. Kang and D.H. Im. 2009. Variability in the effective spatial rang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120-131 (남광우, 강인주, 임두현. 2009. 도심 인구구심력의 유효범위 변동성 측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120-131). 

  19. Oh, D.S. and I.S. Yeom. 2004. Basic evaluation and improvement :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5):131-140 (오덕성, 염인섭. 2004. 기존도심 활성화사업의 기초적 평가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기존도심 활성화사업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5): 131-140). 

  20. Yang, J.S. 2002. Alternative urban improvement program for dilapidated area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6(11):20-23 (양재섭. 2002. 노후주거지 수복형 정비수법의 도입 필요성과 과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6(11):20-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