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결정 셀룰로스 나노섬유를 이용한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구조와 물성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Composites Using Microcrystalline Cellulose Nanofibers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0 no.6, 2013년, pp.386 - 392  

이진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나노섬유융합연구그룹) ,  윤민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나노섬유융합연구그룹) ,  김기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나노섬유융합연구그룹) ,  임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나노섬유융합연구그룹)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ellulose nanofibers (CNFs), that is, nanosized cellulose fibers, are manufactured from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by using a high-pressure homogenizer. The CNFs are used as reinforcing materials for thermoplastic composites. Polyamide (PA6) and polylactic acid (PLA) fibers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각각 PA6와 PLA 섬유만으로 시트를 제조하여 CNF 복합재료와 비교하였다. 1,000 눈금의 스테인리스 스틸 스크린 메쉬를 이용하여 습식으로 제조한 PA6, PLA, CNF/PA6 및 CNF/PLA 시트는 열판 프레스에서 3.4 MPa의 압력과 80oC의 온도로 2시간 동안 탈수한 후 오븐에서 동일한 온도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CNF/ PA6와 CNF/PLA 시트에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해 롤 캘린더를 사용하여 각각 210과 130oC에서 4.
  • CNF/PA6와 CNF/PLA 복합재료의 인장특성은 만능강도 시험기(3343, Instr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한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을 통해 알아보았다. 각 복합재료 시료의 크기는 100×25.
  • CNF를 얻기 위해 고압 호모게나이저(Mini DeBEE, BEE International, USA)를 사용하여 MCC를 피브릴화하였다. Figure 1(a)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호모게나이저이며[17], (b)는 호모게나이저 셀 내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의 위치와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 MCC와 CNF의 화학적 구조는 X선 회절분석기(X-ray diffractometer(XRD), Mini Flex TMII, Rigaku, Japan)를 통해 40 kV, 40 mA 조건하에서 니켈 필터로 단색화한 CuKα 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Table 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 코드를 나타낸다. 각 노즐당 10회를 통과시켜 1회, 5회, 10회 통과시료를 샘플링하였다. 예를 들어, 시료(200-5)는 250 μm의 노즐에서 10회 통과 후 200 μm 노즐로 5회 통과시킨 시료를 나타낸다.
  • 4 MPa의 압력과 80oC의 온도로 2시간 동안 탈수한 후 오븐에서 동일한 온도로 24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CNF/ PA6와 CNF/PLA 시트에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해 롤 캘린더를 사용하여 각각 210과 130oC에서 4.8 MPa의 압력을 적용하여 0.5 m/min의 속도로 통과시켜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로 CNF를 사용하고 매트릭스로 대표적인 열가소성 섬유인 PA6와 PLA를 각각 사용하여 CNF/PA6와 CNF/PLA 복합재료를 제조하였고 인장특성과 형태학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CN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CNF/PA6와 CNF/PLA 복합재료의 인장특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 또한 제조된 CNF를 보강재로 사용하고 대표적인 열가소성 섬유인 폴리아미드 6(polyamide 6, PA6)와 PLA 섬유를 매트릭스로 사용하여 혼합비율에 따른 섬유복합재를 제조하였고 형태학적 구조 및 물리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각각 PA6와 PLA 섬유만으로 시트를 제조하여 CNF 복합재료와 비교하였다. 1,000 눈금의 스테인리스 스틸 스크린 메쉬를 이용하여 습식으로 제조한 PA6, PLA, CNF/PA6 및 CNF/PLA 시트는 열판 프레스에서 3.
  • 본 연구에서는 MCC를 물에 분산하여 제조한 0.5 wt% 분산액을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해 직경이 다른 세 개의 노즐을 직경크기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다음과 같이 통과시켰다. 1) 노즐직경 250 μm, 압력 70 MPa, 2) 노즐직경 200 μm, 압력 240 MPa, 3) 노즐직경 150 μm, 압력 310 MPa.
  • 본 연구에서는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MCC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마이크로피브릴화 하여 얻어진 CNF의 직경, 비표면적 및 결정화지수를 분석하였다. 호모게나이징 노즐 크기가 작아지고 공정횟수가 증가할수록 마이크로 피브릴화된 CNF의 직경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비표면적은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해 MCC를 마이크로피브릴화하여 CNF를 제조하였고, 미세구조, 직경, 결정화도 및 비표면적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된 CNF를 보강재로 사용하고 대표적인 열가소성 섬유인 폴리아미드 6(polyamide 6, PA6)와 PLA 섬유를 매트릭스로 사용하여 혼합비율에 따른 섬유복합재를 제조하였고 형태학적 구조 및 물리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이 희석 용액에 CNF 현탁액 중 고형분이 5 mg 함유되도록 혼합하여 50oC에서 24시간 염색한다. 염색 후 UV-VIS 분광광도계(Carry 500, Varian, Australia)를 사용하여 220~80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사용하여 염료의 흡착량 측정한 후 식 (2)로 비표면적을 계산하였다[20].
  • 1) 노즐직경 250 μm, 압력 70 MPa, 2) 노즐직경 200 μm, 압력 240 MPa, 3) 노즐직경 150 μm, 압력 310 MPa.위와 같이 MCC를 각 노즐당 10회씩 처리하여 총 30회의 호모게나이징 공정을 거쳐 CNF 현탁액으로 제조하였다.
  • 제조된 CNF 현탁액 상의 CNF의 무게비로 PA6와 PLA 섬유와 각각 1:9, 2:8 및 3:7로 혼합하여 믹서로 고르게 분산시킨 후 습식부직포 제조방식에 의해 165 g/m2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각각 PA6와 PLA 섬유만으로 시트를 제조하여 CNF 복합재료와 비교하였다.
  • 제조된 CNF의 직경과 CNF/PA6 및 CNF/PLA 복합재료의 표면과 파단면을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였다(JSM-6330, Jeol Technics, Japan and SU8000, Hitachi, Japan).
  • 결정화지수는 분자를 구성하는 결정영역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밀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호모게나이징 공정에 의한 MCC의 결정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XRD 곡선에서 결정영역과 비결정 영역을 나타내는 피크 강도를 통해 결정화지수를 계산하였다.
  • 호모게나이징 공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현탁액인 시료(150-10)을 보강재로 사용하고 PA6와 PLA 섬유를 각각 매트릭스로 사용하여 제조한 CNF/PA6와 CNF/PLA 복합재료의 인장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MCC는 VIVAPUR® 102(J. RETTENMAIER & SHNE GmbH & Co. KG, Germany)를 사용하였다.
  • Figure 5(f)와 6(f)를 비교했을 때 정량적으로 알 수는 없지만 CNF와 PA6섬유간 계면이 CNF와 PLA 섬유의 계면에 비해 잘 결합 되어 있는 형태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험에 사용된 PA6와 PLA만 사용하여 각각 단독으로 시트를 제조하였을 때 시트의 인장강도(인장탄성률)는 각각 6.1(451.0) MPa과 4.9(257.6) MPa이었다. 그러므로 CNF/ PA6 복합재료의 구성섬유간 계면의 견고한 접착과 PLA에 비해 높은 PA6 고유의 물성으로 CNF/PLA 복합재료에 비해 높은 인장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섬유복합재료 제조시 셀룰로스 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반응성과 분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인 Pl uronic® F-127(BASF Corp., USA, 분자량:12,600)을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다[16].
  • KG, Germany)를 사용하였다. 압축 열성형 후 열가소성 매트릭스로 사용하기 위해 1.5데니어의 직경과 2 mm의 섬유장을 갖는 PA6((주)효성)와 PLA((주)휴비스) 섬유를 사용하였다. 섬유복합재료 제조시 셀룰로스 섬유와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반응성과 분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인 Pl uronic® F-127(BASF Corp.

이론/모형

  • MCC의 마이크로피브릴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료흡착법을 통해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19]. pH가 6인 인산염 용액에 congo red 염료(Sigma-Aldrich, Korea)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룰로스는 어떤 형태로 구성되는가? 셀룰로스는 글루코오스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된 결합이 모여 식물 세포벽 내에서 마이크로피브릴이라는 하나의 구조체를 이룬다.
셀룰로스계 섬유가 천염섬유 복합재료의 보강재로써 널리 연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섬유복합재료 분야에서는 천연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고 매트릭스로 범용 고분자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1]. 특히 셀룰로스계 섬유는 반영구적으로 공급이 가능하고 환경친화성, 낮은 가격, 재생가능성, 경량성, 높은 비강도, 생분해성 등의 장점으로 천연섬유 복합재료의 보강재로써 널리 연구되고 있다[2,3].
본 연구에서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해 MCC를 기계적 방법으로 마이크로피브릴화하여 얻은 CNF는 어떤 실험결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에서는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MCC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마이크로피브릴화 하여 얻어진 CNF의 직경, 비표면적 및 결정화지수를 분석하였다. 호모게나이징 노즐 크기가 작아지고 공정횟수가 증가할수록 마이크로 피브릴화된 CNF의 직경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비표면적은 증가하였다. 또한, 물리적인 힘에 의한 마이크로피브릴화로 MCC의 결정영역이 파괴되어 결정화지수는 낮아졌다. 호모게나이징 공정을 통해 제조된 CNF의 넓은 비표면적은 나노섬유 복합재료를 제조함에 있어 CNF를 보강재로 사용할 때 매트릭스와 접촉면이 넓어지고 응력전달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 Oksman, M. Skrifvars, and J. F. Selin, "Natural Fibres as Reinforcement in Polylactic Acid (PLA) Composites", Compo Sci Technol, 2003, 63, 1317-1324. 

  2. A. K. Bledzki and J. Gassan, "Composites Reinforced with Cellulose Based Fibres", Prog Polym Sci, 1999, 24, 221-274. 

  3. S. Shibata, Y. Cao, and I. Fukumoto, "Light Weight Laminate Composites Made from Kenaf and Polypropylene Fibres", Polym Testing, 2006, 25, 142-148. 

  4. G. Siqueira, J. Bras, and A. Dufresne, "Cellulosic Bio-nanocomposites: A Review of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 Polymer, 2010, 2, 728-765. 

  5. T. Zimmermann, E. Pohler, and T. Geiger, "Cellulose Fibrils for Polymer Reinforcement", Adv Eng Mater, 2004, 6, 754-761. 

  6. T. Nishino, I. Matsuda, and K. Hirao, "All-Cellulose Composite", Macromolecules, 2004, 37, 7683-7687. 

  7. W. Gindl and J. Keckes, "All-Cellulose Nanocomposite", Polymer, 2005, 46, 10221-10225. 

  8. A. P. Mathew, K. Oksman, and M. Sain, "Mechan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Composites from Poly Lactic Acid (PLA) and Microcrystlline Cellulose (MCC)", J Appl Polym Sci, 2005, 97, 2014-2025. 

  9. S. K. Park, J. O. Baker, M. E. Himmel, P. A. Parilla, and D. K. Johnson, "Cellulose Crystallinity Index: Measurement Techniques and Their Impact on Interpreting Cellulase Performance", Biotechnol Biofuels, 2013, 3, 1-10. 

  10. T. Zimmermann, N. Bordeanu, and E. Strub, "Properties of Nanofibrillated Cellulose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and Its Reinforcement Potential", Carbohydr Polym, 2010, 79, 1086-1093. 

  11. M. Paakko, M. Ankerfors, H. Kosonen, A. Nykanen, S. Ahola, M. Osterberg, J. Ruokolainen, J. Laine, P. T. Larsson, O. Ikkala, and T. Lindstrm, "Enzymatic Hydrolysis Combined with Mechanical Shearing and High-Pressure Homogenization for Nanoscale Cellulose Fibrils and Strong Gels", Biomacromolecules, 2007, 8, 1934-1941. 

  12. D. M. Panaitescu, P. V. Notingher, M. Ghiurea, F. Ciuprina, H. Paven, M. Iorga, and D. Florea, "Properties of Composite Materials from Polyethylene and Cellulose Microfibrils", J Optoelect Advan Mater, 2007, 9, 2524-2528. 

  13. Q. Wu, M. Henriksson, X. Liu, and L. A. Berglund, "A High Strength Nanocomposite Based on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Polyurethane", Biomacromolecules, 2007, 8, 3687-3692. 

  14. S. Iwamoto, A. N. Nakakaito, H. Yano, and M. Nogi, "Optically Transparent Composites Reinforced with Plant Fiber-Based Nanofibers", Appl Phys A, 2005, 81, 1109-1112. 

  15. A. N. Nakagaito and H. Yano, "Novel High-Strength Biocomposites Based on Microfibrillated Cellulose Having Nano-Order-Unit Web-Like Network Structure", Appl Phys A, 2005, 80, 155-159. 

  16. S. E. Gradwell, S. Renneckar, A. R. Esker, T. Heinze, P. Gatenholm, C. V. Garcia, and W. Glasser, "Surface Modification of Cellulose Fibers: Towards Wood Composites by Biomimetics", Compt Rend Soc Bio, 2004, 327, 945-953. 

  17. http://www.emaxtech.co.kr/sub/catalog.php?CatNo12 

  18. J. Floury, A. Desrumaux, and J. Lardieres, "Effect of High-Pressure Homogenization on Droplet Size Distribution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Model Oil-in-Water Emulsions", Inno Food Sci Emerging Technol, 2000, 1, 127-134. 

  19. M. Ksibi, S. Rossignol, J. M. Tatibouet, and C. Trapalis, "Synthesis and Solid Charaterization of Nitrogen and Sulfur-Doped $TiO_2$ Photocatalysts Active under Near Visible Light", Mat Lett, 2008, 62, 4204-4206. 

  20. S. H. Lee, Y. Teramoto, and T. Endo, "Enhancement of Enzymatic Accessibility by Fibrillation of Woody Biomass Using Batch-Type Kneader with Twin-Screw Elements", Bioreso Technol, 2010, 101, 769-774. 

  21. C. H. Lee, "Crystallinity of Wood Cellulose Fibers Studies by X-ray Methods", Forest Prod J, 1961, 11, 108-1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