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 논 토양의 염 농도가 메탄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Methane Emission in a Coastal Reclaimed Paddy Soil Condition: Pot Test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2 no.4, 2013년, pp.252 - 259  

임창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상윤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정승탁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건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필주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척지 논 토양에서 염 농도에 따른 메탄 배출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 염 농도의 증가는 메탄 배출량 감소와 벼 생육 및 수량성 악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벼 재배기간 중 높은 EC와 pH로 인한 메탄생성균의 활성 감소와 벼 생육 악화에 따른 메탄 배출량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평가되었다. 토양의 EC와 pH는 총 메탄배출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벼 생육(초장 및 분얼)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주로 높은 EC에 의한 메탄 저감효과는 벼의 생육 초기에 대부분 나타났으며, 생육 후기로 갈수록 염의 희석효과에 의하여 저감효과가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간척지 논 토양의 염 농도가 메탄 배출량에 감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간척지 논 토양에서 메탄 배출량 평가 또는 예측에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alt accumulation in coastal reclaimed soil can decrease plant growth and productivity, which could lead to considerable variation of methane($CH_4$) emission in a rice pad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CH_4$ 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척 농경지에서 염 농도에 따른 메탄 발생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선정된 토양은 채취 후 자연건조 후 사분(<10 mm)한 후 벼 재배를 위한 포트 실험에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내 서로 다른 염 농도가 메탄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 농도가 다른 간척지 논 토양을 선발하여 메탄 배출량을 평가함과 동시에 토양의 화학성 및 벼의 생육 특성을 pot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중 메탄 농도는 어떠한가? 메탄(CH4)은 이산화탄소(CO2)와 더불어 주요 온난화 가스로서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0 %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IPCC, 2007). 대기 중 메탄 농도는 약 1.7 ppmv로서(Le Mer and Roger, 2001) 1800년대를 기준으로 연간 0.5∼1 % 가량 증가해오고 있으며(Conrad, 2007), 이산화탄소의 약 25배에 달하는 지구온난화잠재능(Global warming potential, GWP) 때문에 매우 중요한 온실가스로 알려져 있다(Blake and Rowland, 1988; Rodhe, 1990; Minami and Neue 1994). 전체 메탄 배출량의 약 70 %는 인위적 활동(Anthropogenic activity)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지구전체 메탄 배출량의 약 5-29 %에 해당하는 25∼150 Tg/yr 이 벼 재배과정에서 배출되고 있어 수도작 논은 주요한 메탄 배출원으로 간주되고 있다(Le Mer and Roger, 2001).
메탄의 특징은 무엇인가? 메탄(CH4)은 이산화탄소(CO2)와 더불어 주요 온난화 가스로서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0 %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IPCC, 2007). 대기 중 메탄 농도는 약 1.
간척지 논 토양에서 염 농도에 따른 메탄 배출특성에 대해 분석한결과는 어떠한가? 간척지 논 토양에서 염 농도에 따른 메탄 배출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트 실험을 실시한 결과, 염 농도의 증가는 메탄 배출량 감소와 벼 생육 및 수량성 악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벼 재배기간 중 높은 EC와 pH로 인한 메탄생성균의 활성 감소와 벼 생육 악화에 따른 메탄 배출량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평가되었다. 토양의 EC와 pH는 총 메탄배출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벼 생육(초장 및 분얼)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주로 높은 EC에 의한 메탄 저감효과는 벼의 생육 초기에 대부분 나타났으며, 생육 후기로 갈수록 염의 희석효과에 의하여 저감효과가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간척지 논 토양의 염 농도가 메탄 배출량에 감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간척지 논 토양에서 메탄 배출량 평가 또는 예측에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dhya, T.K., Rath, K., Rao, P.K., Das, S.N., Parida, K.M., Sethunathan, D.C., 1994. Methane emission from flooded rice fields under irrigated conditions, Biol. Fertil. Soils. 18, 245-248. 

  2. Ali, M.A., Lee, C.H., Lee, Y.B., Kim, P.J., 2009. Silicate fertilization in no-tillage rice farming for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 and increasing rice productivity, Agric. Ecosyst. Environ. 132, 16-22. 

  3. Ali, M.A., Oh, J.H., Kim, P.J., 2008. Evaluation of silicate iron slag amendment on reducing methane emission from flood water rice farming, Agric. Ecosyst. Environ. 128, 21-26. 

  4. Balttlet, K.B., Bartlett, D.S., Harriss R.C., Sebacher, D.I., 1987. Methane emissions along a salt marsh salinity gradient, Biogeochem. 4, 183-202. 

  5. Blake, E.R., Rowland, F.S., 1988. Continuing worldwide increase in tropospheric methane, Science 239, 1129-1131. 

  6. Bodelier, L.E., Laanbroek, J., 2004. Nitrogen as a regulatory factor of methane oxidation in soils and sediments, FEMS Microbiol. Ecol. 47, 265-277. 

  7. Bouwman, A.F., 1991. Agronomic aspects of wetland rice cultivation and associated methane emissions, Biogeochem. 15, 65-88. 

  8. Cicerone, R.J., Shetter, J.D., 1981 Sources of atmospheric methane: Measurements in rice paddies and a discussion, J. Geophys. Res. 86, 7203-7209. 

  9. Conrad, R., 2007. Microbial ecology of methanogens and methanotrophs, Adv. Agron. 96, 1-63. 

  10. Garica, J.L., Patel B.K.C., Ollivier, B., 2000. Taxonomic, phylogenetic and ecological diversity of methanogenic archea, Anaerobe 6, 205-226. 

  11. Hanna, J., Brian, A., J. Patrick, 2011.Salinity influence on methane emissions from tidal marches, Soc. Wet. Sci. 31, 831-842. 

  12. Holzapfel-Pschorn, A., Conrad, R., Seiler, W., 1986. Effects of vegetation on the emission of methane from submerged paddy soil, Plant and Soil 92, 223-233. 

  13. Holzapfel-Pschorn, A., Seiler, W., 1986. Methane emission during a cultivation period from an Italian rice paddy, J. Geophys. Res. 91, 11803-11814. 

  14. Hori, K., Inubushi, K., Matsumoto, S., Wada, H., 1990. Competition of acetic acid between methane formation and sulfate reduction in paddy soil, Jpn. J. Soil Sci. Plant Nutr. 61, 572-578. 

  1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es. Summary for Policymakers. 

  16. Jung, Y.S., Ryu, C.H., 2005. Soil problems and agricultural management of the reclaimed land,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0, 8-20. 

  17. Kim, S.Y., Gutierrez, J., Kim, P.J., 2012. Considering winter cover crop selection as green manure to control methane emission during rice cultivation in paddy soil, Agr. Ecosyst. and Environ. 161, 130-136. 

  18. Kim, S.Y., Lee, C.H., Gutierrez, J., Kim, P.J., 2013. Contribution of winter cover crop amendments on global warming potential in rice paddy soil during cultivation, Plant and Soil. 366, 273-286. 

  19. Koo, J.W., Choi, J.K., Son, J.G., 1998. Soil properties of reclaimed tide lands and tidelands of western sea coast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1, 120-127. 

  20. Lee, C.H., Park, K.D., Jung, K.Y., Ali, M.A., Lee, D., Gutierrez, J., Kim, P.J., 2010: Effect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as a green manure on rice productivity and methane emission in paddy soil, Agric. Ecosyst. Environ. 138, 343-347. 

  21. Le Mer, J., Roger, P., 2001. Production, Oxidation, emission and consumption of methane by soils: A review, Eur. J. Soil Biol. 37, 25-50. 

  22. Lim, C.H., Kim, S.Y., Kim, P.J., 2011. Effect of gypsum application on reducing methane emission in a reclaimed coastal paddy soil, Korean. J. Environ. Agric. 30, 243-251. 

  23. Mariko, S., Harazono, Y., Owa, N., Nouchi, L., 1991. Methane in flooded soil water and the emission through rice plants to the atmosphere, Environ. Exp. Bot. 31, 343-350. 

  24. Minami, K., Neue, H.U., 1994. Rice paddies as a methane source, Climatic change 27, 13-26. 

  25. Patel, G.B., Roth, L.A., 1977.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growth and methane production of methanogens, Can. J. Microbiol. 23, 893-897. 

  26. Ranjan, M., Animita, B., Ujjanini, S., Bijay, K.D., Alak, K.M., 2009. Role of Alternative Electron Acceptors (AEA) to control methane flux from waterlogged paddy fields: Case studies in the southern part of West Bengal, India, Int. J. Greenh. Gas Con. 3, 664-672. 

  27. Rodhe, H., 1990. Comparison of the contribution of various gases to the greenhouse effect, Science 248, 1217-1219. 

  28. Rolston, D.E., 1986. Gas flux, in: Klute A,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2nd ed., Soil Sci Soc America and American Soc Agron. USA, pp. 1103-1119. 

  2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1988.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3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1999. Fertilization standard of crop plants, p. 148,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31. SAS Institute., 1995. System for Windows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32. Singh, S., Singh, J.S., Kashyap, A.K., 1999. Methane flux from irrigated rice fields in relation to crop growth and N-fertilization, Soil Biol. Biochem. 31, 1219-1228. 

  33. Singh, J.S., Pandey, V.C., Singh, D.P., Singh, R.P., 2010. Influence of pyrite and farmyard manure on population dynamics of soil methanotroph and rice yield in saline rain-fed paddy field, Agr. Ecosyst. and Environ. 139, 74-79. 

  34. Sposito, G., Mattigod, S.V., 1997. On the chemical foundation of the sodium adsorption ratio, Soil Sci. Soc. Am. J. 41, 323-329. 

  35. Takai, Y., 1961. Reduction and microbial metabolism in paddy soil (3) - in Japanese, Nogyo Gijutsu (Agricultural Technology). 16, 122-126. 

  36. U.S. Salinity Laboratory Staff, 1954.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s, USDA Handbook. 60, 160. 

  37. Wang Z.P., Delaune R.D., Masscheleyn P.H., Patrick W.H., 1993. Soil redox and pH effects on methane production in a flooded rice soil, Soil Sci. Soc. Am. J. 57, 382-385. 

  38. Wassmann, R., Papen, H., Rennenberg, H., 1993.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ies and possible mitigation strategies, Chemosphere 26, 201-217. 

  39. Wassmann, R., Neue, H.U., Alberto, M.C.R., Lantin, R.S., Bueno, C., Llenaresas, D., Arah, J.R.M., Papen, H., Seiler, W., Rennenberg, H., 1996. Fluxes and pools of methane in wetland rice soils with varying organic inputs, Environ. Monit. Assess. 42, 163-173. 

  40. Wassmann, R., Aulakh, M.S., 2000. The role of rice plants in regulating mechanisms of methane missions, Biol. Fert. Soils 31, 20-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