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대기화학모델이 모의한 엘니뇨가 대류권 오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l Niño on Tropospheric Ozone in a Simulation using a Climate-Chemistry Model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7, 2013년, pp.662 - 668  

문병권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예상욱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박록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송창근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윤대옥 (충북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전구대기화학모델을 이용하여 엘니뇨대류권 오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년간(1971-2010) 대류권 오존을 EOF 분석한 결과에서 열대 중앙-동태평양에서 오존의 감소가 관측과 유사하게 잘 모의되었다. 그러나 인도양-인도네시아 부근의 오존 증가는 관측에 비해 약하게 모의되었다. 엘니뇨에 의한 오존변동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2006년 엘니뇨의 경우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하였다. 엘니뇨의 발생 시 중앙-동태평양의 오존 감소는 활발해진 상승운동과 그에 따른 수증기량 증가로 오존의 체류시간이 짧아졌음에 기인하였다. 해수면 온도 강제력으로 유도된 하강기류 편차와 수증기 감소로 인도양 대류권 상층 오존이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 the effects of El Ni$\tilde{n}$o on tropospheric ozone through the simulation of a Climate-Chemistry model for a 40-year period (1971-2010).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reveals that the tropospheric ozone concentration in the central-eastern Pacific dec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류권 오존 분포와 기후변동과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은 대기질의 문제뿐 아니라 기후변화와 연관된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최근 새롭게 개발된 기후모델과 전구대기화학모델을 오프라인(off-line)으로 접합된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엘니뇨와 대류권 오존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do and Takahashi의 엘니뇨 발생에 따른 대류권 오존 변동 분석에서는 오존변화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Sudo and Takahashi (2001)은 모델 실험을 통해 1997/98 엘니뇨 발생에 따른 대류권 오존 변동을 분석하였다. 그들에 따르면 엘니뇨가 발달하면서 활발한 대류활동 영역이 중태평양과 동태평양으로 이동과 함께 나타나는 대기순환 변화가 오존변화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대기순환과 오존 변동의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상승운동이 활발해지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오존을 포함하는 하층 공기가 상층으로 수송돼 대류권 오존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들 수 있다.
엘니뇨란 무엇인가? 열대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에 비해 상승하는 현상인 엘니뇨는 기후시스템 내의 대표적 경년변동(주기: 2~6년) 현상으로, 전지구 규모의 기후변동을 초래한다(Philander, 1990; Ropelewski and Halpert, 1987). 평년 열대 태평양에는 서쪽에 따뜻한 온난해수역(warmpool region), 동쪽에 차가운 한랭혀(cold tongue)가 분포하여 동서방향으로 수온 경도가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기후모델과 대기화학모델이 갖는 off-line 접합자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는 어떤 단점이 있는가? 이 연구에서 사용된 모델링 시스템은 기존 연구와 다르게 기후모델과 대기화학모델이 off-line 접합자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는 기상과 대기화학 과정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두 모델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시키므로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물리 역학적/화학적 과정이 포함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 E.J., 2007, El Nino-Southern Oscillation, Indian Ocean dipole mode,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enomena, and their impact on the climate over the Korean Peninsular.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35-44. (in Korean) 

  2. Chandra, S. Ziemke, J.R., Min, W., and Read, W.G., 1998, Effects of 1997-1998 El Nino on tropospheric ozone and water vapor. Geophysical Research Letter, 25, 3867-3870. 

  3. Chandra, S., Ziemke, J.R., Duncan, B.N., Diehl, T.L., Livesey, N.J., and Froidevaux, L., 2009, Effects of the 2006 El Nino on tropospheric ozone and carbon monoxide: implications for dynamics and biomass burning.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9, 4239-4249. 

  4. Collins, W.D. and Coauthors, 2006, The community climate system model version 3 (CCSM3). Journal of Climate, 19, 2122-2143. 

  5. Dickinson, R.E., and Coauthors, 2006, The Community Land Model and its climate statistics as a component of the Community Climate System Model. Journal of Climate, 19, 2302-2324. 

  6. Doherty, R.M., Stevenson, D.S., Johnson, C.E., Collins, W.J., and Sanderson, M.J., 2006, Tropospheric ozone and El Nino-Southern Oscillation: Influence of atmospheric dynamics, biomass burning emissions, and future climate chang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D19304, doi:10.1029/2005JD006849. 

  7. Fujiwara, M., Kita, K., Kawakami, S., Ogawa, T., Komala, N., Saraspriya, S., and Suripto, A., 1999, Tropospheric ozone enhancements during the indonesian forest fire events in 1994 and 1997 as revealed by ground-based observatons. Geophysics Research Letter, 26, 2417-2420. 

  8. Jang, S.R. and Ha, K.J., 200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intensity and formation region: effect of developing and decaying ENS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29-44. (in Korean) 

  9. Kley, D., Crutzen, P.J., Smith, H.G.J., Vomel, H., Oltmans, S.J., Crassl, H., and Ramanathan, V., 1996, Observations of near-zero ozone concentrations over the convective Pacific: Effects on air chemistry. Science, 274, 230-233. 

  10. Loyola, D., Valks, P., Ruppert, T., Richter, A., Wagner, T., Thomas, W., van der A. R., and Meisner, R., 2006, The 1997 El Nino impact on clouds, water vapour, aerosols and reactive trace gases in the troposphere, as measured by the Global Ozone Monitoring Experiment. Advanced in Geosciences, 6, 267-272. 

  11. Moon, B.K, Youn, D., Park, R.J., Yeh, S.W., Kim, W.M., Kim, Y.H., Jeong, J.I., Woo, J.H., Im, E.G., and Song, C.K., 2011, Meteorological responses to Mt. Baekdu Volcanic eruption over East Asia in an offline global climate-chemistry model: a pilot study.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7, 345-351. 

  12. Park, R.J., Jacob, D.J, Field, B.D., Yantosca, R.M., and Chin, M., 2004, Natural and trans-boundary pollution influences on sulfate-nitrate-ammo nium aerosols in the United States: implications for policy. Journal of Geophysics, 109, D15204, doi:10.1029/2003JD004473. 

  13. Peters, W., Krol, M., Dentener, F., and Lelieveld, J., 2001, Identification of an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signal in a multiyear global simulation of tropospheric ozon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 10389-10402. 

  14. Philander, S.G.H., 1990, El Nino, La Nina, and the Southern Oscill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293 p. 

  15. Rayner, N.A., and Coauthors, 2003: Global analys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ea ice, and night marine air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 4407, doi:10.1029/2002JD002670. 

  16. Reynolds, R.W., Rayner, N.A., Smith, T.M., Stokes, D.C., and Wang, W., 2002, An improved in situ and satellite SST analysis for climate. Journal of climate, 15, 1609-1625. 

  17. Ropelewski, C.F. and Halpert, M.S., 1987, Global and regional scale precipit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Monthly Weather Review, 115, 1606-1626. 

  18. Seol, D.I., 2001, Long-term variations of tropospherestratosphere mean meridional circul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415-422. (in Korean) 

  19. Shindell, D., Faluvegi, G., Lacis, A., Hansen, J., Ruedy, R., and Aguilar, E., 2006, Role of tropospheric ozone increases in 20th-century climate chang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D08302, doi:10.1029/2005JD006348. 

  20. Sudo, K. and Takahashi, M., 2001, Simulation of tropospheric ozone changes during 1997-1998 El Nino: Meteorological impact on tropospheric phtochemistry. Geophysical Research Letter, 28, 4091-4094. 

  21. Thompson, A.M., Witte, J.C., Hudson, R.D., Guo, H., Herman, J.R., and Fujiwara, M., 2001, Tropical tropospheric ozone and biomass burning. Science, 291, 2128-2132. 

  22. Wang, B., Wu, R., and Fu, X., 2000, Pacific-East Asian teleconnection: how does ENSO affect East Asian climate? Journal of Climate, 13, 1517-1536. 

  23. Yeh, S.W., Kug, J.S., Dewitte, B., Kwon, M.H., Kirtman, B.P., and Jin, F.F., 2009, El Nino in a changing climate. Nature, 461, 511-514, doi:10.1038/nature08316. 

  24. Youn, D., Park, R.J., Jeong, J.I., Moon, B.K., Yeh, S.W., Kim, Y.H., Woo, J.H., Im, E.G., Jeong, J.H., Lee, S.J, and Song, C.K., 2011, Impact of aerosols on regional meteorology due to Siberian forest fires in May 2003. Atmospheric Environment, 45, 1407-1412. 

  25. Zeng, G. and Pyle, J.A., 2005, Influence of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on stratosphere/troposphere exchange and the global tropospheric ozone budget. Geophysical Research Letter, 32, L01814, doi:10.1029/2004GL021353. 

  26. Ziemke, J.R., Chandra, S., Oman, L.D., and Bhartia, P.K., 2010, A new ENSO index derived from satellite measurements of column ozon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0, 3711-3721. 

  27. Ziemke, J.R. and Chandra, S., 2003, La Nina and El Ninoinduced variabilities of ozone in the tropical lower atmosphere during 1970-2001. Geophysical Research Letter, 30, 1142, doi:10.1029/2002GL0163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