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용 재료로서 상동광산광미의 활용성 검토
Availability Review of Tailings from the Sangdong Tungsten Mine as a Material for Constru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1 no.3, 2013년, pp.204 - 210  

김용직 ((주)대우건설 기술연구원 인프라연구팀) ,  김영진 ((주)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최연왕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상철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동지역 중석광 광미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XRD 및 PSA를 사용하여 광물학적인 특성을 검토하였다. XRD분석 결과 상동지역 중석광 광미내에는 석영(quartz), 녹니석(chlorite), 회장석(anorthite) 그리고 코디에라이트(cordierit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동지역 중석광 광미의 용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광미를 혼합한 모르터를 제작하여 KSLT의 규정에 의해 실험한 결과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에 제시된 유해물질 함유 기준값 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고루슬래그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의 농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ossibility for recycling tailings from the Sangdong tungsten mine (TA) as admixture for concrete. TA has been accumulating for several decades in Sangdong, a region in Korea, an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lternative uses for this hazardous substance. In particu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국내에 광범위하게 산재하고 있는 광산 폐재의 대부분이 미세한 분체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광미의 중금속 용출특성을 파악하고 원료배합 및 특성을 연구 검토한다면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은 극대화될 것으로 판단되며 콘크리트에 적용시 광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중금속이 안정화 혹은 고형화 되어 외부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아 대량으로 소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Fernando 2007, Watson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동지역 중석광 광미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광미의 품질특성과 광미를 혼화재료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중금속 용출 특성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였다(Benzaazoua 2002, Bhatty 1985).
  • 본 연구의 목표는 상동지역 중석광 광미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광미의 품질특성과 혼화재료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광미의 광물학, 물리화학 및 활용성 검토를 통해 상동광산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무기계 폐기물 재활용의 근본적 분류인 물질회수와 물질전환에 적합한가를 평가하고 입도 분리하여 세립 또는 조립질은 대단위 토목 혼화재료로서 재활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해방지 법규들이 제정되거나 시행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세계적으로 대기오염, 수질오염 및 토질오염 등에 대한 관심과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에 따른 각종 광해방지 법규들이 제정되거나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70, 80년대를 통해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른 산업폐기물의 양적증대 및 처리문제가 사회적인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SG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TA 자체의 중금속 측정 농도보다 감소하는 결과는 무엇 때문에 나타났는가?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에서 제한하고 있는 유해물질 함유 기준값은 Table 8과 같으며, OPC 및 SG를 혼합하여 제조한 모르타르의 경우, 그 함량이 기준값보다 낮게 측정되 었다. 특히, SG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TA 자체의 중금속 측정 농도보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러한 경향은 시멘트 수화반응과 포졸란 반응에 의해 중금속 이온이 chemical fixation과 encapsulation을 일으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내부 공극이 밀실하게 채워져 중금속이 안정화 및 고형화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광산 폐기물(폐석, 광미)이 환경처리 없이 광산 주변에 그대로 적치되어 있는 것이 환경학적으로 유해물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게 오염 된 수자원이나 토양은 동식물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동식물을 섭취하는 인간의 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Carlson 2002). 폐광산 폐기물이 환경학적으로 유해물이 되는 이유는 지표수 및 산성비 등에의하여 용출이 가능한 As, Cd, Cu, Pb 등의 중금속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해결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Wilson B., Pyatt F.B. (2006). Bio-availability of tungsten in the vicinity of an abandoned mine in the English Lake District and some potential health implications. Science of Total Environ, 370, 401-408. 

  2. Carlson L, Bigham J.M., Schwertmann U., Kyek A. (2002). Scavenging of as from acid mine drainage by schwertmannite and ferrihydrite: A comparison with synthetic analogu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6(8), 1712-1719. 

  3. Fernando P.T., Joao C.G., Said J. (2007). Investigations about the effect of aggregates on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geopolymeric mine waste mud binde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7, 933-941. 

  4. Watson J.H.P., Beharrell P.A. (2006). Extracting values from mine dumps and tailings, Minerals engineering, 19, 1580-1587. 

  5. Benzaazoua M., Belem T., Bussiere B. (2002). Chem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mine sulphidic paste backfill,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2, 1133-1144. 

  6. Bhatty J., Marijnissen J., Reid K.J. (1985). Portland cement production using mineral was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5(3), 501-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