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단 변위 판막술을 사용한 임플란트 주위 각화조직 폭경의 증대: 증례보고
Increase of the Width of Peri-implant Keratinized Tissue using Apically Positioned Flap: Case Report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9 no.4, 2013년, pp.407 - 417  

지영덕 (원광대학교 산본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선화경 (원광대학교 산본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플란트 치료의 유지단계에서 임플란트 주변 연조직의 문제 중 하나는 부착조직의 부족한 범위이다. 각화 조직은 치아 및 임플란트 주변에서 구강 위생의 유지 및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리 치은 이식술은 연조직 부족을 해결하고 임플란트 보철의 장기간의 예후를 증가시키기 위해 최적의 임플란트 주변 건강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리 치은 이식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구개와 같은 공여부 상의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한다. 뿐만 아니라 술자에게 있어 기술적인 난이도를 요구하며, 시간이 오래걸리고 이상적인 형태와 비교하였을 때 종종 조직의 색깔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근단변위판막술은 임플란트 2차 수술과 동반하여 또는 이후에 간단히 부착 조직을 증대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이번 증례보고에서는 유리치은이식술을 대신하여 작은 범위의 임플란트 부위에서 근단변위판막술을 통한 임플란트 주변 각화 조직의 폭경이 성공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ne of peri-implant soft tissue problems seen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of implant therapy is an inadequate zone of keratinized tissue. Keratinized tissue plays a major role around teeth and dental implants, helping in maintaining and facilitating oral hygiene. A free gingival graft (FGG)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보고에서는 임플란트 1차 수술 또는 골유도 재생술 후 임플란트 주변 각화 조직이 부족한 경우에서 각화 조직 폭경의 증대를 위해 임플란트 2차 수술 시 근단 변위 판막술을 동반한 증례 및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Suture of the FGG on recipient bed. F. Application of postsurgical palatal compress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donor site. G.
  • Healing of the APF and increasing the keratinized tissue after 2 weeks of implant 2nd surgery. H. Final restoration after 3 months of implant 2nd surgery.
  • Healing of the APF and increasing the keratinized tissue after 3 weeks of implant 2nd surgery. H. Final restoration after 5 months of implant 2nd surgery.
  • Healing of the FGG and increasing the keratinized tissue after 3 weeks postsurgery. H. Final restoration after 6 months postsurger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유도 재생술은 어떤 목적을 위해 시도되는가? 수직적 및 수평적으로 위축된 무치악 치조제의 임플란트 식립 시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임플란트의 안정된 골유착을 얻기 위해 골의 높이 및 폭경을 증대시키는 골유도 재생술이 시도되고 있으며,2) 이 때 판막의 일차 봉합이 필수적이다.3) 그러나 일차 봉합 시 판막이 치관 측으로 전진되어 각화 조직이 감소 또는 소실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의 불안정성이 초래될 수 있다.
임플란트 주위 각화조직 획득 및 연조직 심미 개선을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임플란트 주위의 각화 조직 획득 및 연조직 심미 개선을 위해서 근단 변위 판막술(apically positioned flap, APF), 유리 치은 이식술(free gingiva graft), 결합 조직 이식술(connective tissue graft) 등의 다양한 수술 방법이 있다3. 이 중 각화 조직이 완전히 결여된 경우 또는 충분한 폭과 두께의 각화 점막의 획득이 필요한 경우 유리 치은 이식술이 가장 예지성이 높으며 또한 임플란트 수술의 어떤 단계에서도 함께 시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g.
근단 변위 판막술의 특징은 무엇인가? 14,15)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각화 조직이 일부 남아있거나 간단히 임플란트 주변의 부착 조직을 증대시키는 경우 근단 변위 판막술이 선택된다. 이는 술후 가동성 점막의 치관부 회귀율이 유리 치은 이식술에 비해서는 높은 단점이 있으나 공여부의 손상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술식이 간단하고 유리 치은 이식술에 비해 시간이 적게 걸리는 등의 장점이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Rosenquist B. A comparison of various methods of soft tissue management following the immediate placement of implants into extraction socke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12:43-51. 

  2. Smiler D.G et al. Sinus lift grafts and endosseous implants. Treatment of the atrophic posterior maxilla. Dent. Clin. North Am 1992;36:151-88. 

  3. Kim DH, Ji S, Pang EK. Free gingival graft for the increase of peri-implant attached keratinized mucosa decreased after guided bone regeneration. J Korean Acad Periodontol 2008;38:723-28. 

  4. Fugazzotto PA. Maintenance of soft tissue closure following guided bone regeneration: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report of 723 cases. J Periodontol 1999;70:1085-97. 

  5. Trombelli L, Tatakis DN, Scabbia A et al. Comparison of mucogingival changes following treatment with coronally positioned flap and guided tissue regeneration procedure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7;5:448-55. 

  6. Dorfman HS, Kennedy JE, Bird WC. Longitudinal evaluation of free autogenous gingival grafts. A four year report. J Periodontol 1982;53:349-52. 

  7. Kennedy J, Bird W, Palcanis K et al. A longitudinal evaluation of varying widths of attached gingiva. J Clin Periodontol 1985;12:667-75. 

  8. Adell R, Lekholm U, Rockler B et al.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10:387-416. 

  9. Albrektsson T, Zarb G, Worthington P et al.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10. Friedman N. Levine HL. Mucogingival surgery: current status. J Periodontol 1964;35:5-21. 

  11. Lang NP, Berglundh T. Working Group 4 of Seventh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Periimplant disease: where are we now?-Consensus of the Seventh European Workshop on Periodontology. J Clin Periodontol 2011;38 Suppl 11:178-81. 

  12. Silverstein LH, Lefkove MD, Garnick JJ. The use of free gingival soft tissue to improve the implant/softtissue interface. J Oral Implantol 1994;20:36-40. 

  13. Evian CI, al-Maseeh J, Symeonides E. Soft tissue augmentation for implant dentistry. Compend Contin Educ Dent 2003;24:195-8, 200-2, 204-6. 

  14. Reiser G, Brun J, Mahan P et al. The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palatal donor site: Anatomic considerations for surgeon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6;16:130-7. 

  15. Park JC, Yang KB, Choi Y et al. A simple approach to preserve keratinized mucosa around implants using a pre-fabricated implantretained stent: a report of two cases. J Periodontal Implant Sci 2010;40:194-200. 

  16. Carnio J, Camargo PM, Passanezi E. Increasing the apico-coronal dimension of attached gingiva using the modified apically repositioned flap technique: A case series with a 6-month follow-up. J Periodontol 2007;78:1825-30. 

  17. Meffer R. The soft tissue interface in dental implantology. Implantologist 1986;5:55-58 

  18. Barone R, Clauser C, Grassi R et al. A protocol for maintaining or increasing the width of masticatory mucosa around submerged implants: a 1-year prospective study on 53 patient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8;18:377-87. 

  19. Schroeder A, van der Zypen E, Stich H et al. The reactions of bone, connective tissue, and epithelium to endosteal implants with titanium-sprayed surfaces. J Maxillofac Surg 1981;9:15-25. 

  20. Han TJ, Takei HH, Carranza FA. The strip gingival autograft technique.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3;13:180-7. 

  21. Lee KH, Kim BO, Jang HS. Clinical evaluation of a collagen matrix to enhance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round dental implants. J Periodontal Implant Sci 2010;40:96-101. 

  22. Karring T, Lang NP, Loe H. The role of gingival connective tissue in determining epithelial differentiation. J Periodontal Res 1971;6:282-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