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시와 강원도 일부 초등학교 학생들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 관련 양육태도 비교
A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Gangwon-do in Elementary Students' Eating Habit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Attitude toward Eating Habi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5, 2013년, pp.101 - 112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조해련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  박동진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ating habits and parenting about eating habits of the elementary schoolers in two regions, Seoul and Gangwon-do, in order to understand regional differences. Methods: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included 365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아동만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태도를 아동이 지각하는 양육 태도로 분석하였고, 아동의 식습관과 양육태도를 지역별로 분석한 연구도 시행되었으나 집단 간 단순 비교에 그쳐 지역별 차이를 다각적으로 고찰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비만의 위험이 높은 강원도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 태도를 서울시 초등학생 및 어머니와 다차원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서울시과 강원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 연구목적은 지역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고, 지역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서울시과 강원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 연구목적은 지역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고, 지역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서울시와 강원도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6학년 아동과 어머니 365쌍을 대상으로 서울시와 강원도의 식습관 및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지역별 학령기 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강원도 전체의 아동 비만은 서울 지역보다 높지만 전국조사 자료를 보면 강원도뿐 아니라 전국 농어촌 지역의 아동들의 비만은 도시지역보다 높게 나타난다(Ministry of Education, 2012; Park, 2011). 이러한 농어촌 지역 아동의 비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고려를 위해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특히 지역사회 차원에서 아동들의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은 물론 효과적인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에 도움을 줄 것이다.
  • 본 연구는 서울시와 강원도의 초등학생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의 식습관과 어머니의 식습관과 관련된 양육태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를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아동의 지각한 체형과 체중조절, 식습관은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비만에 대한 정보는 아동과 어머니가 생각하는 체형에 대한 주관적인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일부 초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대표성을 갖는 표본으로 아동의 식습관, 어머니의 양육태도, 주관적인 체형과 함께 BMI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은 어떤 시기인가? 아동의 비만은 고혈압, 지질대사이상, 당뇨병,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의 조기발생과 관련이 높으며 우울, 열등감, 부정적 자아상 등과 같은 정신 사회적 문제들도 나타날 수 있고 어린 시절 과체중이나 비만아였던 아동의 상당수가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비만상태로 있으며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다(Erickson, Robinson, Haydel, & Killen, 2000). 또한 초등학생은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 시기의 비만은 인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Sung, Ham, & Lee, 2012). 비만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부적절한 식습관, 특정 음식의 과잉섭취, 운동부족, 유전적인 요인, 사회 심리적인 요인, 영양지식 부족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Davision & Birch, 2001; Kang, Ryu, & Cho, 2010).
비만이 발생하는 이유는? 또한 초등학생은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 시기의 비만은 인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Sung, Ham, & Lee, 2012). 비만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부적절한 식습관, 특정 음식의 과잉섭취, 운동부족, 유전적인 요인, 사회 심리적인 요인, 영양지식 부족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Davision & Birch, 2001; Kang, Ryu, & Cho, 2010).
아동 비만이 위험한 이유는? 아동의 비만은 고혈압, 지질대사이상, 당뇨병,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의 조기발생과 관련이 높으며 우울, 열등감, 부정적 자아상 등과 같은 정신 사회적 문제들도 나타날 수 있고 어린 시절 과체중이나 비만아였던 아동의 상당수가 성인이 되어서도 여전히 비만상태로 있으며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다(Erickson, Robinson, Haydel, & Killen, 2000). 또한 초등학생은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 시기의 비만은 인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Sung, Ham, & Le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ng, Y., Lee, S., & Lee, S. (2002).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 in obese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3), 155-164. 

  2. Choe, Y., & Min, H. (2009). Comparison of children‘s body weights and eating habits by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1), 77-86. 

  3. Davision, K. K., & Birch, L. L. (2001). Childhood overweight: A contextual model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besity Reviews, 2(3), 159-171. 

  4. Erickson, S. J., Robinson, T. N., Haydel, K. F., & Killen, J. D. (2000). Are overweight children unhappy?: Body mass index, depressive symptom, and overweight concer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4, 931-935. 

  5. Golan, M., & Crow, S. (2004). Parents play key player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weight-related problems. Nutrition Reviews, 62(1), 39-62. 

  6. Hong, S., & Kim, Y. (2009). Comparison of food habit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between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 Inchoen.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2), 143-156. 

  7. Huver, R. M., Otten, R., de Vries, H., & Engels, R. C. (2010). Personality and parenting style in par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33(3), 395-402. 

  8. Jung, K. (2012).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of 5th & 6th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life education by teacher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3), 266-285. 

  9. Kang, S., Ryu, H., & Cho, I.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obesity of senior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1), 35-48. 

  10. Kim, K., Lee, E. Y., & Kim, H. (2011). Development of population-based prevention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Applied WHO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43-55. 

  11. Kim, K. 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5(2), 180-190. 

  12. Kim, M. J. (2011). Explora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feeding style dimension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ers and middle schoolers and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dimensions and child's food behavi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0(4), 544-556. 

  13. Kremers, S. P. J., Brug, J., de Vries, H., & Engels, R. C. (2003). Parenting style and adolescent fruit consumption. Appetite, 41(1), 43-50. 

  14. Lee, K. M., & Mun, J. M. (2004). A study on obese realities and factor analysi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12(1), 61-60. 

  15. Ministry of Education. (2012). 2011 Korean Health Test Standard Study. Seoul, Korea: Author.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2012 Report of Social Welfare Facility Evaluation. Seoul, Korea: Author. 

  17. Paek, K. (2009). Dietary pattern analysis and factors affecting abdominal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School Health, 22(2), 137-146. 

  18. Pak, G. H., & Kang, H. Y. (2007).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obesity, food habit and stress of obese children at a urba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School Health, 20(2), 1-12. 

  19. Park, J. Y. (2011).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children : The results of Korean children-adolescent cohort study 2005-2010. Cheongwon-gu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 Statistics Korea. (2010). Population Cencus. Daejeon, Korea: Author. 

  21. Sung, K. M., Ham, O. K., & Lee,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and depression of obese and over-weight and normal weigh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School Health, 25(2), 192-20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