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의 SHRIMP U-Pb 연령
SHRIMP U-Pb Ages of the Namwon and Sunchang Granites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2 no.2, 2013년, pp.197 - 208  

조희제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지구환경과학전공)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이기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은 한반도의 남서부에서 각각 영남육괴와 옥천변성대를 관입하고 있는 인접암체이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신뢰도가 높은 연령 분석방법으로 평가되는 SHRIMP를 이용하여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체의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원화강암체로부터 $185.8{\pm}0.9(2{\sigma})$ Ma의 정치연령을 구하였다. 한편 순창화강암체의 북부지역으로부터는 $175.0{\pm}2.0(2{\sigma})$ Ma, 그리고 중부지역으로부터는 $179.8{\pm}0.9(2{\sigma})$ Ma의 연령을 구하였으며, 순창화강암체의 분석자료 전체로부터는 $177.4{\pm}1.3(2{\sigma})$ Ma의 평균연령이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순창화강암에 현저한 변형을 초래한 호남전단대의 활동이 약 175Ma 이후에도 일어났음을 확인해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mwon and Sunchang granites are neighbouring plutons intruding the Yeongnam massif and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respective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SHRIMP zircon U-Pb ages are determined from these plut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lacement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은 열이온화질량분석기(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TIMS)를 이용한 U-Pb 연대자료를 중심으로 그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간략하게 평가한바 있다. 여기서는 화학적 연대측정법(Chemical U-Th-total Pb isochron method, CHIME)과 Rb-Sr 연대측정 결과를 포함하여 논의한다.
  • , 2005)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에서는 순창화강암과 남원화강암 두 암체에 대해 보고된 연대측정 자료들을 비교 논의한다. 이와 동시에 정확하고 정밀한 연대측정 방법인 초고분해능 이온현미분석기(Sensitive High Resolution Ion Micro Probe, SHRIMP)를 이용하여 새롭게 수행한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를 보고하며, 그 의미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한다.
  • 순창화강암과 남원화강암에 대한 K-Ar 및 Ar-Ar 연대측정 자료들은 대부분 20년 이상 오래 전에 보고된 자료들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보다 현대적인 분석자료들에 비해서는 정밀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이 논문에서는 논의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더욱 정밀한 분석자료로 평가되는 최근에 보고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최근 Park et al.
  • 이 논문에서는 순창화강암과 남원화강암 두 암체에 대해 보고된 연대측정 자료들을 비교 논의한다. 이와 동시에 정확하고 정밀한 연대측정 방법인 초고분해능 이온현미분석기(Sensitive High Resolution Ion Micro Probe, SHRIMP)를 이용하여 새롭게 수행한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를 보고하며, 그 의미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은 무엇인가?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은 한반도의 남서부에서 각각 영남육괴와 옥천변성대를 관입하고 있는 인접암체이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신뢰도가 높은 연령 분석방법으로 평가되는 SHRIMP를 이용하여 남원화강암과 순창화강암체의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순창화강암은 무엇인가? 순창화강암은 한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임실과 순창을 잇는 지역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하는 화강암체이다(Fig. 1).
다른 정밀한 연대측정자료가 가용한 경우에는 그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순창화강암과 남원화강암은 여러 방법에 의한 연대 측정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K-Ar 및 Ar-Ar 연대측정 법의 경우 심성암의 정치시기를 매우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나, 후기의 열적교란 또는 변질 등에 의해 원래의 연령을 잘 나타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다른 정밀한 연대측정자료가 가용한 경우에는 그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ong, C.S., Kee, W.-S., Jeong, Y.-J., and Jeong, G.-Y., 2005, Multiple deformation along the Honam shear zone in southwestern Korea constrained by Rb-Sr dating of synkinematic fabrics: Implications for the mesozoic tectonic evolution of northeastern Asia. Lithos, 87, 289-299. 

  2. Cho, D.-L., Lee, S.R., and Armstrong, R., 2008. Termination of the Permo-Triassic Songrim (Indosinian)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Occurrence of ca. 220 Ma post-orogenic alkali granites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Lithos 105, 191-200. 

  3. Cho, K.-H., Takagi, H., and Suzuki, K., 1999, CHIME monazite age of granitic rocks in the Sunchang shear zone, Korea: Timing of dextral ductile shear. Geosciences Journal, 3, 1-15. 

  4. Dodson, M.H., 1973, Closure temperautre in cooling geochronological and petrological system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40, 259-274. 

  5. Hong, M.S., Yun, S., and Gil, Y.J., 1966, Geological Report of the Galdam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36p. 

  6. Hong, S.H. and Hwang, S.K., 1984, Geological Report of the Gurye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1p. 

  7. Ireland, T.R. and Williams, I.S., 2003, Considerations in zircon geochronology by SIMS. In: Hanchar, J.M. and Hoskin, P.W.O. (eds.), Zircon: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53, 215-241. 

  8.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 J., 30, 323-338. 

  9. Kim, D.H. and Lee, B.J., 1984, Geological Report of the Namweon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8p. 

  10. Kim, K.B., Choi, W., Hwang, J.H., and Kim, J.H., 1984, Geological Report of the Osu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62p. 

  11. Kim, O.J., Hong, M.S., Yun, S.K., Park, H.I., Park, Y.D., Kim, K.T., Lee, H.Y., and Yoon, S., 1964, Geological Report of the Un Bong Sheet (1:50,000). Kyeong Sang Nam Do, Korea, 29p. 

  12. Kwon, S.-T. and Lee, J.-H., 1997, A note on the age of the Honam Shear Zon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3, 183-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B.J., Kim, J.C., Kim, Y.B., Cho, D.-L., Choi, H.-I., Chun, H.Y., and Kim, B.C., 1997, Geological map and explanatory note of the Gwangju Sheet (1:2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82p. 

  14. Ludwig, K.R., 2008,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4, 77p. 

  15. Ludwig, K.R., 2009, SQUID 2: a user's manua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No. 2, 100p. 

  16. Na, C.-K., Lee, I.-S., and Chung, J.-I., 1997, Petrogenetic study of the foliated granotoids in the Chonju and the Sunchang area (II) -in the light of Sr and Nd isotopic properties-. Econ. Environ. Geol., 30, 249-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H.I., 1966, Geological Report of the Suncha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43p. 

  18. Park, K.-H., Kim, M.J., Yang, Y.S., and Cho, K.O, 2010, Age distribution of the Jurassic plutons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269-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Y.S., Park, C.Y., Kim, J., Ryu, J.S., and Kim, Y.J., 1996, Rb-Sr & Sm-Nd isotopic study on the granitoids in the Namwe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33, 40-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2004TC001720. 

  21. Son, C.M. and Kim, S.J., 1966, Geological Report of the Changpyeo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50p. 

  22.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i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243-258. 

  23. Williams, I.S., Cho, D.-L., and Kim, S.W., 2009,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riassic pluton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Constraints on Triassic post-collisional magmatism. Lithos, 107, 239-2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