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보안 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험보상이론 관점에서
An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mpliance to Information Security Policy: From Risk Compensation Theory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0, 2013년, pp.153 - 168  

임명성 (삼육대학교 경영학과) ,  한군희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보안은 여전히 많은 조직에서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어떻게 조직 구성원들의 보안행위를 유도할 것이며, 내부인력에 의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지는 여전히 정보보안 분야에서 탐색되어야할 문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정보보안 대책이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위험보상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보안 대책과 조직 구성원들의 보안정책준수의도 간의 관계는 시스템의 취약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위험보상이론의 기본 가정과 반대된다. 반면 시스템 품질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security has been a major concern in organizations. The longstanding question of how to improve employees security behaviors and reduce human errors remains unanswered and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in the information security domain. To do this, we propose a risk compensation theory-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보상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위험보상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보안 대책과 조직 구성원들의 보안정책준수의도 간의 관계는 시스템의 취약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위험보상이론의 기본 가정과 반대된다.
정보유출 사고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Ponemon Institute(2013)가 9개국 16개 산업에 속한 277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정보보안 관련 조사에 따르면, 정보유출 사고 원인의 37%가 외부 공격(malicious or criminal attack), 35%가 내부인에 의한 유출(human factor), 29%가 시스템 결함(system glitch)이라고 밝혔다. 즉 여전히 조직 내부 인력에 의한 유출사고가 보안사고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위험 항상성 이론에 따르면 사고가 무엇이라고 주장하는가? Wilde(1982)에 의해 소개된 위험 항상성 이론(Risk Homeostasis Theory)은 사고(accidents)가 인지된 위험(perceived risk)과 수용가능한 목표 위험수준(accepted target level of risk)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시도에서 발생한 행위의 결과라고 주장한다[39]. 즉, 추구하는 위험수준보다 인지된 주관적 위험 수준이 높거나 낮다면, 개인은 위험 수준간의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을 취한다고 주장한다[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