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전류 자극이 척주세움근의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rector Spinae Fatigue Index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545 - 551  

강다행 (세한대학교 대학원, 세한대학교 홈케어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시간 들기 내리기 작업을 실시한 누적피로 대상자에게 미세전류자극 및 휴식을 적용하여 피로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S대학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말초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이 없고 오른손을 사용하는 20대의 신체 건강한 남자 2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0 kg 상자를 15분 동안 들기 내리기를 100회 실시한 직후, 표면근전도기를 이용한 근피로지수(Median Frequency : MF)와 혈액피로지수(Creatine Kinase Lactate : CK, Lactate Dehydrogenase : LDH)를 측정하였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미세전류자극을 대조군에는 휴식을 각각 20분간 중재하였다. 중재 후, 근피로지수와 혈액피로지수를 측정하여 누적 피로지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휴식그룹의 왼쪽 척주세움근 피로지수를 제외한 두 그룹 모두에서 중재방법 적용 전보다 적용 후 유의한 누적피로의 감소(p<.05)가 있었고, 미세전류의 자극은 휴식과 비교했을 때, 근피로지수의 유의한 감소(p<.05)를 보였지만, 혈액피로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세전류자극은 반복적인 들기와 내리기 작업 종사자들의 근피로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되며, 장시간 피로지수 추적조사 및 중재 적용시간에 따른 피로회복의 상관관계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and rest on the fatigue index by applying both to subjects who had accumulated fatigue after performing short-duration physical activit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S University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on 22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시간동안의 반복적 들기와 내리기 동작이 척주세움근의 근피로지수 및 혈중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추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규명되지 못한 미세전류 중재가 누적피로 지수에 미치는 유의성을 확인하여 단시간동안 반복적인 들기와 내리기 작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작업자들에게 피로누적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을 위한 적절한 중재방법을 선택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시간동안의 반복적 들기와 내리기 동작이 척주세움근의 근피로지수 및 혈중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추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규명되지 못한 미세전류 중재가 누적피로 지수에 미치는 유의성을 확인하여 단시간동안 반복적인 들기와 내리기 작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작업자들에게 피로누적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을 위한 적절한 중재방법을 선택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단시간 반복적 들기·내리기가 근육과 혈중의 피로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후 누적된 피로가 휴식을 취한 것 보다 미세전류자극 중재에서 효과적으로 회복되는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전류치료는 어떻게 손상회복을 촉진하는가? 미세전류치료는 인체에 1mA 미만의 전류를 사용하여 손상전류를 정상적인 생체전류로 바꾸어 손상회복을 촉진한다[16].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일반적 손상회복 및 골절치유 촉진 조직재생 효과 등의 연구들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적으로는 류마티스, 골절, 피로 등의 회복에 관한 인과적 연구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16,17,18] 국외 연구에서는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암 및 당뇨성 손상 등의 세부적이며,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19,20].
일반적인 피로의 정의는 무엇인가? 피로는 일반적으로는 고강도 근활동 능력의 감소[1] 및 작업활동의 장시간 수행능력 감소를 말한다[2]. 반복적인 일상생활 동작에서부터 스포츠 활동 이후 까지 다양한 활동 중에 피로가 발생하며, 특히 작업 중 피로누적은 몸의 균형 손상과 체성신경계 조절장애 등의 주요 손상을 야기한다[3].
반복적인 물건 들기 및 내리기는 어떤 과정을 통해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가? 역학적으로 물건 들기 및 내리기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척주세움근 (erector spinae)은 척추의 굴곡 중에 복부 내부의 높은 압력을 유지하여 척추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반복적인 들기와 내리기는 근피로를 누적하게 되며, 반복되는 구부림 동안 척추의 받는 하중이 계속 증가되지만, 척추를 보호하는 내부 압력은 줄어들면서 허리 통증이 호발하게 된다[8,9] 이러한 요소들 때문에 인력물자취급(manual materials handling) 작업 등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의 안전과 예방을 위한 피로와 관련한 허리통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 G. Allen, H. Westerblad, Role of phosphate and calcium stores in muscle fatigue.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 1, No. 536, pp. 657-665, 2001. 

  2. M. M. Lorist, D. Kernell, T. F. Meijman, I. Zijdewind, Motor fatigue and cognitive task performance in humans.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 15, No. 545, pp. 313-319, 2002. 

  3. T. Ledin, P. A. Fransson, M. Magnusson, Effects of postural disturbances with fatigued triceps surea muscles or with 20% additional body weight. Gait & Posture, Vol. 19, pp. 184-193, 2004. 

  4. N. Rahnama, T. Reilly, A. Lees, Electromyography of selected lower-limb muscles fatigued by exercise at the intensity of soccer match-play.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Vol. 16, pp. 257-263, 2006. 

  5. Joon-Hee Lee, Seung-Kyu Park, Jeong-Il Kang, Dae-Jung Yang, Je-Ho Kim, Yong-Sik Jeong, The Effect of Progressive Lumbar Stability Exercise o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Thickness and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Index in Soccer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22, No. 3, pp. 349-356, 2012. 

  6. D. B. Chaffin, G. J. Anderson, Occupational Biomechanics, (second ed,), NY: John Wiley & Sons, 1991. 

  7. Lee Tae Yong, Kim Jung Yong, Shin Hyun Joo Analysis of Trunk Muscle Fatigue as the Frequency of Lifting/Lowering and Recovery Time Chang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25, No. 2, pp. 197-204, 2006. 

  8. T. R. Waters, V. P. Andersen, A. Grag, Applications Manual For the Revised NIOSH Lifting Equation. Cincinnati: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4. 

  9. K. G. Davis, W. S. Marras, The effects of motion on trunk biomechanics, Clinical Biomechanics. Vol. 15, pp. 703-717, 2000. 

  10. J. S. Park, H. G. Kim, J. Y. Choi, Comparison Analysis of Physiological Work Capacity for Different Task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15, No. 2, pp. 89-98, 1996. 

  11. J. H. Van Dieen, H. M. Toussaint, C. Thissen, A. Van de Ven, Spectral analysis of erector spinae EMG during intermittent isometric fatiguing exercise. Ergonomics, Vol. 36, pp. 407-414, 1993. 

  12. G. L. Soderberg, (Eds.) Selected Topics in Surface Electromyography for Use in the Occupational Setting: Expert Perspectives. Rockvil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2. 

  13. P. Brancaccio, N. Maffulli, R. Buonnauro, F. M. Limongelli, Serum enzyme monitoring in sports medicine. Clinical in Sports Medicine, Vol. 27, No. 1, pp. 1-18, 2008. 

  14. Shin H. J., Kim J. Y. Measurement of trunk muscle fatigue during dynamic lifting and lowering as recovery time cha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 37, pp. 545-551, 2007. 

  15. Y. Y. Kim, S. H. Park, H. S. Kang,Y. S. Oh, The effect of massage and tapping therapy on improvement of iliocostalis lumborum and gastrocnemius conditions. Korea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Vol. 20, No. 2, pp. 131-138, 2011 

  16. Cho Mi-Suk, Park Rae-Joon, Park So-Hyun, Cho Yong-Ho, Goh Ah Cheng, The Effect of Microcurrent-Inducing Shoes on Fatigue and Pain in Middle-Aged People with Plantar Fasciti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19, No. 2, pp. 165-170, 2007. 

  17. Hyun-min Lee, Sang-yeol Lee,,Jong-sung Chang, Myoung-hee Lee, Jong-ho Kang, Effect of Microcurrent Therapy on Interleukin-6 Expression in Adjuvant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R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 5, No. 4 pp. 551-558, 2010. 

  18. Mi-Suk Cho, The Effect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xpression of BMP-4 After Tibia Fracture in Rabbits. Journal of Korean Contents. Vol. 10, No. 3, pp. 196-203, 2010. 

  19. J. Q. Tong, R. T. Liu, L. Y. Zhao, W. C. Kong, J. T. Tang, Inhibiting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with Alternating Micro-current at Intermediate Frequency (ACIF) in Vitro and in Vivo. World Congress on Medical Phys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Vol. 39, pp. 1596-1599, 2013. 

  20. A. Ramadhinara, K. Poulas. Use of wireless microcurrent sti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related wounds: 2 case reports.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Vol. 26, No.1, pp 1-4, 2013. 

  21. K. Cheung, P. A. Hume, L. Maxwell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Sports Medicine, Vol. 33, No. 2 pp. 145-164, 2003. 

  22. P. Dolan, M. A. Adams Repetitive lifting tasks fatigue the back muscles and increase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lumbar spine.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1, pp. 713-721, 1998. 

  23. Lim In-Soo, Effects of Aerobic Training During 12 Week on the Changes of Blood Lactate, CK, LDH, and Neurotransmitter Concentration Following Maximal Exercis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0, No. 6, pp. 439-445, 2011. 

  24. P. M. Clarkson, A. K. Kearns, P. Rouzier, R. Rubin, P. D. Thompson, Serum Creatine Kinase Levels and Renal Function Measures in Exertional Muscle Damag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d, Vol. 38, No.4, pp. 623-627, 2006. 

  25. M. D. Weber, F.J. Servedio, W.R. Woodall, The effects of three modalities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ou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Vol. 20, No. 5, pp. 236-242, 1994 

  26. R. J. Park, Electrotherapy. Seoul: Hyunmoon, 2003. 

  27. R. K. Aaron, B. D. Boyan, D. M. Ciombor, Z. Schwartz, B. J. Simon, Stimulation of growth factor synthesis by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Vol. 419, pp. 30-37,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