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엘리뇨/라니냐와 정상 기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자치어의 군집구조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of Fish Larvae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Normal and El Niño/La Niña Period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6, 2013년, pp.907 - 916  

유준택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최정화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김진영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김종빈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최광호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munity structure of larval fish speci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during normal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autumn 2009, during the El Ni$\tilde{n}$o period in 2009-2010, and during the La Nina period in 2010. Fifty taxa were recorded dur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지역의 해수면 온도 편차를 5개월 이동평균한 값(Oceanic Nino Index)을 나타낸 결과, 2009-2010년 엘리뇨와 2010-2011년 라니냐가 가장 뚜렷하였고, 2008-2009년에는 엘리뇨와 라니냐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엘리뇨/라니냐가 발생하지 않은 2008년 10월, 엘리뇨가 발생한 2009년 10월, 라니냐가 발생한 2010년 10월에 채집한 자치어 자료를 사용하여 군집구조를 상호 비교하였다.
  • 그러므로 동중국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어류플랑크톤의 군집 구조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 주요 수산자원에 대한 어업관리 계획 수립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엘리뇨와 라니냐가 발생한 기간과 발생하지 않은 기간 간 자치어의 군집구조를 비교하여 군집구조 특성과 군집 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정상적인 기간에 포함되는 2008년 추계, 엘리뇨와 라니냐 발생 기간에 각각 포함되는 2009년과 2010년 추계 간에 자치어의 군집구조를 비교하여 위에 언급한 연구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즉, 정상적인 기간과 엘리뇨/라니냐 기간 간에 우리나라 연안역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자치어 분류군 간에 생물량 차이가 있 었고, 이것이 정상적인 기간과 엘리뇨/라니냐 기간 간 유의한 군집구조 차이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엘리뇨와 라니냐는 무엇인가? 엘리뇨와 라니냐는 열대 동태평양에서 각각 평년 이상과 이하의 표층 수온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Trenberth and Stepaniak, 2001; Yoon and Yeh, 2009), 전 지구적인 기후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Latif, 2001).
우리나라 기상청에서의 엘리뇨/라니냐 정의를 어떻게 보는가?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엘리뇨/라니냐 정의를 Trenberth (1997)의 제안에 따른다. 즉, 엘리뇨 감시구역(열대 태평양 Nino 3.4지역 : 5°S-5°N, 170°W-120°W)에서 5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온도 편차가 0.4℃ 이상(-0.4℃ 이하) 나타나는 달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을 엘리뇨(라니냐)의 시작으로 본다.
캘리포니아 주변해역에서는 엘리뇨 발생기간동안 어떤 현상이 발생하였는가? , 2002; Fiedler, 1983). 캘리포니아 주변해역에서는 엘리뇨 발생기간 동안 영양염 감소에 따른 기초생산량 감소(Chavez et al., 2002)와 동물플랑크톤 생물량 감소 및 종조성 변화(González et al., 2000; Gómez-Gutiérrez et al., 1995; Lavaniegos et al., 1998; Lavaniegos et al., 2002; Mackas and Galbraith, 2002; Marinovic et al., 2002)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열대 중서부태평양 해역과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 주변해역에서도 엘리뇨 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Blancho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lanchot J, Rodier M and Bouteiller L. 1992. Effect of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phytoplankton in the western Pacific tropical Ocean along $165^{\circ}E$ .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14, 137-156. 

  2. Boeing WJ and Duffy-Anderson JT. 2008. Ichthyoplankton dy­namics and biodiversity in the Gulf of Alaska: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 Ecological Indicators 8, 292-302. http://dx.doi.org/10.1016/j.ecolind.2007.03.002. 

  3. Chavez FP, Pennington JT, Castro CG, Ryan JP, Michisaki RP, Schlining B, Walz P, Buck KR, McFadyen A and Collins CA. 2002. Biological and chemical consequences of the 1997-1998 El Nino in central California waters. Progress in Oceanography 54, 205-232. http://dx.doi.org/10.1016/ S0079-6611(02)00050-2. 

  4. Chavez FP, Strutton PG, Friederich GE, Feely RA, Feldman GC, Foley DG and McPhaden MJ. 1999. Biological and chemical response of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to the 1997-98 El Nino. Science 286, 2126-2131. 

  5. Fiedler PC. 1983. Some effects of El Nino 1983 on the northern anchovy. CalCOFI Rep 24, 202-209. 

  6. FRA. 2013.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Fishery Stocks. Retrieved from http://kokushi.job.affrc.go.jp on June 17. 

  7. Franco-Gordo C, Godinez-Dominguez E, Filonov AE, Teresh­chenko IE and Freire J. 2004. Plankton biomass and larval fish abundance prior to and during the El Nino period of 1997-1998 along the central Pacific coast of Mexico. Prog­ress in Oceanography 63, 99-123. 

  8. Franco-Gordo C, Godinez-Dominguez E, Suarez-morales E and Freire J. 2008.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ichthyoplankton assemblages in the central Mexican Pacific. Fisheries Oceanography 17, 178-­190. http://dx.doi.org/10.1111/j.1365-2419.2008.00463.x. 

  9. Go YB, Go GM and Kim JM. 1991. Occurrence of fish larvae at Hamduck coastal area,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Ko­rean J Ichthyol 3, 24-35. 

  10. Gonzalez HE, Sobarzo M, Figueroa D and Nothing EM. 2000. Composition, biomass and potential grazing impact of the crustacean and pelagic tunicates in the northern Humboldt Current ara off Chile: differences between El Nino and non-El Nino years. Mar Ecol Prog Ser 195, 201-220. 

  11. Gomez-Gutierrez J, Palomares-Garcia R and Gendron D. 1995. Community structure of the euphausiid populations along the west coast of Baja California, Mexico, during the weak ENSO 1986-1987. Mar Ecol Prog Ser 120, 41-51. 

  12. Han KH, Kim DY, Jin DS, Shin SS, Baik SR and Oh SH. 2001. Seasonal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Sunchon Bay, Korea. Korean J. Ichthyol 13, 136-142. 

  13. Han KH, Shin YH and Hwang DS. 2002.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off Kohung Penin­sula, Korea. Korean J Ichthyol 14, 45-52. 

  14. Hwang HB and Lee TW. 199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ith depth in Asan Bay. Korean J Ich­thyol 11, 52-61. 

  15. Ishihara S and Kubota T. 1997. Food habits of the Lanternfish Benthosema pterotum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Nippon Suisan Gakkaishi 63, 522-530. 

  16. Isoguchi O, Kawamura H and Ku-Kassim KY. 2005. El Nino­related offshore phytoplankton bloom events around the Spratley Islands in the South China Sea. Geophys Res Lett 32, L21603. http://dx.doi.org/10.1029/2005GL024285. 

  17. Kim IO and Rho HK. 1994. A study on China coastal water ap­peared in the neighbouring seas of Cheju Island. Bull Ko­rean Fish Soc 27, 515-528. 

  18. Kim IS, Choi Y, Lee CL, Lee YJ and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Hwang JS, ed. Kyo-Hak, Seoul, Korea, 1-615. 

  19. Kim JY, Kang YS, Oh H, Suh YS and Hwang JD. 2005. Spatial distribution of early life stages of anchovy(Engraulis japoni­cas) and hairtail(Trichiurus lepturu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ceanographic features of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1997-1998 El Nino Event.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3, 13-21. 

  20. Kim SA and Kang SK. 2000. Ecological variations and El Nino effects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Fisheries Oceanography 9, 239-247. 

  21. Kwak SN and Huh SH. 2003.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Kor Fish Soc 36, 129-135. 

  22. Lavaniegos BE, Gomez-Gutierrez J, Lara-Lara JR and Hernan­dez-Vazquez S. 1998. Long-term changes in zooplankton volumes in the California Current System-the Baja Califor­nia region. Mar Ecol Prog Ser 169, 55-64. 

  23. Latif, M and co-authors. 2001. ENSIP: The El Nino simulation intercomparison project. Clim Dyn 18, 255-276. 

  24. Lau KM. 1992. East Asian summer monsoon rainfall variability and climate teleconnection. J Meteorol Soc Japan 70, 211­-242. 

  25. Lavaniegos BE, Jimenez-Perez LC and Gaxiola-Castro G. 2002. Plankton response to El Nino 1997-1998 and La Nina 1999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California Current. Progress in Oceanography 54, 33-58. 

  26. Lie HJ. 1984. A note on water masses and general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Hwanghae).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87-194. 

  27. Liu JY. 2013. Status of marine biodiversity of the China Sea. Plos One 8, 1-24. 

  28. Smith PE and Eppley RW. 1982. Primary production and the anchovy population in the Southern California Bight: Com­parison of time series. Limnol Oceanogr 27, 1-17. 

  29. Suzuki K, Handa N, Kiyosawa H and Ishizaka J. 1997.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pigments in the central Pacific Ocean along $175^{\circ}E$ during the boreal summers of 1992 and 1993. Journal of Oceanography 53, 383-396. 

  30. Mackas DL and Galbraith M. 2002. Zo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long the inner portion of Line P during the 1997-1998 El Nino event. Progress in Oceanography 54, 423-437. http://dx.doi.org/10.1016/S0079-6611(02)00062­9. 

  31. Marinovic BB, Croll DA, Gong N, Benson SR and Chavez FP. 2002. Effects of the 1997-1999 El Nino and La Nina events on zooplankton abundance and euphausiid commu­nity composition within the Monterey Bay coastal upwell­ing system. Progress in Oceanography 54, 265-277. http:// dx.doi.org/10.1016/S0079-6611(02)00053-8. 

  32. Okiyama M and co-authors. 199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yo,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1-1154. 

  33. Oksanen J and co-authors. 2013.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R package version 2.0-8. Retrieved from http:// CRAN.R-roject.org/packagevegan on June 17. 

  34. Sanchez-Velasco L, Avalos-Garcia C, Renteria-Cano M and Shirasago B. 2004. Fish larvae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the central Gulf of California during strong environmen­tal changes (1997-1998 El Nino and 1998-1999 La Nina). Deep-Sea Research II 51, 711-722. 

  35. Son YT, Lee SH, Lee JC and Kim JC. 2003. Water masses and frontal structures in winter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e s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327­-339 

  36. Sugimoto T, Kimura S and Tadokoro K. 2001. Impact of El Nino events and climate regime shift on living resourc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Progress in Oceanography 49, 113-127. 

  37. Trenberth KE. 1997. The definition of El Nino. Bull Amer Me­teor Soc 78, 2771-2777. 

  38. Trenberth KE and Stepaniak DP. 2001. Indices of El Nino evo­lution. J Clim 14, 1697-1701. 

  39. Yoon JH and Yeh SW. 2009.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sian marginal SST and the two different types of El Nino. Ocean and Polar Research 31, 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