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 과실과 설탕 이외에 젤리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산, 펙틴 등을 따로 첨가하지 않고 딸기와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딸기를 70~30% 수준으로 감소한 처리구의 당도는 $59.00{\sim}77.33^{\circ}Brix$, pH는 4.17~4.28으로 증가한 반면, 총산도는 1.55~0.31%로 감소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드는 S1~S5 처리구의 L값은 5.36~30.83, a값은 27.83~37.19, 그리고 b값은 9.08~40.52로 모두 증가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딸기잼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펙틴 함량은 각각 9.91~5.15 mg/g, 4.86~1.46 mg/g으로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량에 따른 딸기잼의 물성 측정 결과에서도 hardenss, gumminess 및 chewiness은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지는 S1~S5 처리구의 glucose, fructose 함량이 감소된 반면 sucr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기산 구성은 oxalic aic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ormic acid으로 조성되었고, 이들 함량 변화는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산과 펙틴 등의 첨가물 없이 딸기와 설탕으로만 잼 제조가 가능하지만 색, 맛 등의 품질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과실잼은 과실과 설탕을 동량인 50%(w/w) 수준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과실을 60~70%(w/w) 수준으로 높인 고품질 딸기잼은 당도, 유리당,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품질이 좋았다. 하지만 당도 $65^{\circ}Brix$ 이하인 점을 고려하여 저장안정성 연구, 안토시아닌 색소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different quantities of strawberry. Strawberry jam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70-30%(w/w) strawberry puree, Sweetness, pH, total acidity, color, anthocyanin and pectin content, texture, free sugar, and organic acid content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딸기잼 제조를 위해 설탕 함량을 줄이는 대신에 딸기 첨가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조한 딸기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80%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딸기잼은 딸기의 양과 설탕 함량 차이에 의하여 유리당 조성과 총량 차이를 보인 것이다.

가설 설정

  • 이는 pH가 4.14 되는 딸기 원료(Table 1) 첨가 수준이 낮아짐에 따라 pH는 증가되고 총산은 감소된 것으로 펙틴 겔 조성이 적어져 adhesiveness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따라서 딸기 첨가수준이 낮아질수록 펙틴 함량이 감소되므로(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공전에서는 잼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식품공전(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2013)의 식품별 기준 및 규격에 따르면 잼류는 과일류 또는 채소류를 당류 등과 함께 젤리화 또는 시럽화한 것으로 식품 유형으로는 잼, 마멀레이드, 기타 잼류가 있다. 이중에서 잼 유형은 과일류 또는 채소류(생물 기준) 40% 이상(단, 베리류 30% 이상)을 당류 등과 함께 젤리화한 것으로 딸기잼은 딸기 과실을 30% 이상 함유하여 당류 등과 젤리화하여 완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는가? , Strawberry)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단맛과 신맛이 잘 조화되어 있으며, 향기가 풍부하여 생식하는 외에 잼, 젤리 등의 가공품 제조에 주로 이용된다. 딸기는 그 종류에 따라 성분 함량이 다르나 일반적으로 vitamin C, quercetin, caffeic acid, ferulic acid, flavanol류 및 안토시아닌 색소 등의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칼륨, 철분이 많고, 맛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당분과 유기산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arrett DM 등 2005, Cho JI 등 2004, Kim JG 등 1998, Lee JM 등 2003).
잼의 겔 형성을 위해서는 과실 원료 외에 무엇이 필요한가?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과실 함량이 최대 50% 이하 또는 설탕이 최소 50% 이상은 함유되어야 가능하다. 과실 원료 이외에 겔 형성을 돕기 위해 0.5~1% 펙틴을 첨가하고, 펙틴 겔 형성에 최적 pH인 2.8~3.5를 유지하기 위해 레몬즙이나 주석산, 구연산 등의 산미료를 첨가한다. 또한 과즙의 당 농도가 60~65%일 때 펙틴 겔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Huh TY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CB, Shin TS, Nam TS. 2000.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Korean J Fish Soc 33(5): 423-430 

  2. Annual Food Distribution. 2012. Food Journal p 637 

  3. Barrett DM, Somogyi L, Ramaswamy H. 2005. Strawberries and raspberries. In processing Fruits-Science and Technology. 2nd ed. Barret DM, ed.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pp 531-561 

  4. Byun MU, Yook HS, Ahn HJm Lee KH, Lee HJ. 2000. Quality evaluation of strawberry jam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Halocymthia roretzi)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5): 1068-1072 

  5. Cho JI, Ha SD, Kim KS. 2004.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potassium sorbate against natural microflora in strawberry past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 355-360 

  6. Choi SJ. 2010. The difference of anthocyanin pigment composition and color expression in fruit skin of several grap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7(6): 847-852 

  7. Huh TY. 2008. Food Science. Yuhansa. Seoul. pp 224-225 

  8. Jarvis MC. 1984.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ectin gels in plant cell walls. Plant Cell Environ 5(7): 153-164 

  9. John MA, Dey PM. 1986. Postharvest changes in fruit cell wall. Advances Food Res 30(1): 139-193 

  10. Kim HB, Ryu KS. 2000.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jam & wine. Korean J Seric Sci 42(2): 73-77 

  11. Kim HY, Hwang IG, Yoo SM, Hwang Y, Cah SM, Kim H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 juebjang.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1(4): 571-579 

  12. Kim JG, Hong SS, Jeong ST, Kim YB, Jang HS. 1998. Quality changes of Yeobong strawberry with CA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 871-876 

  13. Kim JW, Sung KH. 2010.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fruit-gruel with added kiwi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2): 313-320 

  14. Kim KS, Chae YK. 1997. The effects of addition of 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jam. Korean J Soc Food Sci 13(3): 348-355 

  15. Kim KS, Paik SH. 1998. The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use of varying amounts of garlics as additives in apple jams. Korean J Soc Food Sci 14(5): 553-559 

  16. Kim MY, Chun SS. 2000. The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J Soc Food Sci 16(6): 530-537 

  17. Kim MY, Chun SS. 2001. Effects of oni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4): 316-322 

  18. Kim SJ, Moon JS, Kim JM, Kang SG, Jung ST. 2004.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3): 598-602 

  19. Kim Y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yacon K-23 and manufacture of functional yacon ja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6): 1305-1308 

  20. Koh JS, Kim JY, Yang YT. 2002. Preparation of carrot jam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Subtropical Agric Biotech 18(2): 15-21 

  21. Koh JS, Yang YT. 2001. Preparation of fig jam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2): 169-174 

  22. Korean Food Standards Codex. Food-specific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20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 5-4-1 

  23. Lee EY, Jang MS. 2009. Optimization of ingredients for the preparation of chinese quince(chaenomelis sinensis) jam by mixture desig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7): 935-945 

  24. Lee GD, Jeong YJ. 1999.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269-1274 

  25. Lee GD, Kim SK, Lee MH. 2005. Optimization of preparation condition on oriental melon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2(3): 216-222 

  26. Lee JM, Kim SK, Lee GD. 2003.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 679-683 

  27. Lee TS, Chi YS. 1989. Studies on the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strawberry during maturing. J Korean Agric Chem Soc 32(3): 232-239 

  28. Mazza G, Brouillard R. 1990. The mechanism of co-pigmentation of anthocyanins in aqueous solution. Phytochem 29(4): 1097-1102 

  29. McComb, E.A, McCready, RM. 1952.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pectic substances. Analytical Chem 24(10): 1630-1632 

  30. Naes T, Faergested EM, Cornell J. 1998. A comparison of methods for analyzing data from a three component mixture experiment in the presence of variation created by two process variables. Chemometrics Intelligent Lab Sys 41(2): 221-235 

  31. Oh HH. 200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Master thesis.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 24 

  32. Park M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ugar alcoho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1): 44-49 

  33. Sim KH, Joo NM, Han YS. 2006. Optimization of garlic jam making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2(1): 32-43 

  34.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3): 279-2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