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CQ 약제의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미치는 목재 조직의 영향
Penetration of ACQ Treatment and its Effect of Degradation on Wood Tissues (Structure)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6, 2013년, pp.576 - 582  

이현미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동흡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황원중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리계 보존제 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 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 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 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 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wood preservative process using copper, the penetration ACQ-2 preservative agent into Douglas fir wood and its degradation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ouglas fir is known to be difficult for preservative agent injection. To find the hindrance factor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부처리 시 구리계 목재보존제(ACQ)의 목재 내 침투 시 관여하는 목재구성세포의 역할을 조사하였고, 약제의 주입량에 따른 목재의 부후 특성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엽수재의 방사조직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침엽수 재의 방사조직은 형성층에 존재하는 방사조직 시원 세포에서 분열되어 형성된 조직으로서 수간 내에서 방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수목의 방사방향으로 수분 또는 양분을 이동시키거나 저장하는 능력을 가진 세포이다. 이러한 침엽수재의 방사조직은 구성비율이 수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보통 4~7% 정도이며 목재의 물리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 1987). 침엽수재 가도관은 뿌리에서 잎까지 수분통도 및 기본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Romberger et al., 1993; Barnett, 2004).
침엽수 재의 방사조직은 어떠한 세포인가?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는 수종 고유의 유전인자, 환경에 따른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배열 등이 다양하게 변화하며, 특히 침엽수에 비해 구성요소가 복잡한 활엽수에서 변이가 심하다(박, 1981). 침엽수 재의 방사조직은 형성층에 존재하는 방사조직 시원 세포에서 분열되어 형성된 조직으로서 수간 내에서 방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수목의 방사방향으로 수분 또는 양분을 이동시키거나 저장하는 능력을 가진 세포이다. 이러한 침엽수재의 방사조직은 구성비율이 수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보통 4~7% 정도이며 목재의 물리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 1987).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 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 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 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 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남훈. 2009a. 잣나무와 낙엽송재 방사조직의 연륜 내 및 축방향 변이성. 목재공학 37(1): 65-72. 

  2. 김남훈. 2009b. 잣나무재와 일본잎갈나무재의 방사방향 방사조직 밀도 및 연륜 내복열방사조직 출현 빈도수 변이. 목재공학 37(6): 531-536. 

  3. 박상진. 1981. 환공재 주요 구성요소의 방사방향 변동. 목재공학 9(3): 1-6. 

  4. 박상진, 이원용, 이필우. 1987. 제5장 침엽수재의 조직. 목재조직 및 식별. p. 99. 

  5. 신동소, 안세희. 1996. 목재보존학. pp. 52-55. 

  6. 이소미, 김병로. 2005. 일본잎갈나무 수 간내 재질 변동에 관한 연구(II) - 가도관 길이와 폭, 마이크로피브릴 경각, 강도의 남북방향의 변동 -. 목재공학 33(1): 21-28. 

  7. 이원용. 1987. 침엽수재의 방사조직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15(2): 90-98. 

  8. 이원용. 1990. 북양 주요 침엽수재의 가도관장과 방사 조직의 변이. 임산과학연보 7: 1-6. 

  9. 이필우. 1985. 목재해부학. 

  10. Atmer, B., and T. Thornqvist. 1982. The properties of tracheids in spruce (Picea abies Karst.) and pine (Pinus sylvestris L.). The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Reports No. 134. 59p. (in Swedish with English summary). 

  11. Bailey, I. W., and H. B. Shepard. 1915. Sanio's laws for the variation in size of coniferous tracheids. Bot. Gaz. 60(1): 66-71. 

  12. Barnett, J. R. 2004. Xylem physiology. In: Burley, J., Evans, J. & Youngquist, J. A. (eds). Encyclopedia of forest Sciences. Elsevier Academic press, Oxford, San Diego, California, p. 1583-1590. 

  13. Dinwoodie, J. M. 1961. Tracheid and fibre length in timber. A review of literature. Foresty 34: 125-144. 

  14. De Kort, I. 1990. Tracheid length in vital Douglas fir (Pseudotsuga Menziesii) in the netherlands. 11(2): 203-209. 

  15. Fuju, T., Y. Suzuki and N. Kuroda, 1997. Bordered pit aspiration in the wood of Cryptomeria Japonica in relation to air permeability. 18(1): 69-76. 

  16. Helander, A. B. 1933. Variations in tracheid length of pine and spruce. Foundation for forest research of Finland. No. 14. 75p. (in Finnish with English Summary). 

  17. Kim, B. R. and A. Mishiro. 1998. Studies on variability of wood properties in stem of Pinus koraiensis (II) - Differences in tracheid length, microfibril angle and compressive strength on the south and north sides of stem -. Journal of Wood Science 1(1): 46-51. 

  18. Molteberg, D. and O. Hoibo. 2006. Development and variation of wood density, kraft pulp yield and fibre dimensions in young Norway spruce (Picea avies). Wood Science & Technology 40: 173-189. 

  19. Romberger, J. A., Z. Hejnowicz, and J. F. Hill. 1993. Plant structure: Function and development. Springer-Verlag, Barlin-Heidelberg-New York. 524p. 

  20. Rathgeber, C. B. K., V. Decoux, and J. Leban. 2006. Linking intra-tree-ring wood density variations and tracheid anatomical characteristics in Douglas fir (Pseudotsuga menziesii (Mirb.) Franco). Annals of forest Science 63: 699-706. 

  21. Shusheng, P., T. A. G. Langriah, and R. B. Keey. 1994. Moisture mobement in softwood timber at elevated temperatures. Drying Techn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12(8): 1897-1914. 

  22. Smith, D. M. 1965. Rapid measurement of tracheid cross-sectional dimensions conifers. Forest Products Journal 15: 325-334. 

  23. Zabel, R. A. and J. J. Morrell. 1992. Wood microbial decay and its preservatives. Academic Press. San Diago. pp: 4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