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Parent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6, 2013년, pp.73 - 106  

김보영 (원계 자연 어린이집) ,  김현주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를 밝힘으로써 원만한 교사-부모 관계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자세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C시에 근무하는 사립 유치원교사 15명으로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에서 나타난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은 부모요인과 교사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는 부모의 성향과 요구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교사 자신의 입장에서 해석함으로써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 어려움은 같은 문제를 다르게 해석하는 교사-부모 간 입장 차이와 교사들이 문제 상황에 대처해 나가면서 느끼는 개인적 감정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자세는 4가지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and find out factors that make the relationship difficul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making relations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 형성되는 인간관계의 특성은 무엇을 전제로 하는가? 또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관계는 거의 대부분 자신들의 의지와는 관계없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이루어진 관계이며, 유아교육 및 유아의 발달에 관계되는 일에 한정되며, 교사에게서 지도를 받는 기간만 지속되는 일시적인 비영구적인 관계로 볼 수 있다(윤기영, 박상님, 2001).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 형성되는 인간관계의 특성은 교육대상이 다른 단계의 교육에 비해 절대적으로 어린 유아라는 유아교육의 특성을 전제로 한다(이남희, 2008). 그렇기 때문에 교사-부모 관계 형성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동반자적 관계의 개념은 어떤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가? 동반자적 관계(partnership)의 개념은 부모와 유아교육기관이 유아를 위한 최상의 환경을 만들려는 공동의 목적을 위해 능력과 자원을 함께 축적하고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가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개념에는 상호간의 명료한 목적을 지닌 동등한 관계, 분명하게 협의된 역할 및 참여자간의 공평한 의사결정 권한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동반자적 관계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활동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교사의 관계에 대한 이상이나 모범을 표현한다(임우영, 2010).
유아교사와 학부모는 어떻게 맺어지는 관계인가?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관계는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 입학함으로써 맺어진 유아를 매개로 하여 맺어지는 관계이다. 또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관계는 거의 대부분 자신들의 의지와는 관계없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이루어진 관계이며, 유아교육 및 유아의 발달에 관계되는 일에 한정되며, 교사에게서 지도를 받는 기간만 지속되는 일시적인 비영구적인 관계로 볼 수 있다(윤기영, 박상님,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혜정(200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혜진(2009). 부모-교사 협력행동과 부모-교사 신뢰관계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선아(2008).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학부모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보람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기태(1990).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영(2007). E-mail과 SMS를 활용한 교사-학부모 의사소통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이(2011). 유치원 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직무 만족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기영(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은숙(2001).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시 고려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지영(2012). 유아교사의 멘토링 경험이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지현(1995).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주(2005). 사립유치원 교사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두산동아 편집부(2009). 동아 새국어사전 제5판. 서울: 두산동아(주). 

  13. 류왕효(1999). 학부모 역할 기대에 관한 유치원 학부모 의견조사연구. 사회과학연구, 6(3),265-284. 

  14. 박근주, 송원호, 김연진, 이화영(2009).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5. 박상님, 윤기영(2001).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논총, 2(5), 157-180. 

  16. 박향아, 제경숙(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0. 

  17. 변은정(2006). 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와 역할 인식.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손세란(2008). 보육시설 만 1, 2, 3세 학급에서의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손환희(2009).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송연숙, 최경애(2002).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인적 갈등요인을 중심으로. 연구논문집, 29(2), 97-110. 

  21. 우현경(2013). 사전지식 제공여부와 면접조건에 따른 4, 6세 유아의 사전 정기억과 오기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기영(200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부모 탐구. 서울: 양서원. 

  23. 윤기영, 박상님(2001).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17(1), 379-404. 

  24. 윤혜영(2009). 유치원 조직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화(2001). 부모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교육인류학연구, 4(3), 179-199. 

  26. 이규식(2007).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미자(2006). 교사-어머니 의사소통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양육 스트레스.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남희(2008). 유아교사의 이직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 원장 및 부모와의 인간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소민(2013). 어머니와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 공격성과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지훈(2012). 유아교사와 부모의 동반자적 협력관계와 의사소통.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진애(2012). 어머니-교사의 의사소통 빈도와 의사소통 태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찬주(2002). 어머니-유아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현경(2000). 유치원 초임교사가 교직 수행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85-204. 

  34. 임우영(2010).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임효선(2010). 가정 연계를 위한 유아교육 기관의 부모 참여 실태 및 요구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장지원(2005).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상호이해를 위한 부모 참여 활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주소언(2012).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서영, 이대균(2011).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5(5), 77-102. 

  39. 탁정화, 황해익(2012). 영아 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40. 홍순정, 김재은, 이연섭(2003). 인지와 창의성 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1. 홍정연(2010). 보육시설에서 취업부모와 보육교사가 상호 지각하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Berger, E. H.(1995). Parents as Partners in Education. NJ: Prentice-Hall. Ins. 

  43. Campion, J.(1992). Working with vulnerable young children : Early intervention. London : Cassell. 

  44. Chuan, L. C., Marvin, C. A., & Churchill, S. L.(2004). Teacher factors associated with pre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Teaching efficacy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 131-142. 

  45. Henderson, A. T.(1987). The evidence to continues to grow. Columbia, MD: National committee for citizen in education. 

  46. Miretzky, D.(2004). The communication requirements of democratic schools: Parent-teacher perspectives on their relationships. Teachers College Record, 106(4), 814-851. 

  47. Powell, D. R., & Diamond, K. E.(1995). Approaches to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n U.S. early childhood programs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Journal of Education, 177(3), 71-94. 

  48. Thorne, G. B.(1993). Parent involvement in the schools: A new paradig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rs,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