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지역 향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특성
Community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niperus chinensis L. Forest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2 no.4, 2013년, pp.587 - 600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혜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신학섭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정재민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한 자생 향나무의 산림식생 관리방안을 위해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단위를 분류하고, 식생유형별 피도값을 이용하여 NMS와 지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향나무군락군은 총 2개 군락과 4개 군 및 6개의 소군으로의 분류체계를 가졌으며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NMS 분석결과 설명률이 높은 1축(13.8%) 및 2축(69%) 으로 나타내었으며, 종합설명력은 31%로 나타났으며, 내륙(동강)지역, 동해안지역과 울릉도지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나타났다. 식생단위별 지표종을 분석한 결과 89종이 유의성 있게 분석되었다. 식생단위별 종 다양도, 균재도, 종내경쟁 등을 분석한 결과 종다양도에서는 회양목군락 굴참나무군의 하위단위인 개박달나무소군이 1.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곰솔군락 쥐똥나무소군의 하위단위인 전형소군이 0.6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간 경쟁지수에서는 분꽃나무군이 0.46으로 가장 작았고, 섬벚나무소군이 0.80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전체적으로 0.7내외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niperus chinensis forest were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2 communities, 4 groups, 6 subgroups, and 7 vegetation units by phytosociological analysis(the method of ZM schools) with 79 vegetation data in south korea. By NMS analysis it appeared at first axis (13.8%) and second axis (69%)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향나무의 자연집단의 지리적 분포역과 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과 표본자료를 수집하였다. 표본자료는 국립수목원 식물표본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식물표본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식물표본관, 강원대학교 식물표본관, 성균관대학교 식물표본관, 산림과학원, 경북대학교 식물표본관, 이화여대 식물표본관, 경원대학교 식물표본관, 충북대학교 식물표본관 등에서 200여 표본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향나무의 군락유형을 분류하고, 생태적 특성을 구명하여 향나무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나무속은 무슨과에 속하는가? 향나무속(Juniperus L.)은 측백나무과에서 가장 대표적인 속(Genera)이며 전 세계적으로 67종 37변종이 북반구 고산지대에서 해안가의 낮은 저지대에 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Adams, 2011).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해안지역에서 북부고산지대의 산정(山頂)까지 널리 생육·식재하고 있는 상록성 교목 또는 관목이다(Uyeki, 1926; Lee, 1986; Hong et al.
향나무속은 전 세계적으로 몇 종이 있는가? 향나무속(Juniperus L.)은 측백나무과에서 가장 대표적인 속(Genera)이며 전 세계적으로 67종 37변종이 북반구 고산지대에서 해안가의 낮은 저지대에 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Adams, 2011).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해안지역에서 북부고산지대의 산정(山頂)까지 널리 생육·식재하고 있는 상록성 교목 또는 관목이다(Uyeki, 1926; Lee, 1986; Hong et al.
향나무속은 우리나라 어디에 분포하는가? )은 측백나무과에서 가장 대표적인 속(Genera)이며 전 세계적으로 67종 37변종이 북반구 고산지대에서 해안가의 낮은 저지대에 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Adams, 2011).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해안지역에서 북부고산지대의 산정(山頂)까지 널리 생육·식재하고 있는 상록성 교목 또는 관목이다(Uyeki, 1926; Lee, 1986; Hong et al., 199: Hong, 2005; Ulleunggun, 2007; Hyun, 1998; Lim, 1996; Lee and Lim,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dams, R.P. 2011. Junipers of the World: The genus Juniperus: 3rd Edition, Trafford Publishin. pp. 436. 

  2. Anderson, M.J. 2001. A new method for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ustral Ecology 26(1): 32-46. 

  3. Barbour, M.G., Burk, J.H., and Pitts, W.D.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rmin/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pp. 155-299. 

  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Y. p. 865. 

  5.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Dubuque, Iowa. pp. 288. 

  6. Cho, H.J., Lee, J.H., Choo, Y.S., and Hong, S.C. 2011a. Distribution Types of the Relict Conifer Community and the Approach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in Ulleung-Island. JouLim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1): 95-104. 

  7. Cho, Y.C., Hong, J.K., Cho, H.J., Bae, K.H., and Kim, J.S. 2011b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1): 34-41. 

  8. Choi, B.G. 2008. Vegetation of Ulleungdo, Korea. Kei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10. 

  9. Dufrene, M. &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 345-366. 

  10.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pp. 136. 

  11. Hill, M.O. 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Cornell University Press. pp. 50. 

  12. Hong, S.C., Cho, H.J., Bae, K.H., Seo, S.H., and Lee. B.C. 1991. Vegetation Ecological studies of Songin - Bong Virgin Natural and Tongkumi Juniperus chinensis Native Land in Ulleung Island. Proceeding of The 1991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pp. 42-43. 

  13. Hong. S.C. 2005. Coloured Flora For Practical Use In Korea. Dong A publisher. pp. 404. 

  14. Hurlbert, S.H. 1971. The non-concept of species diversity: a critique and alternative parameters. Ecology, 52: 577-589. 

  15. Hyun, H.J. 1998. The phytosociological study on alpine plant communities in Mt. Halla. Che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21. 

  16.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worldscience. pp. 340. 

  17. Kim, M.S. 2008. Outcrop vegetation in central-northern Youngnam region. Kei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46. 

  18.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Climatological statistics.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past_table.jsp(1992-2011). 

  19. KNA(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A Field Guide to Trees & Shrubs. GEOBOOK. pp. 726. 

  20. Kolbek, J. and Valachovic, M. 1996. Plant communities on walls in North Korea: A preliminary report. Thaiszia 6: 67-75. 

  21.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534. 

  22. Krebs, C.J. 1985. Ecology: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Third Edition. Harper and Row, New York. pp. 800. 

  23. Lee, J.H. 2005. An ecological approach for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Kyungpook University. Ph. D. diss. pp. 166. 

  24.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Co., Seoul. pp. 990. 

  25. Lee, W.T. and Lim, Y.J.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University Press. pp. 412. 

  26. Lee, Y.N. 1986. Korea Pine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pp. 240. 

  27. Lee, Y.W. 1995.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Stand Structure of the Abies koreana Wilson Forest. Kyungpook University. Ph. D. diss. pp. 137. 

  28.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29. Lim, R.J. 1996. Flora Coreana. Science Technology publisher. pp. 310. 

  30. Loucks, O.L. 1970.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and community stability.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10(1): 17-25. 

  31. McCune, B. and Mefford, M.J.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User's guide.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pp. 237. 

  32.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33. Ulleunggun. 2007. Ulleung-gun magazine. Ulleunggun. pp. 1390. 

  34. Uyeki, H. 1926. Corean timber trees, Vol. 1, Ginkgoales and Coniferae, Forestry Experiment Station 4: 1-154. 

  35. Wal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r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274. 

  36.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37. Yun, C.W. 1999. Vegetation structure, population dynamic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Kyungpook University. Ph. D. diss. pp. 147. 

  38. Yun, C.W. and Moon, H.S. 2009.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 Limestone Area of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43(2): 1-8. 

  39. Yun, C.W., Kim, H.J., Lee, B.C., Shin, J.H., Yang, H.M., and Lim, J.H. 2011. Characteristic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504-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