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메타평가 모형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evaluation Model for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9 no.4 = no.57, 2013년, pp.382 - 390  

조경민 (부산지방해양항만청 선원해사안전과) ,  공길영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조익순 (한국해양대학교 선박운항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도입된 이후 제도개선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이 제도가 정착단계를 거쳐 고도화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진단활동 전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모형 설계를 목적으로 진단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파악되는 평가에 대한 평가, 즉 메타평가에 관한 이론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메타평가의 주요 접근방식인 문헌연구와 전문가 검토, 설문조사 등의 방법으로 해상교통안전진단에 적합한 메타평가 기본모형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여 활용 가능한 'PIP'OU 메타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에 대한 최초의 메타평가 모형으로써 향후 제도의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메타평가 분석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orts for improving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MTSA scheme)' have continued to the present. At this point, it needs to establish sound MTSA scheme to proceed acceleration step through the comprehensive review and systematic approach. In this study, it aimed to design of Metae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단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파악되는 평가에 대한 평가, 즉 메타평가에 관한 이론을 적용하여 해상교통안전진단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기 위한 메타평가 모형을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를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한 분석틀 개발을 위하여 사회적 평가제도에서 활용되고 있는 메타평가 이론을 적용하여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메타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검증을 통해 해상교통안전진단 메타평가 모형을 확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교통안전진단이란 무엇인가? 해사안전법 제2조 제16항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을 ‘안전진단 대상사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항행안전 위험 요인을 전문적으로 조사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평가의 특징은? 즉, 평가란 모든 것을 그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해상교통안전진단은 해상교통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진단 대상사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항행안전 위험 요인을 전문적으로 조사·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으로서 모든 분야를 적용대상으로 할 수 있는 평가의 속성을 지닌다.
메타평가 범주중 최협의는 무엇인가? 국외 연구자들의 메타평가 정의에 따른 평가 범위와 대상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개념 정의에 근거하여 메타평가 범주를 최협의, 협의, 광의로 구분할 수 있다. 최협의는 평가결과의 종합으로 평가결과에 대한 재분석으로 평가결과를 메타평가 대상으로 한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Chelimsky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EA(1995), American Evaluation Association, Guiding Principles for Evaluators, http://www.eval.org. 

  2. Brinkerhoff, R. O., D. M. Brethower, T. Hluchyi and J. R. Nowakowski(1983), Programme Evaluation: A Practitioner's Guide for Trainers and Educators, Boston: Kluwer-Nijhoff Publishing, p. 221. 

  3. Chae, S. I.(2005), Social science search methodology(The 3rd edition), B&M Books. pp. 179-188. 

  4. Cho, I. S., Kim I. J. and Lee Y. S.(2010), The Introductory Concept of Maritime Safety Audit as a tool for Identifying Potential Hazard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International Edition), Vol. 34, No. 9, pp. 699-704. 

  5. Cho, I. S.(2011),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Maritime Safety Aud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No. 4, pp. 399-405. 

  6. Cho, K. M.(2013), A Study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Metaevaluation model for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 Doctorial Dissertat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p. 63. 

  7. Im, O. J.(2007), Meta-evalu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credit bank system, Doctori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 70. 

  8. JCSEE(1994), Joint Committee on Standards for Educational Evaluation, http://www.wmich.edu/evalctr/jc. 

  9. Kim, B. C.(2009), Theory of Metaevaluation, Kore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Ltd., pp. 19-25 & 186-189. 

  10. Kim, M. S.(1993), Public Policy Evaluation(revised edition), Bakyeongsa., pp. 7-11. 

  11. Larson, R. C. and Berliner L.(1983), On Evaluating Evaluations, Policy Sciences, 16(2), pp. 147-163. 

  12. Lee, C. G.(1997), The study of Meta-evaluation for research development business : with IT industry as center, Doctori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 72. 

  13.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2012), Meta-Evaluation for th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system, p. 19. 

  14. OECD/DAC(2006), DAC Evaluation Quality Standards(for test phase application) Network on Development Evaluation,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http://www.oecd.org. 

  15. Oh, M. G.(1986), The study of Meta-evaluation, Myongji College,, Research of Educational problems, 4, pp.151-167. 

  16. Ryu, Y. S.(2007),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Metaevaluation Model for Technology Assessment in Korea. Doctori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pp. 64-68 & 119. 

  17. Scriven, M.(1991), Evaluation Thesaurus(4th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pp. 230-231. 

  18. Shin, Y.(2011), Improvement of judge management system for self-inspection : by Meta-evalu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25(2), pp. 1-25. 

  19. Stufflebeam, D. L.(1974), Metaevaluation, Occasional Paper Series, 3, Kalamazoo: The Evaluation Center, Western Michigan University. 

  20. UNEG(2005), United Nations Evaluation Group, Norms for Evaluation in the UN System, http://www.uneval.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