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east' 장미 꽃목굽음지의 생장, 화기 및 내생 호르몬 변화
Growth, Floral Morphology, and Phytohormone Levels of Flowering Shoots with Bent Peduncle in Greenhouse-grown Cut Rose 'Beast'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6, 2013년, pp.714 - 719  

서지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김완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꽃목굽음 현상(bent peduncle phenomenon, BPP)은 절화장미의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생리적 장해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 기작이 명확히 구명되어 있지 않아 아직까지 대책 마련이 곤란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국내육성 장미 품종인 'Beast'(Rosa hybrida L. 'Beast')를 대상으로 꽃목굽음지의 화기형태, 생장, 내생 호르몬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화기형태 관찰을 통해 꽃목굽음지는 5개의 꽃받침조각 중 하나가 조기에 형성되고 엽상화되면서 대화현상을 나타냈다. 연중 BPP 발생 빈도는 계절에 따라 5-20%로 여름철 고온기에 급증하였다. 꽃목굽음지는 정상지와 비교하여 꽃목굽음 증상 외 생장량과 속도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꽃으로의 동화산물 분배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정상지와는 달리 꽃목굽음지에서의 내생 호르몬 IAA 함량은 화아발육기간 내내 높게 유지되었으나, $GA_3$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BPP는 고온과 관련된 특정 꽃받침조각의 엽상화, 대화현상을 나타내면서 꽃으로의 동화산물 불균형 분배, 높은 IAA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ent peduncle phenomenon (BPP) is known as a kind of physiological disorders found in cut rose plants, which causes the reduction of cut flower yields. As yet unknown mechanisms, however, it has not been easy to find solutions for BPP. To address this challen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화 장미의 꽃목굽음 현상에 대한 원인과 발생 기작을 이해하고자 국내 육성품종인 ‘Beast’를 대상으로 연중 꽃목굽음 현상의 발생 빈도, 꽃목굽음지의 생장과 화기 형태, 화아 발육 과정에서의 식물호르몬 옥신과 지베렐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화 장미의 생리적 장해는 어떤 것이 있는가? 생리적 장해(physiological disorder)란 부적합한 생육환경조건에 의한 비정상적인 생육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며, 절화 장미의 생리적 장해로는 대표적으로 엽원기부터 수술형성 과정에 부적합한 저온환경에 의해 화아 발육이 정지되는 블라인드 현상(blindness), 개화 직전 부적합한 저온에 의해 꽃잎이 짧아지고 많아지면서 수술과 암술 부위가 꽃잎 밖으로 노출되어 절화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불헤드 현상(bullhead), 그리고 화아발육 과정에서 꽃자루 상단의 꽃목 부분이 휘어져 역시 상품가치를 상실하는 꽃목굽음 현상(bent peduncle phenomenon, BPP) 등이 있다(Halevy and Zieslin, 1969; Moe, 1971).
꽃목굽음 현상 관련 기작을 명확히 구명하기 위해 Beast를 대상으로 분석한 특성은? 이를 해결하고자 국내육성 장미 품종인 'Beast'(Rosa hybrida L. 'Beast')를 대상으로 꽃목굽음지의 화기형태, 생장, 내생 호르몬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화기형태 관찰을 통해 꽃목굽음지는 5개의 꽃받침조각 중 하나가 조기에 형성되고 엽상화되면서 대화현상을 나타냈다.
절화 장미의 개화특성은? 절화 장미는 국내외적으로 생산량이 높은 대표적인 화훼작물로 온도나 일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크기로 생장하면 화아분화가 이루어지는 자가유도적 개화특성을 가지고 있다(Halevy, 1972; Horridge and Cockshull, 1974). 국내에서는 주로 시설재배를 통해 연중 생산되기 때문에 절화 장미의 생산성은 재배시설의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부적합한 재배시설 환경은 다양한 생리적 장해를 유발하게 된다(Kim and Lieth,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karui, Y. and U. Hamretomu. 1972. Studies on the crooked neck of carnation. II. Effect of day length and temperature on occurrence of crooked neck. J. Hyogo Agri. Expt. Res. 20:115-118. 

  2. Aloni, R., E. Aloni, and M. Langhans. 2006. Role of auxin in regulating Arabidopsis flower development. Planta 223:315-328. 

  3. An, D.C., Y.D. Chin, J.C. Hawng, J.G. Kim, Y.M. Chung, and B.R. Jeong. 2002. Occurrence state of flower neck malformation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malformed tissue of cut rose. J. Kor. Soc. Hort. Sci. 43:623-627. 

  4. Cohat, J. 1993. Gladiolus, p. 297-320. In: A.D. Hertogh and M.L. Nard. (eds.). The physiology of flower bulb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Amsterdam, The Netherlands. 

  5. Davenport, T.L. 2000. Processes influencing floral initiation and bloom: The role of phytohormones in a conceptual flowering model. Hort. Technol. 10:734-739. 

  6. Fambrini, M., E. Bonsignori, F. Rapparini, G. Cionini, V. Michelotti, D. Beritini, R. Baraldi, and C. Rugliesi. 2006. Stem fascinated, a recessive mutation in Sunflower (Helianthus annuus), alters plant morphology and auxin level. Ann. Bot. 98:715-730 

  7. Halevy, A.H. 1972. Phytohormones in flowering regulation of self-inductive plants. Proc. 18th Int. Hort. Congr. 5:187-198. 

  8. Halevy, A.H. and N. Zieslin. 1969. The development and causes of petal blackening and malformation of 'Baccara' rose flower. Acta Hort. 14:149-157. 

  9. Hanano, S., M.A. Domagalska, F. Nagy, and S.J. Davis. 2006. Multiple phytohormones influence distinct parameters of the plant circadian clock. Genes Cells 11:1381-1392. 

  10. Hiroi, A., T. Tamoz, and H. Osabu. 1972. Studies about crooked neck of carnation. 1. Effects of growing environments on occurrence of crooked neck. The research report of Heigo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0:113-114. 

  11. Horridge, J.S. and K.E. Cockshull. 1974. Flower initiation and development in the glasshouse rose. Sci. Hort. 2:273-284. 

  12. Kim, W.S. and J.H. Lieth. 2012. Simulation of year-round plant growth and nutrient uptake in Rosa hybrida over flowering cycles. Hort. Environ. Biotechnol. 53:193-203 

  13. Masters, M.T. 1869. Vegetable teratology: An account of the principal deviations from the usual construction of plants (No. 45). The Ray Society by Robert Hardwicke, London. p. 240-257. 

  14. Miao, M., X. Yang, X. Han, and K. Wang. 2011. Sugar signaling is involved in the sex expression response of monoecious cucumber to low temperature. J. Exp. Bot. 62:797-804. 

  15. Moe, R. 1971. Factors affect in flower abortion and malformation in roses. Physiol. Plant 24:291-300. 

  16. Seo, J.H. and W.S. Kim. 2012. Seasonal changes in bent peduncle phenomenon of greenhouse roses. Kor. J. Hort. Sci. Technol. 30(Suppl. II):142. (Abstr.) 

  17. Sim, S., A. Rowhani, and D. Golino. 2004. Phyllody in roses. American Rose 39(18):32-34. 

  18. Takahiro, T., K. Tasuo, M. Hiroshi, and M. Yuriko. 1999. Histological observations on crooked neck, its degree and rate of development among clonal lines of Chrysanthemum cv. 'Shuhonochikara'. J. Japan. Soc. Hort. Sci. 68:655-660. 

  19. Tang, Y. and H.T. Knap, 1998. Fasciation mutation enhances meristematic activity and alters pattern formation in soybean. J. Plant Sci. 159:249-260. 

  20. Yu, H., T. Ito, Y. Zhao, J. Peng, P. Kumar, and M. Meyerowitz. 2004. Floral homeotic genes are targets of gibberellin signaling in flower development. PNAS 101:7827-7832. 

  21. Zaccai, M., R. Ackerman, O. Genis, J. Riov, and M. Zik. 2009. The bent peduncle phenomenon in roses is a developmental process involving auxin. Plant Sci. 176:736-7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