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남서부에 위치한 강릉-울릉도간 해역에서 정기여객선 씨스타호에 수온, 염분 및 클로로필a 형광센서를 설치하고 2012년 7월부터 2013년9월까지 북한한류와 동한난류역을 가로질러 매일 왕복조사를 수행하여 해수물성을 연속관측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염분과 클로로필a 형광 기록과 동해정선관측 및 환경측정망조사 결과, AVISO의 일별 표면해류도 그리고 GOCI 클로로필a 영상을 이용하여 표층해역의 염분 시계열 변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6월부터 10월까지 강릉-울릉도간 표층 해역에 염분범위 33.15~34.12의 고염분수역이 주로 환류의 중간해역이나 강한 북향류의 서쪽 경계역에서 나타났다. 이 수역의 서쪽에는 최저 염분범위가 30.58~33.20로 남향류를 수반하였고 동쪽은 31.30~33.24로 북향류가 수반되었다. 서쪽의 저염분수는 남하하는 북한한류수의 표층수이며, 동쪽의 저염분수는 북상하는 대마난류 표층수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북한한류수의 최저염분은 30.36이었으며, 서쪽 저염분수의 동쪽 한계는 강릉 동쪽 약 110 km지점까지, 남쪽으로는 죽변 연안까지 수심 약 5~10 m 이천에서 33.00이하로 분포하였다. 이 저염분수는 하계에 양자강희석수의 혼합으로 저염화된 대마난류 표층수가 북상하면서 수송하는 담수의 규모에 비하여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것을 본 연구에서는 북한한류수 기원 하계 표층수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strumented ferry made two transects per day across two current systems which are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a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over the years 2012-2013 from Gangneung to Ulleungdo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water properties of these transects were measured with high sp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0 정도가 된다는 NFRDI(2001)의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기간 중 동쪽으로는 최대 강릉 동쪽 약 110 km 외해역까지, 남쪽으로는 죽변 연안까지 남하하여 수심 약 5~10 m까지 염분 33.00이하로 분포하는 저염분수는 북한한류수 기원의 표층수임이 분명하며, 이것을 북한한류수 기원의 하계 표층수라 명명하고자 한다.
  • 1에 동해의 해류모식도와 연구해역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에서는 강릉-울릉도간 표층해역의 염분시계열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 해역을 왕래하는 정기여객선 (주)씨스포빌사의 씨스타호에 SBE45 CTD를 기관냉각수 인입구(해면으로부터 약 1.4 m 아래)에 장착하여 2012년은 7월 31일~11월 25일, 2013년 3월 1일~9월 10일 기간 중 동 여객선이 운항하는 시간대에 항로상의 염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일별, 경도 0.1o 간격의 Hovmoller diagram을 작성하였다. 씨스타호에 장착한 센서는 매 주 1회 탈거하여 실험 실에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1%로 희석한 TRITON X-100 용액에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거치한 후 30분간 약 30oC 정도의 따뜻한 수돗물을 흘려보내어 오염을 제거하고 다시 탑재하는 방법을 연구기간 중 반복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릉-울릉도 사이를 왕래하는 정기여객선 씨스 타호에 SBE45 CTD와 Chl-a 센서를 설치하여 연속 관측한 자료, 국립수산과학원의 동해 정선해양관측 및 환경측정망조사에서 조사한 자료, 그리고 위성관측 AVISO 및 GOCI 자료를 이용하여 2012년 7월에서 2013년 9월까지 하계 동해 중부해역에 발생한 표층 저염분의 시공간적인 변동을 파악하고, 특히 강릉 연안해역에서 발생한 저염분의 기원을 구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강릉항과 울릉도 저동항 사이를 왕래하는 정기여객선 씨스타호에 SBE45 CTD를 장착하여 연속 관측한 표층 염분자료와 국립수산과학원의 동해 정선해양관측 염분 및 위 성관측 자료 등을 이용하여 2012년 7월에서 2013년 9월까지 하계 동해 중부해역에 발생한 표층 저염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 그 다음 동해의 한반도 중동부해역에의 출현하는 저염분수의 기원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남해와 동해 염분의 연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해양에서 염분의 변화는 기본적으로 증발과 강우 그리고 결빙과 해빙에 의하여 일어나지만(Defant, 1960; Dietrich et al., 1980) 한반도 남해와 동해 염분의 연변화는 주로 국지적 강우량 및 양자강 담수 유출의 계절적인 변화가 그 원인이며 대마난류의 하류방향으로 갈수록 염분 연변화의 진폭이 작아지고 위상이 지연된다 (Kang and Jin, 1984; NFRDI, 2001). 즉, 양자강이 범람하는 시기에 하구를 통하여 유출된 담수가 동중국해 북부해역으로 흘러들어 북상하는 대마난류와 섞여 동해로 유입되면서 고온, 저염의 표층난류수가 여름에서 가을까지 상층 해황에 영향을 미치며(Gong, 1996) 대마난류의 염분은 동계에는 34.
동한난류는 어떻게 극전선을 이루는가? 주요 해류의 특성은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 로 유입한 대마난류가 한국 동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와 블라디보스톡 근해에서 발달하여 북한 동안을 거쳐 남하하는 북한한류 그리고 이 두 수괴가 만나서 형성하는 해양전선 등이 시 공간적으로 변화한다(Gong and Son, 1982; Gong, 1996). 동한난류는 한국 동부 해안을 따라 상층에서 북상하면서 하층에 존재하는 동해고유수와 수직적으로 약층을 형성하며 북한한류수와 접촉하여 극전선을 이루는데(Gong and Park, 1969) 그 북상한계가 북위 40o부근에 이른다(Hong and Cho, 1983). 또 하계에 동해 남부해역은 남풍계열의 바람과 지형적인 영향으로 용승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는데(Gong and Park, 1969; An, 1974; Lee, 1978; Park, 1978) 용승에 의한 냉수괴는 동해고유수가 아니라 남하하는 북한한류수로 알려져 있다(Park, 1978; Kim and Kim, 1982).
한반도 동부해역의 주요 해류의 특성은 무엇인가? 한반도 동부해역은 동해 전체해역의 남서부에 위치하면서 여러 수괴가 어우러지며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해양현상이 일어나는 해역이다(Ichiye, 1984). 주요 해류의 특성은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 로 유입한 대마난류가 한국 동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와 블라디보스톡 근해에서 발달하여 북한 동안을 거쳐 남하하는 북한한류 그리고 이 두 수괴가 만나서 형성하는 해양전선 등이 시 공간적으로 변화한다(Gong and Son, 1982; Gong, 1996). 동한난류는 한국 동부 해안을 따라 상층에서 북상하면서 하층에 존재하는 동해고유수와 수직적으로 약층을 형성하며 북한한류수와 접촉하여 극전선을 이루는데(Gong and Park, 1969) 그 북상한계가 북위 40o부근에 이른다(Hong and Cho,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efant, A. 1961. Physical Oceanography, Vol. 1. Pergamon Press, Oxford, 729pp. 

  2. Dietrich, G., K. Kalle, W. Krauss and G. Siedler, 1980. Gener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2nd Edition, John Wiley &Sons, New York, 626pp. 

  3. Cho, H.J., C.H. Moon, H.S. Yang, W.B. Kang and K.W. Lee, 1997.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III.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Masses and Nutrients in the Middle-Northern East Sea of Korea in October, 1995, J. Korean Fish. Soc. 30(3): 393-407. 

  4. Choi, M.Y., D.S. Moon, D.H. Jung and H.J. Kim, 2012. Seasonal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Province of the Korean East Sea in 2009, J. Kor. Soc. Mar. Env. Eng., 15(21): 76-88. 

  5. Gong, Y. 1996. Pacific Saury Oceanography -Oceanic Environments and Pacific Saury Resources in the Northwest Pacific and its Adjacent Seas-.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Guduck Press, 198 pp. 

  6. Gong, Y. and C.K. Park, 1969. On the oceanographical character of the low temperature region in the Eastern Sea of Korea, Bull. Fish. Res. Dev. Agency, 4: 69-91. 

  7. Ichiye, T., 1984. Some problem of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Tsushima Current. In: Ocean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China Seas, edited by Ichiye, T., Esl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15-54. 

  8. Jeong, H.D., S.W. Kim, K.Y. Kwon, J.W. Lim and C.H. Kwon, 2013. Oceanographic Features Around Aquaculture Area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9(4): 334-344. 

  9. Kang, Y.Q. and M.S. Jin, 1984. Annual variation of salinity in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9: 105-110. 

  10. Kim, C.H and K. Kim, 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8(1): 73-83. 

  11. Lee, J.Y., D.J. Kang, I.N. Kim, T. Rho, T. Lee, C.K. Kang and K.R. Kim,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pelagic ecosystem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 review, J. Marine Syst., 78: 288-300. 

  12. Lie, H.J., S.K. Byun, 1985. Summer time southward current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0(2): 22-27. 

  13. Lie, H.J., M.S. Suk and C.H. Kim, 1989. Observation of southward deep current off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3(3): 97-109. 

  14. Na, J.Y., S.W. Lee and K.D. Cho, 1991.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The Vertical Structure of Temperatures in the East Sea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4): 215-228. 

  15. NFRDI, 2001. Oceanographic Handbook of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4th edition. Yemoon Press, 436pp. 

  16. Park, C.K. 1978. Chemical oceanographic aspect of the cold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11(2): 49-54. 

  17. Park, C.K. 1979. On the distribution of dissolved oxygen off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4(2): 67-70. 

  18. Yang, H.S., S.S. Kim, C.G. Kang and K.D. Cho, 1991.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III.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Central Korean East Sea, Bull. Korean Fish. Soc. 24(3): 185-192. 

  19. Yoon, Y.Y., S.J. Jung and S.C. Yoon, 2007. Characteristics and long term variation trend of water mass in the coastal part of East Sea, Korea, J. Kor. Soc. Mar. Env. Eng., 10(1): 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