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사례관리 성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 구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Case Management Outcomes and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in the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Eld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6, 2013년, pp.791 - 800  

문현정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case management outcomes in order to identify parameters affecting case management outcomes for the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el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09 nurses (case managers) and community-dwelling vuln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간호사 309명과 동일 프로그램에 등록된 취약계층 재가노인 309명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경로를 규명하고자 사례관리자의 특이성, 대상자의 특성, 사례관리 수행과 같은 요인들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사례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직·간접적 경로를 구성하고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사례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관리 체계 안에서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사례관리 성과와 영향요인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를 검증하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적 경로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사례관리 성과와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모형을 구축한 후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성과 모형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검정한 결과와 내생변수를 중심으로 각 변수들 간의 경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의 방문건수의 경우, 현재 시행중인 보건소 사례관리는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간호사의 융통성이 존재하나 국가지침이라는 큰 틀은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외국의 사례관리 접근방식이나 사회복지 분야에서와 같이 사례관리자에게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방문건수를 조절할 수 있는 체계라면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는Björkman과 Hansson (2001)의 연구에서 사례관리자의 중재 유형 중 대상자에게 중요하고 가치있는 사례관리자의 기능은 옹호자의 역할이었으며 옹호의 기능은 대상자에게 필요한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서비스를 연계해주는 중재내용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과는 사례관리자의 접촉시간이 많을수록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사례관리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규명된 사례관리자의 특성, 대상자 특성, 사례관리 수행 요인 등을 포함시켜 사례관리 성과 모형을 구축한 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취약계층 노인에게 적용하여 관련 요인들 간의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사례관리 실천 전략을 개발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현황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0년 현재 11.0%이며, 2018년에는 14.3%로 증가하여 노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Statistics Korea, 2010). 인구의 노령화는 가장 중요한 사회현상 중의 하나이고, 특히,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취약계층 노인의 자율성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며, 기능 저하와 관련된 만성질환이나 사회적 지지체계의 붕괴는 취약계층 노인의 안녕을 저하시키고 시설 입소와 보건의료비용의 과잉 지출을 유발하게 된다(Meliset al.
사례관리 수행체계에 관해서 어떤 것이 영향을 끼치는가?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사례관리 지식체는 발전하고 있으나 사례관리 수행체계의 어떤 요소, 어떤 서비스, 어떤 서비스 환경이 사례관리 성과에 가장 효과적인지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으며 사례관리의 어떤 과정이 어떤 성과를 이끌어내는지 많은 부분들이 밝혀지지 않았다(Austin, 2002; Drennan&Goodman, 2004). 사례관리 성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관리자의 성별, 연령, 자격(Shin, 2009), 역량(June, Lee,&Yoon, 2009;King, Meadows,&Le Bas, 2004), 직무만족도(Kim, Jung, Jung, & Jin, 2001; Rosati, Marren, Davin, & Morgan,2009), 대상자와의 관계형성 정도(Björkman & Hansson, 2001), 교육 및 훈련 정도(Austin) 등을 포함하는 사례관리자의 특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King et al.). 대상자 특성의 경우, 소득수준, 교육수준(Shin), 건강상태(Nakatani & Shimanouchi, 2004), 유병기간(Shin), 사회적 지지체계(Björkman & Hansson; Shin) 등을 관련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방문 횟수(Frich, 2003; Shin), 담당 사례량(Shin), 방문주기(Frich), 방문 소요시간(Björkman & Hansson; Frich) 등 사례관리 수행과 관련된 요인들 역시 사례관리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사례관리 대상자 등록, 요구사정, 계획수립, 중재, 모니터링, 그리고 평가로 구성되는사례관리 과정은 업무 가이드라인과 실제 수행이 얼마나 일치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과정 요인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대상자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업무가 사례관리의 성과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Nakatani&Shimanouchi).
인구의 노령화는 무엇을 유발하는가? 3%로 증가하여 노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Statistics Korea, 2010). 인구의 노령화는 가장 중요한 사회현상 중의 하나이고, 특히,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취약계층 노인의 자율성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며, 기능 저하와 관련된 만성질환이나 사회적 지지체계의 붕괴는 취약계층 노인의 안녕을 저하시키고 시설 입소와 보건의료비용의 과잉 지출을 유발하게 된다(Melis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iotta, S. L. (2000). Focus on case management: Linking outcomes and accountability. Topics i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20(3), 11-16. 

  2. Austin, C. D. (2002). Case management: Who needs it? Does it work? Care Management Journals, 3(4), 178-184. 

  3. Bjorkman, T., & Hansson, L. (2001). Client satisfaction with case management: A study of 10 pilot services in Sweden. Journal of Mental Health, 10(2), 163-174. http://dx.doi.org/10.1080/09638230123831 

  4. Chamberlain, R., & Rapp, C. A. (1991). A decade of case management: A methodological review of outcome research.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7(3), 171-188. 

  5. Draine, J., & Solomon, P. (1996). Case manager alliance with clients in an older cohort.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32(2), 125-134. 

  6. Drennan, V., & Goodman, C. (2004). Nurse-led case management for older people with long-term conditions.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9(12), 527-533. 

  7. Frich, L. M. (2003).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4(2), 137-153. 

  8. Hadjistavropoulos, H. D., Sagan, M., Bierlein, C., & Lawson, K. (2003). Development of a case management quality questionnaire. Care Management Journals, 4(1), 8-17. 

  9. Hallberg, I. R., & Kristensson, J. (2004). Preventive home care of frail older people: A review of recent case management stud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3(6B), 112-120. 

  10. Han, M. H. (1987). A study of the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nurses in Seoul health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Horvath, A. O., & Greenberg, L. S.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2), 223-233. http://dx.doi.org/10.1037/0022-0167.36.2.223 

  12. Jang, K. S.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June, K. J., Lee, J. Y., & Yoon, J. L. (2009). Effects of case management using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 (RAI-HC) in home health services for older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366-375.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366 

  14. Kang, H. Y. (1995).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working alliance by counselor experience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Kim, G. S.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16. Kim, S. B., Jung, M. Y., Jung, H. S., & Jin, J. G. (2001). Organizational behavior (3rd ed.). Seoul: Minyoungsa. 

  17. Kim, S. J., Choi, M. S., & Sung, K. W.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9-39. 

  18. King, R., Meadows, G., & Le Bas, J. (2004). Compiling a caseload index for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8(6), 455-462. http://dx.doi.org/10.1111/j.1440-1614.2004.01388.x 

  19. Luker, K. A., & Chalmers, K. I. (1990). Gaining access to clients: The case of health visi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1), 74-82. 

  20. Melis, R. J., van Eijken, M. I., Teerenstra, S., van Achterberg, T., Parker, S. G., Borm, G. F., et al. (2008). A randomized study of a multidisciplinary program to intervene on geriatric syndromes in vulnerable older people who live at home (Dutch EASYcare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3(3), 283-290.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Family health program guidelines. Seoul: Author. 

  22. Nakatani, H., & Shimanouchi, S. (2004). Factors in care management affecting client outcomes in home care. Nursing & Health Sciences, 6(4), 239-246.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04.00201.x 

  23. Neale, M. S., & Rosenheck, R. A. (1995). Therapeutic alliance and outcome in a VA intensive case management program. Psychiatric Services, 46(7), 719-721. 

  24. Oeseburg, B., Wynia, K., Middel, B., & Reijneveld, S. A. (2009). Effects of case management for frail older people or those with chronic illness: A systematic review. Nursing Research, 58(3), 201-210.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1a30941 

  25. Park, E. J. (2007). Review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cas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311-320. 

  26. Reimanis, C. L., Cohen, E. L., & Redman, R. (2001). Nurse case manager role attributes: Fifteen years of evidence-based literature. Lippincott's Case Management, 6(6), 230-239; quiz 240-232. 

  27. Rosati, R. J., Marren, J. M., Davin, D. M., & Morgan, C. J. (2009). The linkage between employe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home healthcare.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31(2), 44-53. 

  28. Shin, S. A. (2009). Evaluating a community-based case management program for people with diabete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a Trobe University, Bundoora, VIC, Australia. 

  29.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4), 337-352. 

  30. Statistics Korea. (2010). Elderly statistics 2010. Daejeon: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