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간 노출된 자극판에서 표적과 동일한 방해자극이 옆에 있을 때, 표적의 정확 보고율이 떨어지는 부적 반복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부적 반복효과의 성질을 탐구하기 위해, 자극판의 제시 전에 표적이 제시될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빨간 네모(주의창)로 표시하고, 표적이 제시되지 않는 위치는 회색 네모(비주의창)로 표시하는 기법을 도입했다. 실험참가자는 주의창 위치를 주의함으로써 표적을 더 잘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 1에서는 세 위치 중 두 위치가 개별(작은) 주의창으로 표시되었고, 실험 2에서는 네 위치 중 가운데 두 위치가 합쳐진(큰) 주의창으로 표시되었으며, 실험 3에서는 네 위치 중 가운데 두 위치가 큰 주의창으로 표시되거나 그 둘 중 한 위치가 작은 주의창으로 표시되었다. 세 실험의 결과, 주의창 위치에 제시된 두 문자들을 식별하는 조건에서는 선행 연구와 같이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다. 비주의창 위치에 제시됨으로써 주의 받지 않은 방해자극은, 세 실험에 걸쳐서 표적의 식별에 부적 반복효과(혹은 그 경향성)를 낳거나, 또 그 반대효과인 정적 반복효과(혹은 그 경향성)를 낳았는데, 표적과 방해자극의 거리 및 주의창의 크기가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 반복효과에 대한 반복맹 설명이나 위치불확실성 가설이나 억제적 주의포착 가설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대신에 자극판에서 요구되는 공간 주의 변동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의와 지각의 관계에서 본 연구 과제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순간 노출된 자극판에서 표적과 동일한 방해자극이 옆에 있을 때, 표적의 정확 보고율이 떨어지는 부적 반복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부적 반복효과의 성질을 탐구하기 위해, 자극판의 제시 전에 표적이 제시될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빨간 네모(주의창)로 표시하고, 표적이 제시되지 않는 위치는 회색 네모(비주의창)로 표시하는 기법을 도입했다. 실험참가자는 주의창 위치를 주의함으로써 표적을 더 잘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 1에서는 세 위치 중 두 위치가 개별(작은) 주의창으로 표시되었고, 실험 2에서는 네 위치 중 가운데 두 위치가 합쳐진(큰) 주의창으로 표시되었으며, 실험 3에서는 네 위치 중 가운데 두 위치가 큰 주의창으로 표시되거나 그 둘 중 한 위치가 작은 주의창으로 표시되었다. 세 실험의 결과, 주의창 위치에 제시된 두 문자들을 식별하는 조건에서는 선행 연구와 같이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다. 비주의창 위치에 제시됨으로써 주의 받지 않은 방해자극은, 세 실험에 걸쳐서 표적의 식별에 부적 반복효과(혹은 그 경향성)를 낳거나, 또 그 반대효과인 정적 반복효과(혹은 그 경향성)를 낳았는데, 표적과 방해자극의 거리 및 주의창의 크기가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 반복효과에 대한 반복맹 설명이나 위치불확실성 가설이나 억제적 주의포착 가설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대신에 자극판에서 요구되는 공간 주의 변동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의와 지각의 관계에서 본 연구 과제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the accuracy of report is impaired when a target was flanked by the same distractor than when by alternative distractor. To probe the nature of NRE, this study introduced attention window(s) indicating the positions where a target might ...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the accuracy of report is impaired when a target was flanked by the same distractor than when by alternative distractor. To probe the nature of NRE, this study introduced attention window(s) indicating the positions where a target might be presented, and non-attention window(s) where a target could not be presented. Attention windows are supposed to help participants detect targets readily. Two among three positions are indicated by attention windows in Exp. 1, and a single large attention window encompassing central two positions among four positions was used in Exp. 2, and either large or small attention window was u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arget candidates in Exp. 3. In the result of three experiments, NREs were consistently observed when both positions of a target and a distractor were indicated by previous attention windows. However, NREs (including its tendency) and its opposite, PREs were observed when a distractor was presented in the non-attention position, depending on its distance from the target and the size of attention window. It seems that this pattern of repetition effects is hard to be explained by repetition blindness hypothesis (Kanwisher, 1991), positional uncertainty hypothesis (Keren & Boer, 1985), and inhibitory attention capture hypothesis (Kwak et al., 1993). Instead it was proposed that shifting of spatial attenti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with the structure of stimulus display. The promising role of this task was discussed in studying the relation of attention and perception.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the accuracy of report is impaired when a target was flanked by the same distractor than when by alternative distractor. To probe the nature of NRE, this study introduced attention window(s) indicating the positions where a target might be presented, and non-attention window(s) where a target could not be presented. Attention windows are supposed to help participants detect targets readily. Two among three positions are indicated by attention windows in Exp. 1, and a single large attention window encompassing central two positions among four positions was used in Exp. 2, and either large or small attention window was u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arget candidates in Exp. 3. In the result of three experiments, NREs were consistently observed when both positions of a target and a distractor were indicated by previous attention windows. However, NREs (including its tendency) and its opposite, PREs were observed when a distractor was presented in the non-attention position, depending on its distance from the target and the size of attention window. It seems that this pattern of repetition effects is hard to be explained by repetition blindness hypothesis (Kanwisher, 1991), positional uncertainty hypothesis (Keren & Boer, 1985), and inhibitory attention capture hypothesis (Kwak et al., 1993). Instead it was proposed that shifting of spatial attenti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with the structure of stimulus display. The promising role of this task was discussed in studying the relation of attention and perception.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