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녕 비봉리 지역의 Holocene 중기 해수면변동
Sea Level Change during the Middle Holocene at Bibong-ri,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8 no.6, 2013년, pp.837 - 855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김정윤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로부터 약 70km 떨어진 창녕 비봉리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목선, 패각층, 도토리 구덩이 등 해양과 관련된 유구와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적의 발굴 과정에서 출토된 도토리 구덩이와 패각층의 특성, 퇴적상, 연대측정 및 규조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수면변동 곡선을 복원하였다. 패각층과 도토리구덩이는 해수의 영향을 받은 유적지 유구로서 신석기 초기동안 지속적으로 조성되었으므로 해수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퇴적상은 기반암, 기저역층, Holocene 충적층(해성층, 육성층, 배후습지성 퇴적층)으로 구분된다. Holocene 중기 동안 해수면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였으며, 울산 세죽리와 경기도 평택의 해수면변동 경향과 조화를 이룬다. 비봉리 지역의 해수면은 Holocene 중기인 7,000년 BP 경 현재 수준에 도달했으며, 5,000년 BP 경 김해지역의 현재 평균고조위보다 약 1m 정도 높았고, 4,000년 BP까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mains and relics such as wood vessel, shell middens and acorn hollow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s were excavated at Bibong-ri,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approximately 70km apart from the Nakdong River mouth. The sea-level change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character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 지역의 인간 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인가? 신생대 제4기의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해수면변동과 식생변화 등은 해안 지역의 인간 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최종빙기 최성기인 20,000~18,000년 BP 경 현재보다 140m 정도 아래에 있었던 해수면은 만빙기에 이어 Holocene에 급격하게 상승 하였는데, 한반도 해수면변동 연구는 최종빙기 최성기 이후 상승 패턴과 함께 Holocene 동안 현재보다 해수면이 더 높았던 시기의 유무 및 현재 수준에 도달한 시기에 관하여 여전히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창녕 비봉리 신석기시대 유적의 특징은 무엇인가? 창녕 비봉리 신석기시대 유적은 낙동강 하구부에서 상류쪽으로 70km 정도 떨어진 내륙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목선, 도토리 구 덩이, 굴 껍질 중심의 패각층 등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유구와 유물이 출토되었다. 내륙 깊은 곳에 위치한 이 유적의 내용과 조성과정은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Holocene 중기의 해수면변동을 복원함으로써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극한 기후로 형성된 파랑에 의해 해수면보다 높게 퇴적된 경우 오랫동안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아울러 극한 기후로 형성된 파랑에 의해 해수면보다 높게 퇴적된 경우 오랫동안 공기 중에 노출된다. 이런 경우 퇴적물에 포함된 규조, 화분, 식물규소체, 미세패 등 대부분의 미화석은 빗물에 용해되거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버린다. 해수면변동에 적용되는 시간의 규모가 수 백 년 내지 수 천 년이므로 이런 경우 퇴적물에는 미화석들이 거의 남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