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전지역 대보 화강암내 우라늄 광물의 산출상태와 지하수내 우라늄의 기원
Occurrence of U-minerals and Source of U in Groundwater in Daebo Granite, Daejeon A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3 no.4, 2013년, pp.399 - 407  

황정 (대전대학교 지반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전지역은 우리나라에서 고함량 우라늄 지하수에 대한 우려가 높은 지역이다. 대전의 복운모 화강암 지역의 지하수에서 우라늄의 함량이 높지만 복운모 화강암에서 우라늄 함량은 화강암의 세계 평균치 보다 낮고 우라늄 광물의 산출이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우라늄의 근원암과 지하수에 우라늄을 공급할 수 있는 우라늄 광물의 산출상태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표 방사능 탐사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라늄 이상은 화강암맥과 열수변질된 화강암에서 측정되었다. 우라늄 이상을 보이는 화강암맥은 복운모 화강암과 운모-편암의 경계부에 발달한다. 복운모 화강암 내의 우라늄 이상대는 열극대를 따라 석영 세맥이 충진한 열수변질대에 발달한다. 우세한 열수변질작용은 칼륨 변질작용과 프로필리틱 변질작용이다. 우라니나이트는 화강암맥과 열수변질된 화강암에서 공통적으로 산출되는 우라늄 광물이며, 코피나이트와 우라노페인은 열수변질 화강암에서 산출된다. 모든 우라늄 광물은 백운모, 녹니석, 녹염석, 방해석 등과 같은 열수변질 광물과 밀접히 공생한다. 우라늄 광물이 산출되는 화강암맥과 열수변질된 화강암은 대전지역 지하수 내 우라늄의 주요 기원암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groundwater in Korea contains high U concentrations, especially where two-mica granite occurs in the Daejeon area. The elemental U in the two-mica granite is lower than that in normal granites elsewhere in the world, and U-minerals have yet to be reported in the two-mica granite in the Daeje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함량 우라늄 지하수가 집중 보고되는 대전지역의 화강암에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우라늄 광화대의 부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연구에서는 우라늄 광화대의 부존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지표 방사능 탐사를 수행하여 우라늄 이상대를 추적하고, 우라늄 광화대와 우라늄 광물의 산출상태를 기재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대전지역 지하수내 우라늄의 기원을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Crossed nicols. (b) Muscovite containing quartz as the breakdown product of K-feldspar. Open nicols.
  • (b) Uraninite occurs along grain boundaries between quartz and feldspar in leucocratic granite, and is commonly associated with alteration minerals such as muscovite and chlorite. (c) Chlorite -rimmed uraninite occurs along grain boundaries between biotite and feldspar in two-mica granitic dike. (d) Pyrite-rimmed uraninite occurs in plagioclase grains in hydrothermally altered grani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방산란전자영상이 우라늄 광물 산출상태 확인에 효과적인 이유는? 광석 및 편광 현미경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우라늄 광물의 산출상태는 전자현미경의 후방산란전자영상(back-scattered electron image, BSE)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후방산란전자영상은 무거운 원소의 광물일수록 밝은 영상을 보이는 특성을 보이므로 비교적 가벼운 원소로 구성된 조암광물에서 산출되는 우라늄 광물을 발견하고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확인된 우라늄 광물에 대하여는 에너지분산분광기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를 이용한 정성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라니나이트는 무엇인가? 우세한 열수변질작용은 칼륨 변질작용과 프로필리틱 변질작용이다. 우라니나이트는 화강암맥과 열수변질된 화강암에서 공통적으로 산출되는 우라늄 광물이며, 코피나이트와 우라노페인은 열수변질 화강암에서 산출된다. 모든 우라늄 광물은 백운모, 녹니석, 녹염석, 방해석 등과 같은 열수변질 광물과 밀접히 공생한다.
대전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 1977)과 대전도폭(Lee et al., 1980)이 있으며, 이들에 의하면 연구지역의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의 변성암류와 시대미상의 옥천누층군 그리고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류로 구성된다. 연구지역의 북부에는 변성암류와 남부에는 북동-남서방향의 옥천누층군의 변성퇴적 암류가 분포하며, 중앙부에는 중생대 화강암류가 넓게 분포한다(Fig.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EPA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1, Public health goals for uranium in drinkingwater, CEPA, California, 30p. 

  2. Cho, B. W., Yun. U., and Choo, C. O., 2010,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f Daejeon area, Korea, IAH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ogeologists) Congress, Proceedings of a groundwater quality sustainability, Krakow, Poland, 12-17 September 2010. 

  3. Choo, C. O., 2002. Characteristics of uraniferous minerals in Daebo granite and significance of mineral species, J. Mineral. Soc. Korea, 15, 1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J. H. and Park, K. H., 1996, Abundances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Daejeon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589-5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wang, J., 2010,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in the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of the Ogcheon belt, Republic of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31, 205- 2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ong, Y. K., 1984,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urassic Daejeon and Nonsan Granitoids in the Ogcheon Fold Belt,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Mining Geology, 71, 179-195. 

  7. Jeong, C. H., 2003, Hydrochemistry and nitrogen and sulfur isotopes of emergency-use groundwater in Daejeon cit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3, 239-2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g, C. H., Kim, M. S., Lee, Y. J., Han, J. S., Jang, H. G., and Joe, B. U., 2011, Hydrochemistry and occurrence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within borehole groundwater in the Cheongw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 163-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eong, G. Y., 2006,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metalliferous black slate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a metamorphic analogue of black shales in the South China block, Mineralum Deposita, 41, 469-481. 

  10. Killeen, P. G., 1979, Gammaray spectrometric method in uranium exploration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Geol. Surv. Can. Rep., 31, 163-229. 

  11. Kim, G. Y., Koh, Y. K., Kim, C. S., Bae, D. S., and Park, M. E., 2000, Geochemical studies of geothermal waters in Yusung geothermal area. J. Korean Soc. Groundwater Environ., 7, 32-46. 

  12. Lee, S. M., Kim, H. S., and Na, K. C., 1980, Geologic map of Daejeon sheet. Daejeon Sheet (1: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3. Lee, S. M., Park, H. I., Kim, S. J., Park, B. S., and Lee, S. H., 1981, Genesis of the uranium deposits in the metasediments of Deogpyeong area, Goesan-gu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 5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 Y. and Baik, M. H., 2007, Characters of Fracture- filling Minerals in the KURT and Their Significance, J. Miner. Soc. Korea, 20, 165-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oon, S. H., Hwang, J., Lee, J.Y., Hyun, S. P., Bae, B. K., and Park, Y., 2013, Establishing the origin of elevated uranium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near the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42, 118-128. 

  16.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Institute (NEPI)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1999,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I), KIGAM, Daejeon, Korea, 338p. 

  17.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Institute (NEPI)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0,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II), KIGAM, Daejeon, Korea, 323p. 

  18.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Institute (NEPI)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1,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III), KIGAM, Daejeon, Korea, 388p. 

  19.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Institute (NEPI)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2,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IV), KIGAM, Daejeon, Korea, 357p.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08, Detailed study on the natural radionuclides concentrations in the groundwater (I), KIGAM, Daejeon, Korea, 293p. 

  21. Oh M. S., 1989, Allanite mineralization in the Mt. Eorae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Mining Geology, 22, 151-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H. I., Lee, J. D., and Cheong, J. G., 1977, Geologic map of Korea, Yuseong Sheet (1: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3. Park M. E. and Kim, G. S., 1998, Geochemistry of uranium and thorium deposits from the Kyemyeongsan pegmatit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1, 365-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hin, D. B. and Kim, S. J., 2011,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slate and coaly slate from the uranium deposit in Deokpyeong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4, 373-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Woo, N. C., Choi, M. J., and Lee, S. K., 2002,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from uranium bearing black shales in Goesan-Boeun area, Korea,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4, 261-2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