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정 유모세포 통합 모델을 이용한 반강성 기전 기반 섬모번들 특성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ir Bundle Feature Estimation Based on Negative Stiffness Mechanism Using Integrated Vestibular Hair Cell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4 no.4, 2013년, pp.218 - 225  

김동영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  홍기환 (인하대학교 정보전자공동연구소) ,  김규성 (인하대학교 정보전자공동연구소) ,  이상민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hair bundle feature model and integration method for hair cell models were proposed. The proposed hair bundle feature model was based on spring-damper-mass model. Input of integrated vestibular hair cell model was frequency and output was interspike interval of hair cell that was ref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섬모번들 특성 매개변수가 AHP 모델의 매개변수로서 극파간격을 유추하는데 적정한 값을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 전정 모델과 어지럼증이 있는 전정 모델 간의 차이를 피드백 받고 보정하는 통합 전정 모델의 기반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인공전정기관의 전정뉴런신호를 예측하는 전정감각 시뮬레이터에 본 연구가 사용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섬모번들 특성 모델과 이들의 통합 과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섬모번들 특성 모델에 의해 섬모번들의 반강성 특징이 정의되었으며, AHP 모델을 분석하여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의 원인이 되는 흥분성 시냅틱 컨덕턴스(excitatory synaptic conductance)를 구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외부 입력을 유모세포 모델에 적용시키기 위해 섬모번들 특성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섬모번들 특성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통합 전정 유모세포 모델이 제안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전정신경의 활동전압 안정도를 재현하기 위한 랜덤 프로세스를 무시하였다. 랜덤 요소를 무시할 경우, 이 모델의 스파이크 간격을 결정하는 흥분성 시냅틱 컨덕턴스(gs)가 랜덤 값이 아닌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일정한 극파간격을 보여주게 된다.
  • 이 때 채워진 심볼(●,▲)들은 각 주파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심신경섬유의 섬모번들 특성 모델을 모델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통합된 전정 유모세포 모델을 이용해 섬모 번들 특성 모델을 검증하였다. 이는 섬모번들과 유모세포-시냅스 구간의 기전을 모사했던 기존 논문들의 모델 이론을 합친 것과 같다.
  • 이 모델의 목적은 전정신경의 활동전압 안정도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었다. 전정 유모세포는 전정신경의 발화규칙성에 따라 다른 성향의 활동전압 규칙성을 보인다.

가설 설정

  • 섬모번들의 강성은 섬모번들을 지지해주는 pivot spring의 강성과 이온 채널이 열림에 따라서 변화하는 gate spring의 강성의 합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8]. 이온 채널의 개방률은 일정한 값을 가지기 때문에[8] 본 논문에서는 섬모번들마다 가지는 gate spring의 강성에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식 (1)은 아래의 식 (3)과 식 (4)로 요약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모세포의 주요 기능은? 유모세포의 주요 기능은 섬모번들의 기계적인 진동을 막전위로 바꾸는 것이다[10]. 이러한 막 전위의 증가에 따라 유모세포 내부의 전위가 역치 전위에 도달하게 되면 구심성 전정신경에서 활동전압을 발생시킨다.
유모세포의 주요 기능은 섬모번들의 기계적인 진동을 막전위로 바꾸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유모세포의 주요 기능은 섬모번들의 기계적인 진동을 막전위로 바꾸는 것이다[10]. 이러한 막 전위의 증가에 따라 유모세포 내부의 전위가 역치 전위에 도달하게 되면 구심성 전정신경에서 활동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모델의 구현을 위해선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결정하는 섬모번들에 대한 이해와 유모세포-신경접합부의 화학 물질 교환에 따른 구심성 전정신경의 활동전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어지럼증의 원인은? 균형감각 및 그 부족으로 초래되는 어지럼증은 과거에는 그리 중요하게 인식되지 않았던 것이나 최근에는 여섯 번째 감각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누적되면 신체 면역력에 타격을 주어 어지럼증의 발병 확률을 증가시키곤 한다. 이러한 요소에 의해 어지럼증은 현대인의 대표적인 질병중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 Nazareth, S. Landau, L. Yardley, L. Luxon, "Patterns of presentations of dizziness in primary care-a cross-sectional cluster analysis study," J. Psychosom. Res., vol. 60, pp. 395-401, 2006. 

  2. M. Karatas, "Central vertigo and dizziness: epidemiology, differential diagnosis, and common causes," Neurologist., vol. 14, pp. 355-364, 2008. 

  3. T. F. Youssef, D. S. Poe, "Intratympanic gentamicin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Meniere's disease," Am. J. Otol., vol. 19, no. 4, pp. 435-42, 1998. 

  4. A. G. Pfleiderer, "The current role of local intratympanic gentamici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unilateral Meniere's disease," Clin. Otolaryngol Allied Sci., vol. 23, no. 1, pp. 34-41, 1998. 

  5. A. J. Ayres. L. Tickle, "Hyper-responsivity to touch and vestibular stimulation as a predictor of responsivity to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s by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34, pp. 375-381, 1980. 

  6. B. Hermelin, "Development of hemispheric specialization for speech perception," Cortex., vol. 12, pp. 337-346, 1976. 

  7. C. E. Smith, J. M. Goldberg, "A Stochastic Afterhyperpolarization Model of Repetitive Activity in Vestibular Afferents," Biol. Cybern., vol. 54, no. 1, pp. 41-51, 1986. 

  8. P. Martin, D. Bozoviz, Y. Choe, J. Hudspeth, "Spontaneous oscillation by hair bundles of the bullfrog's sacculus," J. Neurosci., vol. 23, no. 11, pp. 4533-48, 2003. 

  9. L. Le Goff, D. Bozovic, A. J. Hudspeth, "Adaptive shift in the domain of negative stiffness during spontaneous oscillation by hair bundles from the internal ear," PNAS., vol. 102, pp. 16996-17001, 2005. 

  10. A. C. Crawford, R. Fettipla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iliary bundles of turtle cochlear hair cells," J. Physiol. (Lond.), vol. 364, pp. 359-379, 1985. 

  11. P. Martin, A. D. Mehta, A. J. Hudspeth, "Negative hair-bundle stiffness betrays a mechanism for mechanical amplification by the hair cell," Proc. Natl. Acad. Sci. USA., vol. 97, pp. 12026-12031, 2000. 

  12. R. E. Marquis, A. J. Hudspeth, "Effects of ex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on hair-bundle stiffness and gating-spring integrity in hair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vol. 94, pp. 11923-11928, 1997. 

  13. R. A. Eatock, D. P. Corey, A. J. Hudspeth, "Adaptation of mechanoelectrical transduction in hair cells of the bullfrog's sacculus," J Neurosci., vol. 7, pp. 2821-2836, 1987. 

  14. P. Martin, A. J. Hudspeth, "Compressive nonlinearity in the hair bundle's active response to mechanical stimulation," Proc. Natl. Acad. Sci. USA., vol. 98, pp. 14386-14391, 2001. 

  15. R. W. Baloh, V. Honrubia, "The peripheral vestibular system. Clinical neurophysiology of the vestibular system. 2nd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1990. 

  16. D. Kernell, "The repetitive impulse discharge of a simple neurone model compared to that of spinal motoneurones," Brain Res., vol. 11, pp. 685-687, 1968. 

  17. D. Kernell, "The early phase of adaptation in repetitive impulse discharges of cat spinal motoneurones," Brain Res., vol. 41, pp. 184-186, 1972. 

  18. I. M. Purcell, S. D. Newlands, A. A. Perachio, "Responses of gerbil utricular afferents to translational motion," Brain Res., vol. 152, pp. 317-32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