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광상의 자원량 평가를 위한 광체 3D 모델링
3D Modeling For Resources Estimation of Ilmenite Deposits in Jikjeon-Ri, Hadong Ko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4, 2013년, pp.285 - 297  

곽지영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최진범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일대에는 선캄브리아기 간극누적형 회장암체 내 티탄철석 광상이 발달하고 있다. 정밀 지질조사를 통한 노두 자료와 7개 공의 시추탐사 자료를 바탕으로 GOCAD S/W를 사용하여 티타늄의 자원량을 평가하였다. 티탄철석 광체의 지하 부존상태 및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5개 맥상 광체가 남북방향으로 발달하였으며,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평균품위 및 자원량을 산출한 결과 Ti 평균 품위 2.98 wt%, 티탄철석 광량 7,494,303톤 (Ti 223,330톤)이 산정되었다. 이번 연구에 수행된 3차원 모델링을 하동지역 회장암 내 티탄광상 전체에 적용함으로써 티타늄 광체의 3차원적 형태와 자원량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lmenite deposits are developed along the Precambrian intercumulated anorthosite body in Jikjeon-Ri, Bukcheon-Myeon, Hadong, Korea. Both detailed geological survey and drilling prospecting data for seven boreholes can be used to do resource estimation with GOCAD S/W. 3D modeling using geostat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자원문제가 국제적인 이슈가 되면서 우리나라 자원 확보 중장기계획의 일환으로 국내자원 개발에 관한 사업이 추진되어 2010년부터 5년간 “국내 희유금속 광상탐사 및 활용기술 개발”사업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 하에 추진되고 있다. 그 사업의 일환으로 하동지역 티탄철석 광화대에 관한 정밀조사와 시추 탐사가 진행되었으며,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한 매장량의 산출과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 Locations of ore bodies on surface by 3D modeling fit outcrop locations, except only one outcrop (blue circle) doesn’t fit ore bodies model, because it doesn’t have any subsurface dat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일대에는 무엇이 발달하고 있는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일대에는 선캄브리아기 간극누적형 회장암체 내 티탄철석 광상이 발달하고 있다. 정밀 지질조사를 통한 노두 자료와 7개 공의 시추탐사 자료를 바탕으로 GOCAD S/W를 사용하여 티타늄의 자원량을 평가하였다.
정밀 지질조사를 통한 노두 자료와 7개 공의 시추탐사 자료를 바탕으로 무엇을 평가하였는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일대에는 선캄브리아기 간극누적형 회장암체 내 티탄철석 광상이 발달하고 있다. 정밀 지질조사를 통한 노두 자료와 7개 공의 시추탐사 자료를 바탕으로 GOCAD S/W를 사용하여 티타늄의 자원량을 평가하였다. 티탄철석 광체의 지하 부존상태 및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5개 맥상 광체가 남북방향으로 발달하였으며,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평균품위 및 자원량을 산출한 결과 Ti 평균 품위 2.
국내자원 개발에 관한 사업의 일환으로 무엇이 진행되었는가? 최근 자원문제가 국제적인 이슈가 되면서 우리나라 자원 확보 중장기계획의 일환으로 국내자원 개발에 관한 사업이 추진되어 2010년부터 5년간 “국내 희유금속 광상탐사 및 활용기술 개발”사업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 하에 추진되고 있다. 그 사업의 일환으로 하동지역 티탄철석 광화대에 관한 정밀조사와 시추 탐사가 진행되었으며,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한 매장량의 산출과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H.S. (2013) Three-Dimentional geologic modeling of the pohang basin distributed in Haedo-Dong, Nam-Gu, Pohang-Si,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5p. 

  2. Caumon, G., Collon-Drouaillet, P., Le Carlier de Veslud, D., Viseur, S., and Sausse, J. (2009) Surface-Based 3D Modeling of Geological Structures. Mathematical Geosciences 2009, 41, 927-945. 

  3. Choi, J.G. (2013) Geostatistics. Sigma Press, 413p (in Korean). 

  4. Chun, S.H., Sun, C.G., and Chung, C.K. (2005)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 for geo-layer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 103-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Esfahani, N.M. and Asghari, O. (2013) Fault detection in 3D by sequential Gaussian simulation of Rock Quality Designation (RQD) Case study: Gazestan phosphate ore deposit, Central Iran. Arabian Journal of Geosciences, 6, 3737-3747. 

  6. Gwak, S.H. and Lee, D.S. (2001) 3-D Visualization of reservoir characteristics through GOCAD.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4, 80-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artman, H.L. and Mutmansky, J.L. (2002) Introductory Mining Engineering (2nd Ed). John Wiley & Sons, 570p. 

  8. Jang, J.H., Hong, T.K., and Pyong, N.K., (2003) Spatial Data Analysis using the Kriging Method. Th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10, 432-4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eong, J.G., Kim, W.S., and Watkinson, D.H. (1989) Geologic structire of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associated titanium orebod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5, 98-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ournel, A.G. (1986) Geostatistics: Models and Tools for the Earth Sciences. Mathematical Geology, 18, 119-140. 

  11. Jung, J.S., Kim, J.S., Cho, H.S., Song, C.W., Son, M., Ryoo, C.R., Chi, S.J., and Kim, I.S. (2010) Occurrence and deformation of Fe-Ti ores from the Proterozoic Hadong anorthosites,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3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N.J. and Kang, P.C. (1965) Geological map of Korea(Chingyo sheet scale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3. Kim, S.Y. and Seo, J.R. (1990) Study on geology and ore deposits for rare metals in Korea. KIER-Research report, KR-90-2D-1, 82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Y, Seo, J.R., Yang, J.I., and Kim, S.B. (1991) Geology and ore deposits of rare elements in Hadong and Uljin Area, Korea. KIGAM research report, KR-91-2D-1, 7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J., Lee, C.S., and Kang, S.W. (1991) Petrochemistry on intermediated-basic plutons in Jirisan area of the Ryongnam massif.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2, 100-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h, M.S. (2010) Occurrences of ilmenite deposits in Hadong-Sancheong A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3, 25-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wak, J.Y. and Choi, J.B. (2013) 3D Modeling and resource estimation of the Archean greenstone belt gold deposits in Australia by using GOCAD.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3-5 (in Korean). 

  18.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u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6, 341-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D.S. and Kim, H.G. (2002) A case study on 3-D modeling of the orebody by using the 3D modeler.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5, 9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J.M., Jeong, J.G., and Kim, W.S. (1999)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evolution of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their genetic relations with ilmenite-baearing ore bodi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 321-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M. (1980) Some metamorphic aspects of the Meta-pelites in Jirisan(Hadong-Sancheong) Reg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6,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S.M., Na, K.C., Lee, S.H., Park, B.Y., and Lee, S.W. (1981) Regional metamorphism of the metamorphic rock complex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Sobaegsan massif.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 169-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Mallet, J.L. (1989) Discrete Smooth Interpolation.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8, 121-144. 

  24. Mallet, J.L. (2002) Geomodeling. OXFORD University Press, 599p. 

  25. Moon, J.J., Moon, S.W., and Jwa, Y.J. (2012) SHRIMP zircon ages of the dioritic rocks from the Hadong area in the southeastern Yeongnam massif. Fal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science Societies,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11 (in Korean). 

  26. Naji, H.S. and Khalil, M.K. (2012) 3D geomodeling of the Lower Cretaceous oil reservoir Masila oil field, Yemen. Arabian Journal of Geosciences, 5, 723-746. 

  27. Park, K.H., Kim, D.Y., and Song, Y.S. (2001) Sm-Nd mineral ages of charnockites and ilmenite-bearing anorthositic rocks of Jirisan area and their generic relationship.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0, 27-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chetselaar, E.M. (2013) Mapping the 3D lithofacies architecture of a VMS ore system on a curvilinearfaulted grid: A case study from the Flin Flon mining camp, Canada. Ore Geology Reviews, 53, 261-275. 

  29. Schneider, A., Gerke, H.H., and Maurer, T. (2011) 3D initial sediment distribution and quantification of mass balances of an artificially-created hydrological catchment based on DEMs from aerial photographs using GOCAD.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36, 87-100. 

  30. Seo, J.R., Park, S.W., Lee, P.G., Oh, M.S., and Lee, B.J. (1992) Study of rare metal mineral resources in the Hadong area. KIGAM research report. KR-92-1C-2, 72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Wang, G., Zhu, Y., Zhang, S., Yan, C., Ma, Z., Hong, D., and Chen, T. (2012) 3D geological modeling based on gravitational and magnetic data inversion in the Luanchuan ore region, Henan Province, China.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80,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