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
Landscape as Materialized Discourse and Capital - Political Economic Interpretation of Urban Landscap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6, 2013년, pp.117 - 128  

박근현 (국토연구원 국토관리.도시연구본부)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문화지리학, 공간 정치경제학, 조경학에서 논의되어 온 경관론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도시 경관의 생성과 변화를 해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관 개념은 인간, 특히 부르주아적 주체를 자연과 분리하여 자연에 대한 시각적 전유를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근대적 경관 개념을 수용한 오늘날의 조경은 경관을 실증 과학 혹은 예술의 대상으로 한정짓는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화된 담론'과 '물질화된 자본'으로서의 경관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관 해석 이론을 제시하였다.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사회 정치적 해석 논의들을 검토한 결과, 물질화된 담론으로서의 경관은 지배층의 시각을 담은 '보는 방식'이고, 탐험가나 예술가들을 통해 구현되는 제국주의적 시각이며, 남성적 관음적 '응시'이기도 하다. 경관의 경제적 측면에 주목하는 공간 정치경제학자들에 따르면, 경관의 생산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잉여 가치 생산을 위한 필연적 국면이며, 소비 문화의 확산과 함께 경관자체가 소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경관의 물질성과 이데올로기성을 변증법적으로 보아야 하며, 경관과 사회는 존재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discourses of the urban landscape discussed in the fields of new cultural geography, spatial political economy,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order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a contemporary urban landscape. The notion of landscap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근법이란? “풍경화에 반영된 이러한 시각적 기술은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 화가들의 ‘원근법(perspective)’의 발명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었다”(Cosgrove, 1985: 47). 원근법은 3차원 공간을 2차원 평면에 표현함으로써 외부 세계를 자신의 공간밖에 존재하는 독자적 개별 존재로 인식하게끔 하였고, 이로써 공간은 관찰자의 시각적인 소유물이 된다. 이러한 원근법은 공간을 점유하는 데 필요한 다른 기술들, 즉 건축 · 측량 · 지도 작성 · 도시계획 · 조경 등과 연관되어 발전하였다.
경관 형태론이란? 첫 번째는 경관의 가시적 형태와 그 형식적 속성에 관심을 두는 ‘경관 형태론’이다. 이 입장은 경관 미를 객관적 법칙으로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려는 형식미학적 접근으로서, 경관 선호도나 만족도 등 이용자들의 심리학적 반응을 측정하고 규명하는 실증과학적 접근과 맞물려 발전해 왔다. 두 번째는 경관 해석의 주체와 가시적 경관 이면의 내용에 보다 비중을 두는 ‘경관 의미론’이다.
네덜란드 풍경화가에 의한 경관의 의미는 어떻게 변했나? 한편, 네덜란드의 풍경화가들은 landscape라는 현대적 표기를 만들어내고, 조망으로서의 경관 개념이 적용되는 자연을 이상적 경치에서 현실의 경관으로 확장하였다”(황기원, 1989: 60-61). 이 과정에서 경관은 종전의 생활과 직결된 의미, 즉 환경으로서의 속성을 상실하고 사물의 외관, 특히 이차원적으로 구성된 회화적 효과를 추구하는 경치로서의 속성을 부여받게 되었다. 즉, 경관 개념이 ‘현상적 문화 경관’에서 ‘이상적 자연 경관’으로 해석되었고, 결과적으로 조경의 목표를 후자에 편향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nderson, Kay(1988) Cultural hegemony and the race-definition process in Chinatown, Vancouver:1880-1980. Environment and Planning D 6: 127-149. 

  2. Berger, John and Jean Mohr(1982) Another Way of Telling. New York: Pantheon. 

  3. Bondi, Liz(1992) Gender symbols and urban landscap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6: 17-70. 

  4. Brace, Catherine(1999) Finding England everywhere: Regional identity and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1890-1940. Ecumene 6(1): 90-109. 

  5. Brown, Michael P.(2001) Closet Space: Geographies of Metaphor from the Body to the Globe. New York: Routledge. 

  6. Charles Waldheim ed.(2007)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김영민 (역),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파주: 도서출판 조경. 

  7. Choi, Byong-doo(1994) Political economy of capitalist urban spaces. Cultural Science 94(Spring): 157-182. 최병두(1994) 자본주의 도시공간의 정치경제학. 문화과학 94(봄): 157-182. 

  8. Choi, Hong-jun, Yong-jun Choi, Yong-chang Kim, Dong-hui Ku and Jeong-jae Lee(1993) Understadning of Seoul urban landscape. In Research Group of Korean Space & Environment ed., Seoul Studies: Flexible Industrialization and New City/Society/Politics. Seoul: Han-ul, pp. 412-436. 최홍준, 김용창, 구동회, 이정재(1993) 서울 도시 경관의 이해(한국공간환 경연구회 엮음, "서울연구-유연적 산업화와 새로운 도시?사회?정치"). 서울: 도서출판 한울. pp. 412-436. 

  9. Choi, Jung-min(2006) Landscape Architecture of Neo-liberalism Era. In Landscape Criticism Bom ed., Bom, Landscape Architecture/Society/ Design. Paju: Jo-kyung, pp. 34-61. 최정민(2006) 신자유주의 시대의 조경(조경비평 봄 엮음, "봄, 조경 사회 디자인"). 파주: 도서출판 조경. pp. 34-61. 

  10. Corner, James(1999) Introduction: Recovering landscape as a critical cultural practice. In James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6. 

  11. Cosgrove, Denis and Stephen Daniels eds.(1988) The Iconography of Landscapes: Essays on the Symbolic Representation, Design and Use of Past Environ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Cosgrove, Denis(1984) Social Formation and Symbolic Landscape. London: Croom Helm. 

  13. Cosgrove, Denis(1985) Prospect, perspective and the evolution of the landscape idea. Transactions-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0(1): 45-62. 

  14. Daniels, Stephen(1989) Marxism, culture, and the duplicity of landscape. In Richard Peet and Nigel Thrift eds., New Models in Geography: The Political-economy Perspective 2. Boston: Unwin Hyman, pp. 196-220. 

  15. Debord, Guy(1983) Society of the Spectacle. 이경숙(역), 스펙타클의 사회.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6 

  16. Domosh, Mona(1992) Corporate cultures and the modern landscape of New York City. In Kay Anderson and Fay Gale eds., Inventing Places: Studies in Cultural Geography. Longman Cheshire: Willey Halsted Press. pp. 72-86. 

  17. Duncan, James S. and Nancy Duncan(2001) The aestheticization of the politics of landscape preservat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1(2): 387-409. 

  18. Duncan, James S.(1990) The City as Text: the Politics of Landscape Interpretation in the Kandyan Kind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Harvey, David(1973) Social Justice and the City. 최병두(역), 사회정의와 도시. 서울: 종로서적, 1983. 

  20. Harvey, David(1990)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구동회, 박영민 (역),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서울: 도서출판 한울, 1994. 

  21. Hill, Richard C.(1984) Urban political economy: Emergence, consolidation and development. In Michael P. Smith ed., Cities in Transformation: Class, Capital and the State. CA: Beverly Hills. pp. 123-137. 

  22. Hwang, Kee-won(1989) A treatise on the definitions of ambiguous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7(1): 55-68. 황기원(1989) 경관의 다의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17(1): 55-68. 

  23. Jessop, Bob(2006) Spatial fixes, temporal fixes and spatio-temporal fixes. In N. Castree and D. Gregory eds., A Critical Reader: David Harvey. Oxford: Blackwell. pp. 121-141. 

  24. Kim, Jin-hui(1995) A Study on 'Picturesque,' Beauty of English Land- Scape Garden.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김진희(1995) 영국 풍경식 정원의 미'픽춰레스크'에 대한 연구: 미적개선과 정원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Kim, Su-haeng(2008) A Luminous Explanation of Political Economy (2nd ed.).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김수행(2008)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제2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6. Kim, Wang-bae(2000) City, Space, Life-world. Seoul: Han-ul 김왕배(2000) 도시, 공간, 생활세계. 서울: 도서출판 한울. 

  27. Knox, Paul L.(1991) The restless urban landscape: Economic and sociocultural change and the transformation of metropolitian Washington, DC.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1(2): 181-209. 

  28. Kolodney, Ziva and Rachel Kallus(2008) The politics of landscape (Re)production: Haifa between colonialismand nation building. Landscape Journal 27(2): 173-189. 

  29. Lee, Chi-hun(2007) A Study on Social Conditions of Landscape Transition. Master's Degree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이치훈(2007) 경관변화의 사회적조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석 사학위논문. 

  30. Lee, Jeong-jae(1993) Political Economic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a Townscape.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정재(1993) 소도시 경관의 정치경제학적 연구: 전남 광양시 광양면 시가지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Lee, Jeong-jae(1994) Urban cultural landscape. Cultural Science 5: 231- 246. 이정재(1994) 도시 문화경관. 문화과학 5: 231-246. 

  32. Lee, Mu-yong(1999a) Commercialization of urban landscape and cultural politics. City and Poverty 24: 54-64. 이무용(1999a) 도시 경관의 상품화와 문화정치. 도시와 빈곤 24: 54-64. 

  33. Lee, Mu-yong(1999b) Modernity of Korea urban landscape: to broaden the horizon of landscape research. Geography of Culture & History 11: 95-119. 이무용(1999b) 한국 도시 경관의 근대성- 경관 연구의 평지 확대를 위하여. 문화역사지리 11: 95-119. 

  34. Lefebvre, Henry(1978) The Survival of Capitalism: Reproduction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London: Billing & Sons. 

  35. Mitchell, Don(1994) Landscape and surplus value: The making of the ordinary in Brentwood, CA. Environment and Planning D 12: 7-30. 

  36. Mitchell, W. J. T.(1994) Introduction. In W. J. T. Mitchell ed., Landscape and Powe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4. 

  37. Monk, Janice(1992) Gender in the landscape: expressions of power and meaning. In Kay Anderson and Fay Gale eds., Inventing Places: Studies in Cultural Geography. Longman Cheshire: Willey Halsted Press. pp.123-138. 

  38. Nash, Catherine(1996) Reclaming vision: Looking at landscape and the body. Gender, Place and Culture 3: 149-169. 

  39. Newton, Norman T.(1971) Design on the Lan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0. Olwig, Kenneth(1996) Recovering the substantive nature of landscape.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6: 630-653. 

  41. Pae, Jeong-hann and Jung-song Cho(1999) Landscape design and pictorialized view on nature: A critical exa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3): 80-87. 배정한, 조정송(1999) 조경 설계와 회화적 자연관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27(3): 80-87. 

  42. Pae, Jeong-hann(2004) Theory and Critical Practice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Seongnam: Jo-kyung. 배정한(2004)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성남: 도서출판 조경. 

  43. Relph, Edward(1987) The Modern Urban Landscape. 임동국(역), 근대 도시 경관. 서울: 태림문화사, 1999. 

  44. Rose, Gillian(1993) Feminism and Geography. Cambridge: Polity Press. 

  45. Sauer, Carl(1925) The morphology of landscape.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Geography 22: 19-53. 

  46. Schein, Richard H.(1997) The place of landscape: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terpreting an American scene.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7(4): 660-680. 

  47. Schein, Richard H.(1999) Teaching 'race' and the cultural landscape. Journal of Geography 98: 188-190. 

  48. Smith, Neil(1984)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New York: Basil Blackwell. 

  49. Soja, Edward(1993) Postmodern Geographies. 이무용외(역), 공간과 비판 사회이론. 서울: 시각과 언어, 1997. 

  50. Wylie, John(2007) Landscape. New York: Routledge. 

  51. Zukin, Sharon(1991) Landscape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Worl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