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신 여성의 싱글생활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based on their subjective perceptions on single lif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2 no.6, 2013년, pp.615 - 631  

왕석순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  류경희 (창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plore various possible 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Main purpose of the work is to find out possible 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in terms of their subjective views on single life based on Q methodology. Q methodology is a research method to study and underst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신 여성의 생활은 그들의 주관적 이해와 신념, 경험의 범위와 다양성으로 인해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분류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유형화를 시도하는 Q-방법론(주관성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싱글생활에 대한 독신 여성의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 하고자 한다.
  • Stephenson은 한 사람을 대상으로 Q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오히려 P 표본 수가 커지면 통계적 문제가 야기됨으로 인해 Q 방법론은 소표본(small sample doctrine)에 근거하고 있다(Oh & Kim, 2006).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독신여성들의 싱글생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그들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과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30대와 40대의 결혼경험이 전혀 없는 독신여성 총 18명에게 싱글생활에 대한 Q-카드 분포도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독신여성 18명은 연구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부탁하여 본 연구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사람을 선정하는 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였으며, 전문직과 비전문직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여 골고루 표집하였다.
  • 이 연구는 독신여성을 보다 다양하고 유연한 시각에서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개인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싱글생활을 기준으로 독신여성을 유형화한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유형화의 방법은 독신여성의 주관적 인식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형화로 분류된 독신여성들을 양적 자료에 의하여 검증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차지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수자에 대한 흥미 위주의 관심이나 사회의 독신자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 또는 반대로 최근 증대되는 대중매체의 상업적 포장에 의해 긍정적 이미지(예: 화려하고 세련된 전문직 여성의 이미지)로 과잉 획일화되어 있는 독신여성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싱글 생활에 대한 독신여성의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여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주관적 인식 경향을 객관화하여 유형화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1. 싱글 생활에 대한 독신 여성의 주관적 인식은 어떻게 유형화 될 수 있는가?
  • 2. 각 유형의 독신여성이 가지는 개별적 특성은 무엇인가?
  • 3. 모든 유형의 독신여성이 공유하는 특성이 있는가? 만일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면 그 특성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신의 삶은 어떤 요인들에 의해 다양화 되는가? 한편, 독신의 삶은 독신자신의 개인적인 특성, 직업이나 소득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여건, 결혼 경험 유무, 독신의 과정, 가치관이나 태도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하여 다양화되어 있을 것이기에, 긍정이든, 부정이든 독신자들의 삶을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획일화 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긍정이든, 부정이든 독신생활의 실제를 담지 못한 획일적 시각은 독신여성의 삶을 단편적으로 왜곡시키는 것이 될 수 있어서, 사실과 다른 불합리한 고정관념이나 반대로 사실과 다른 낭만적 신화를 사회에 확산 시킬 수 있다.
우리사회의 싱글생활을 하는 독신에 대한 시각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우리 사회에서는 싱글생활을 하는 독신에 대한 시각이 여전히 대체로 과장되어 있으며, 편견적이며, 비하적인 경향이다(Lee, 2000; Chun & Lee, 2001; Lee & Park, 2003; Kim & Kim, 2005). 독신자는 사회적 관습에서 벗어난 비정상적 사람이며, 결혼하기에 무언가 결함이 있는 사람으로 간주하며, 미성숙하거나 또는 변덕스럽거나, 불행하거나 의기소침하다고 여겨진다(Kim & Kim, 2005).
대학생 대상 조사에서 나타난 독신여성의 바뀐 이미지는? 그러나 최근에 이루어진 청소년 대상 연구(Wang, 2010a)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Ryu & Wang, 2010)에서는 독신여성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가 공존하고 있어서, 과거의 부정적인 시각 일변도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생 대상의 조사(Wang, 2010b)에서는 ‘자기관리를 잘하는 화려한 전문직 여성’이라는 긍정적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다. 이것은 최근 독신집단으로 빠르게 진입되고 있는 고학력의 전문직 여성들에 대해서는 성취지향적이며, 다양하고 광범위한 경험에 참여하며, 자유로운 집단으로 인식하는 경향(Olson & DeFrain, 1994)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어서, 우리 사회도 이제 독신여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너그러워졌고 이해의 폭도 넓어졌다(Kim, 1994)는 것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argan, L. & Melko, M. (1982). Single: Myths and Realities, Sage. 

  2. Chun, O. S. & Lee, Y. S. (2001).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dolescents about Singlehoo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3), 59-68. 

  3. Dennis, K. E. (1986). Q-methodology: relevance and application to nursing research, Advaces in Nursing Scinece, 8(3), 6-17. 

  4. Han, J. H. (2013. 6. 5). Marriages and divorces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Ilyosisa. 

  5. Jang, H. S. (2002). A study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ingle life. Journal of the Korea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6), 185-195. 

  6. Kim, K. W. & Kim, T. H. (2005). Qualitative study the causes of being single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6), 61-79. 

  7. Kim, B. J. (1999). Understanding of Q methodology and its application to consumer research. Asia marketing journal, 1(3), 120-140. 

  8. Kim, S. O. (2005). A Study on the Welfare Strategies for the Singles. Human life science, 8, 21-38. 

  9. Kim, S. E (2007). Q method & sociology. Busan: Geum-jeong Publisher. 

  10. Kim, A. S. (1994). Single life, the infinite freedom. Seoul: Goryeo-won Media. 

  11. Kim, H. S. & W, Y. M. (2000). Q methodology. Seoul: Kyoyookbook. 

  12. Kim, H. Y., Seon, B. Y., Jin, M. J. & Sagong, E. H. (2007). Family-consciousness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and survey of life styles. Research Report,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3. Kim, H. K.(1990). Understanding of Q methodology for subjectivity research.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6(1). 1-11. 

  14. Kim, H. K.(2006). The Usefulness of the Q Methodology in the Creation of Election Campaign Message.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1. 15-33. 

  15. Lee, S. Y. & Hwang, S. J. (2003). A study of the lifestyle for single professional female. Human life science, 6. 267-281. 

  16. Lee, Y. S. & Park, K. R. (2003). Stereotypes of the single women held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10), 173-184. 

  17. Lee, J. Y. (2000). A study on the reality and prospect about unmarried single males and females. Women's Studies Center Mokpo National University, 8(1). 1-10. 

  18. McKedwn, B. & Thomas, D. (1988). Q-methodology: A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66. The publishers of professioanl Social Sciences. 

  19. Mun, S. J. (1995). Emergence of a variety of types of family and the trend of women's demographic, socio-economic status. Institute for women's studies, Shilla University.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 6. 25-99. 

  20. Oh, S. J. & Kim, H. K. (2006). Consumer's perception of the culture marketing.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No. 12. 94-114. 

  21. Ok, G. J. (199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dissatisfaction of never-married singles.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sung University, Korea. 

  22. Olson, E. & DeFrain, J. (1994).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Mayfield Pub. Co. 

  23. Park, J. Y. & Kim, J. H.(2002). A case study to analyze welfare needs of a single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0). 17-31. 

  24. Park, C. S.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ttitudes and the perceptions toward a single life. Journal of the Korea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6). 163-171. 

  25. Pnina, S. & Martin, A. (2007). Q Methodology a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Journal of the Society for Existential Analysis, 18(1). 103-116. 

  26. Ryu, K. H. & Wang, S. S. (2010). The images of unmarried single women as seen from the viewpoint of married men and women -focusing on stereotypes of unmarried single wome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37-54. 

  27. Ryu, H. S. (2013. 4. 16). Majority of unmarried single women says "Marriage is not a must". Korea Insurance news. 

  28. Song, M. S., Han, K. I. & Park, C. S. (2003).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the ethical values of students majoring subjects related to rehabilitation. Journal of speech &hearing disorders, 12(2). 255-280. 

  29. Stainton, R. R. (1995). Q Methodology. In J. A. Smith, R. Harre & L. Van Langenhove(Eds.), Rethinking methods in Psychology, 178-192, Thousand oaks, CA: Sage. 

  30. Statistics Korea (2010). Population Census.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 statisticsList_ 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31. Statistics Korea (2012).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01. jsp?grp_no1002&pubcodeCD&typeF 

  32. Wang, S. S. & Nam, S. J. (2008).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image of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205-221. 

  33. Wang, S. S. (2010a). Perceptions of adolescents on unmarried single women.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6(1). 275-303. 

  34. Wang, S. S. (2010b). The Image of the Single Women with University Students from a view of the Lifelong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8(3). 261-287. 

  35. Watts, S. & Stenner, P.(2005).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artnership love : A Q Methodolog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4. 85-107. 

  36. Yoon, S. Y.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ingle people time use and leisure behavior: A comparison of single people an unmarried group and a married group. Journal of the Korea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6). 209-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