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행정학회지 게재논문의 통계학적 방법 사용과 오류
Use and Misuse of Statistical Method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1, 2013년, pp.146 - 154  

송기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o nursing research effectively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statistical methods. In this article, some key statistical methods which are commonly used in nursing research are identified and summarized. Methods: Ninety-two original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개의 연속형 변수들 간에 선형적(linear)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방법이다. 상관관계의 척도로서는 Pearson이 제시한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대표적이다.
  • 본 논문에서는 간호행정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통계학적 사용방법을 정리하고 아울러 그 때 발생했던 통계학적 오류사항을 정리함과 동시에 올바른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기준을 요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통계학적 분석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여 좋은 연구 성과를 얻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또한 통계분석 방법은 적절하게 적용하였으나 그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한다면 좋은 연구 결과를 도출해낼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통계학적 분석 방법들을 소개하고 그 사용 오류를 정리하는 것은 연구자가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하는데 있어 조금이 나마 도움이 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검토와 지적은 향후 간호행정학회지의 발전과 탁월한 연구 성과의 도출을 위해서도 그 일조를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 본 논문에서는 간호행정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통계학적 사용방법을 정리하고 아울러 그 때 발생했던 통계학적 오류사항을 정리함과 동시에 올바른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기준을 요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통계학적 분석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여 좋은 연구 성과를 얻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요인분석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탐색적(exploratory) 접근 방법과 확증적(confirmatory)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가 변수들과 공통요인 간에 내재하는 상관관계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면, 후자는 공통요인의 개수나 요인들 간의 관계 등 모형에 관한 구체적 가정들을 실제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모수 통계분석이란 무엇인가? 관찰된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비모수 통계분석 결과로 제시하는 대표값은 평균보다는 중위수가 적절하고 퍼짐의 척도 또한 표준 편차보다는 범위(range)나 사분위범위(IQR; Inter-quartile Range)가 더 적절하다.
다중비교 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쓰이는가? 분산분석의 결과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경우 특정 집단 간의 비교를 할 수 있는데, 이 절차를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 혹은 사후검정(post-hoc test)이라고 한다. 다중비교의 방법으로는 주로 Bonferroni 방법, Tukey 방법, 혹은 Scheffe 방법 등이 쓰인다. 공분산분석(ANCOVA; Analysis of Covariance)은 기저변수(예를 들면, 연령과 같은 환자의 기초변수 등)를 통제하는 분산분석법 인데, 이 때 분석 결과로 각 집단의 산술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는 것 보다는 최소제곱평균(least square mean)과 표준오차(standard error)를 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선형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어떻게 다른가?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와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 회귀분석인데, 종속변수가 연속형 변수일 때 적용되는 방법이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이고 이분형(binary) 변수일 경우 적용되는 방법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이다. 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수 혹은 회귀모형의 오차(error)가 정규분포를 따르고 서로 독립이며 하나의 분산을 가져야 한다는 세 가지의 기본 가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resti, A. (2002). Categorical data analysis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2. Altman, D. G. (1998). Statistical reviewing for medical journals. Statistics in Medicine, 17, 2661-2674. http://dx.doi.org/10.1002/(SICI)1097-0258(19981215)17:23 3.0.CO;2-B 

  3. Altman, D. G. (2000). Statistics in medical journals: Some recent trends. Statistics in Medicine, 19, 3275-3289. http://dx.doi.org/10.1002/1097-0258(20001215)19:23 3.0.CO;2-M 

  4. Altman, D. G., Goodman, S. N., & Schroter, S. (2002). How statistical expertise is used in medical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2817-2820. http://dx.doi.org/ 10.1001/jama.287.21.2817 

  5. Altman, D. G. (1994). The scandal of poor medical research. British Medical Journal, 308, 283-284. http://dx.doi.org/ 10.1136/bmj.308.6924.283 

  6. Altman, D. G. (2002). Poor-quality medical research: What can journals do?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2765-2767. http://dx.doi.org/10.1001/jama.287.21.2765 

  7. Armitage, P., & Colton, T. (1998). Encyclopedia of biostatistics. New York: John Wiley & Sons. 

  8. Bailar, J. C., & Mosteller, F. (1988). Guidelines for statistical reporting in articles for medical journals: Amplifications and explanati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08, 266-273. 

  9. Dillon, W. R., & Goldsrein, M. (1984). Multivariate analysis. New York: John Wiley & Sons. 

  10. Emerson, J. D., & Colditz, G. A. (1983). Statistics in practic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09, 709-713. http://dx.doi.org/10.1056/NEJM198309223091206 

  11. Fisher, V. B., & Lumley, H. (2004). Biostatistics: A methodology for the health sciences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2. Forthofer, R. N., Lee, E. S., & Hernandez, M. (2007). Biostatistics: A guide to design, analysis, and discovery. New York: ELSEVIER. 

  13. Hair, J. F., & Anderson, R. E.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4. Hosmer, D. W., & Lemeshow, S. (2000). Applies logistic regression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5. Lachin, J. M. (2000). Biostatistical methods: The assessment of relative risks. New York: John Wiley & Sons. 

  16. Landis, J. R., &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 159-174. 

  17. MacArthur, R. D., & Jackson, G. G. (1984). An evaluation of the use of statistical methodology in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49, 349-354. http://dx.doi.org/10.1093/infdis/149.3.349 

  18. Redmond, C. K., & Colton, T. (2001). Biostatistics in clinical research. New York: John Wiley & Sons. 

  19. Rennie, D. (1998). Freedom and responsibility in medical publication: Setting the balancing righ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0, 300-302. http://dx.doi.org/10.1001/jama.280.3.300 

  20. Rosner, B. (2011). Fundamentals of biostatistics (7th. ed.). Pacific Grove: Duxbury. 

  21. Shoukri, M. M., & Pause, M. M. (1998).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sciences (2nd. ed.). New York: CRC Press. 

  22. Sterne, J. A., & Davey, S. G. (2001). Sifting the evidence: What's wrong with significance tests? British Medical Journal, 322, 226-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