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북부 논 잡초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addy Weeds in Northern Gyeonggi-do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2 no.4, 2013년, pp.413 - 420  

오영주 ((주)한반도생물다양성연구소) ,  홍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연구소) ,  이욱재 ((주)한반도생물다양성연구소)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는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을 변화시켜 잡초의 생육에 영향을 많이 미치며 잡초발생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논에 발생하는 문제잡초의 대부분이 C4 식물이며 이는 기후변화에 의해 문제잡초 발생이 많아지며 잡초방제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잡초의 향후 변화양상에 대비하고 자 수행하였다. 경기북부 논 잡초 조사결과 23과 41속 57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65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전체 식물중에 일년생 식물은 46종이고 다년생 식물을 16종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사초과가 23.1%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벼과, 마디풀과, 국화과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에서는 돌피가 가장 높았으며 여뀌바늘, 좀개구리밥, 물달개비, 사마귀풀순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로는 가평군,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김포시, 양주시에서는 돌피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남양주시는 물달개비, 연천군은 사마귀풀, 동두천시, 포천시는 좀개구리밥의 중요치가 높았다. TWINSPAN 분석을 통한 시군의 잡초종의 유사성은 바람하늘지기, 마디꽃, 병아리방동사니에 의해 지역이 구분되었다. CCA 분석에서 잡초종과 토양환경을 이용한 지역간의 차이는 김포시가 높은 토양 EC와 파대가리, 애기부들에 의해 구분되고 남양주시가 낮은 토양 온도조건과 미꾸리낚시, 통발에 의해 다른 지역과 구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imate change affect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weeds as well as the outbreak of weeds. Especially, the occurrences of problematic paddy weeds due to climate change might cause the difficulties in weed control.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current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p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논 농사지대를 대상으로 잡초의 분포 및 발생 피도등급을 조사하여 논에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와 특징을 밝혀내고 문제잡초의 향후 변화양상에 대비하고자 수행하였다.
  • 논에 발생하는 문제잡초의 대부분이 C4 식물이며 이는 기후변화에 의해 문제잡초 발생이 많아지며 잡초방제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잡초의 향후 변화양상에 대비하고 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은 광합성의 유형에 따라 C3 식물과 C4 식물로 구별되는데(Hatch and Slack, 1966; Black, 1971; Takeda and Fukuyama, 1974), C4 식물의 광합성 경로가 밝혀지면서 이러한 식물의 기온, 강수량, 건조 등과 같은 환경조건과의 관계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Noda and Eguchi, 1973; Collatz et al., 1998; Liu et al.
경기 북부지역기후변화에 따른 논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따라서 본 연구는 논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잡초의 향후 변화양상에 대비하고 자 수행하였다. 경기북부 논 잡초 조사결과 23과 41속 57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65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전체 식물중에 일년생 식물은 46종이고 다년생 식물을 16종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사초과가 23.1%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벼과, 마디풀과, 국화과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에서는 돌피가 가장 높았으며 여뀌바늘, 좀개구리밥, 물달개비, 사마귀풀순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로는 가평군,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김포시, 양주시에서는 돌피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남양주시는 물달개비, 연천군은 사마귀풀, 동두천시, 포천시는 좀개구리밥의 중요치가 높았다. TWINSPAN 분석을 통한 시군의 잡초종의 유사성은 바람하늘지기, 마디꽃, 병아리방동사니에 의해 지역이 구분되었다. CCA 분석에서 잡초종과 토양환경을 이용한 지역간의 차이는 김포시가 높은 토양 EC와 파대가리, 애기부들에 의해 구분되고 남양주시가 낮은 토양 온도조건과 미꾸리낚시, 통발에 의해 다른 지역과 구별되었다.
C4 식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0). C4 식물은 토양수분의 이용 효율이 높고 강한 빛과 건조한 환경조건에서도 좋은 적응능력을 보이기 때문에 C3 식물에 비해 강한 경쟁력을 지닌다(Gifford, 1974; Doliner and Jolliffe, 1979). 논에 발생하는 잡초 중에 돌피, 물피, 털물참새피, 미국개기장, 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파대가리, 바람하늘지기 등의 많은 종류가 C4 식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ack, C.C. 1971. Ecological implication of dividing plants into group with distinct photosynthetic production capacities. Advanced Ecological Resources volume 7. Academic Press. Massachusetts. USA. 

  2. Bradshaw, W.E. and Holzapfel, C.M. 2001. Genetic shift in photoperiodic response correlated with global warming. P. Natl. Aca. Sci. 98:14509-14511. 

  3. Braun-Blanguet, J. 1964. Pflanzensoniologie. Springer-Verlag, 3rd ed. Vienna, New York. 

  4. Collatz, G.J., Berry, J. A. and Clark, J. S. 1998. Effect of climate and atmospheric $CO_2$ partial pressure on the global distribution of $C_4$ grasses: present, past and further. Oecologia 144:441-454. 

  5.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6. Doliner, L.H. and Jolliffe, P.A. 1979. Ecological evidence concerning the adaptive significance of the $C_4$ dicarboxylic acid pathway of photosynthesis. Oecologia 38:23-24. 

  7. Ehleringer J.R., Cerling, T.E. and Helliker, B.R. 1997. $C_4$ photosynthesis, atmospheric $CO_2$ and climate. Oecologia 31:255-567. 

  8. Gifford, R.M. 1974. Acomparison of potential photosynthesis, productivity and yield of plant species with differing photosynthetic metabolism. Aust. J. Plant Physiol. 1(1):107-117. 

  9. Hatch, M.D. and Slack, C.R. 1966. Photosynthesis by sugar-cane leaves. A new carboxylation reaction and the pathway of sugar formation. Biochemical J. 101:103-111. 

  10. Hill, M.O. 1973. Reciprocal averaging; an eigenvector method of ordination. J. Ecology 61:237-249. 

  11. Kim, H.D., Park, J.S., Su, K.K., Moon, M.H., Jo, Y.C., et al. 1997. Survey of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paddy field in Kyonggi area. Korean J. Weed Sci. 17(1):1-9. (In Korean) 

  12. Kim, H.D., Kim, Y.H., Ju, Y.C., Sung, M.S., Choi, Y.J. et al. 1992. The survey of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in Kyonggi area. Korean J. Weed Sci. 12(1):46-51. (In Korean) 

  13. Kim, M.H., Han, M.S., Kang, K.K., Na, Y.E. and Bang, H.S. 2011.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_4$ plant list and distribution in South Korea. Korean J. Agric. For. Meteorol. 13(3):123-140. (In Korean) 

  14.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5. Lee, I.Y., Park, J.E. Kim, C.S., Oh, S.M., Kang, C.K., et al. 2007.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land of Korea. Korean J. Weed Sci. 27(1):1-21. (In Korean) 

  16. Lim, J.N. 1992. Global warming impact on country agricultural ecosystems, ecological crisi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South Korea. Ttanim Publishing Ltd. Seoul. Korea. 

  17. Liu, X.O., Wang, R.Z. and Li, Y.Z. 2004. Photosynthetic pathway types in rangeland plant species from Inner Mongolia, North China. Photosynthetica 42(2):339-344. 

  18. Myneni, R.B., Keeling, C.D., Tucker, C.J., Asrar, G. and Nemani, R.R. 1997. Increased plant growth in the northern high latitudes from 1981 to 1991. Nature 386:698-702. 

  19. Noda, K. and Eguchi, S. 1973. Some anatomical characteristics in the leaf blade of principal weeds. J. Weed Sci. Tech. 15:59-65. 

  20. Park, J.S., Cho, Y.C., Han, S.W., Lim, G.J., Lee, W.W. et al. 2001.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paddy field in Kyonggi region. Korean J. Weed Sci. 21(4):320-3266. (In Korean) 

  21. Park, J.S., Kim, H.D., Han, S.W., Lee, J.H., Jang, J.H. 2007.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in paddy field of Gyeonggi region. Korean J. Weed Sci. 27(1):56-65. (In Korean) 

  2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23. Pyankov, V.I., Gunin, P.D., Tsong, S. and Black, C.C. 2000. $C_4$ plant in the vegetation of Mongolia: their natural occurrenc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relation to climate. Oecologia 123(1):15-31. 

  24. Raunkiaer, C. 1937.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UK. 

  25. Takeda, T. and Fukuyama, M. 1974. Studies on the photosynthesis of the Gramineae. 1. Differences in photosynthesis among subfamilies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systematics of the Gramineae. Jpn. J. Crop Sci. 40(1):112-20. 

  26. Takeda, T., Agata, W., Hakoyama, S. and Tanaka, H. 1977. Studies on weed vegetation in non-cultivated paddy fields II. The relation between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gramineous C3-and C4-weeds and the soil moisture condition in non-cultivated paddy fields. Jpn. J. Crop Sci. 46(4):558-568. 

  27. Ter 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J. Ecology 67:69-77. 

  28. Yin, L. and Li, M. 1997. A study o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ecology of $C_4$ plant in China. I. $C_4$ plant distribution China and their relation with regional climatic condition. Acta Ecological Sinica 17(4):350-3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