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제세척 후 용기재질과 헹굼시간에 따른 계면활성제 잔류량 변화
Effects of Bowl Material and Rinsing Period on Variation in the Amount of Residual Surfactant Resided in the Bowls after Dish-Washing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5 no.12, 2013년, pp.978 - 981  

정종신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연훈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승우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상생활과 실험실에서 널리 사용하는 대표적 용기를 선정하여 세제세척 및 헹굼 후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일반적 세제 사용량인 8 mL를 수세미에 묻혀 용기를 닦은 후 흐르는 물에 7초 및 15초간 헹궈주었다. 설거지가 끝난 용기에 증류수 100 mL를 붓고 흔들어 그릇에 남아 있는 계면활성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7초 헹굼과정을 거친 후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 농도는 뚝배기 4.68 mg/L, 후라이팬 1.22 mg/L, 유리그릇 0.57 mg/L, 플라스틱 용기 0.25 mg/L 순으로 모든 용기에서 계면활성제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15초 헹굼과정을 거친 경우, 뚝배기에서만 계면활성제가 여전히 검출되었고 다른 용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결과 다공성매체로 이루어진 재질일수록 계면활성제의 잔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제로 식기를 세척할 경우 충분한 헹굼과정이 있어야 세제 섭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많은 이공계실험실에서 실험실 용기가 세제세척 후 충분히 헹궈지지 않는다면 잔류 계면활성제가 이후 실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lected representative popular bowls used in daily life and laboratory and investigated the amount of residual surfactant resided in the bowls that were dish-washed. The bowls were washed by a scourer soaking 8 mL-detergent and then rinsed by flowing water for 7 or 15 seconds. One hund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방송 오늘” 취재팀이 조사한 일반적 설거지 방법에 의해 설거지를 한 후 그릇에 잔류할 수 있는 세제의 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대표적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의 독성값은 실험용 쥐의 경우 경구독성값이 LD50 = 1288 mg/kg으로 보고되고 있다.4) 그러나 아직 인체에 대한 독성값은 유효하지 않다. 단지 계면활성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면역기능 저하나 점막 손상이 나타나고, 어린이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등의 발생위험이 높은 것으로만 알려져 있다.
  • 74 g 정도로 산정되었다. 4개의 용기만이 사용된다는 가정은 매우 보수적인 가정이다. 만약 그릇 및 용기의 사용이 더 많아지게 되면 잔류 계면활성제의 양은 자연히 많아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면활성제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주방용 세제는 세척력을 높이고 거품을 잘 발생시키기 위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요 성분으로 한다.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탄화수소기반 화합물로 물과 공존하면서 기름과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화합물의 이온 종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정량화 한 결과는 무엇인가? 1) 7초 헹굼과정을 거친 후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뚝배기 4.68 mg/L, 후라이팬 1.22 mg/L, 유리그릇 0.57 mg/L, 플라스틱 용기 0.25 mg/L 순으로 계면활성제는 모든 용기에서 검출되었다. 2) 15초로 헹굼시간을 과정을 두 배로 늘린 경우, 뚝배기에서만 계면활성제가 여전히 검출되었고 플라스틱, 후라이팬, 유리그릇 및 플라스틱용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다공성 표면이 존재하는 뚝배기는 모세관압력에 의해 액체를 흡수하게 되므로 계면활성제의 잔류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3) 하루 세끼의 식사를 하면서 매식마다 뚝배기 1개, 후라이팬 1개, 유리용기 1개 및 플라스틱 용기 1개를 사용하고 설거지할 경우 1년 동안 용기에 잔류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736 mg, 즉 0.74 g 정도로 산정되었다.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다음 식사시 음식과 함께 섭취될 가능성이 높다. 4) 기숙사 및 대형식당 등 대규모 세제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 충분한 헹굼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많은 이공계실험실에서 실험실 용기가 세제세척 후 충분히 헹궈지지 않는다면 이후 실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소수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탄화수소기반 화합물로 물과 공존하면서 기름과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화합물의 이온 종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Rosen, M. J.,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3rd ed., Wiley-Interscience, New Jersey, pp. 1-33(2004) 

  2. Kim, H. Y. and Jeong, S-W., "Enhancement in stability of foam generated with cationic surfactant solutions," J. Kor. Soc. Environ. Eng., 34(11), 735-742(2012). 

  3. Ministry of Environment,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2013). 

  4. Wikipedia Webpage, Sodium dodecyl sulfate, http://en.wikipedia.org/wiki/Sodium_dodecyl_sulfate(2013). 

  5.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ome Page, Sodium Dodecyl Sulfate-Compound Summary, http://pubchem.ncbi.nlm.nih.gov/summary/summary.cgi?cid3423265#x332(2013). 

  6. MBC, Today live show, 2013.10.21. 

  7.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for water analysis: Anionic Surfactants-UV/Visible Spectrometry, ES 04359.1, 2011 

  8. Jeong, S-W, An, Y-J. and Lee, B-J., Soil Remediation Engineering, Dongwha Publisher, Korea, pp. 28-30, (2012). 

  9.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for Water Analysis: Copper-UV/Visible Spectrometry, ES 04401.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