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서남부 하천 하구역의 수질 및 부착돌말 군집 특성
Water Quality and Epilithic Diatom Community in the Lower Stream near the South Harbor System of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4, 2013년, pp.551 - 560  

김하경 (한양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민혁 (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용재 (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  원두희 ((주)생태조사단)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황수옥 (한국수자원공사) ,  김상훈 (국립환경과학원) ,  김백호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서남부 하천을 대상으로 2013년 5월(몬순의 영향이 없었던 시기)에 환경요인 및 부착돌말 군집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는 상류에 1개 이상의 댐이나 인공보가 형성된 조절하천(19개 지점)과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조절하천(19개 지점)으로 나누어 수질 및 부착돌말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부착돌말 출현특성에 따라 한반도 서남부 하천은 비조절하천(G1), 혼합 형하천(G2), 조절하천(G3)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G1은 수질이 양호하고 다양한 부착돌말류가 출현한 반면, G3은 비록 수질은 불량하였으나 부착돌말 현존량이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G2의 경우 조절하천에 비해 수질은 양호하였지만 부착돌말의 종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부착돌말 우점종은 생태범위가 비교적 넓은 담수와 기수 보편종들로서 G1에서 Nitzschia palea (17%), Navicula seminuloides (11%), G2에서 Nitzschia inconspicua (19%), Navicula perminuta (9%), G3에서 Nitzschia inconspicua (15%), Nitzschia palea (14%)으로 수질환경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수의 감소를 가져왔다. 그러나 G2와 G3과 같은 조절하천에서 비록 부착돌말 현존량은 높지 않았으나 부영양 상태(높은 영양염 및 엽록소량 등)를 나타내 하구역의 정확한 수환경 상태파악을 위하여 국내 연안에서 종종 조류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부유성 돌말류에 대한 조사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factors and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the lower streams near the harbor region of South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during no monsoon period in May 2013. The sampling of water and epilithic diatoms was conducted at both streams, 19 regulated streams (RS) that there are one 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반도 서남부의 하천을 대상으로 상류에 댐이나 인공보와 같은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인공하천(조절하천, regulated stream, RS)과 시설물이 전혀 없는 자연하천(비조절하천, natural stream, NS)의 수환경과 부착돌말 군집을 비교하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댐이나 보 건설과 같은 유수계의 구조변화의 영향은? 댐이나 보 건설과 같은 유수계의 구조변화는 수질(Huang and Foo, 2002)뿐만 아니라 배후습지를 포함한 유역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크게 변화시킨다(Petts, 1979; Everitt, 1993; Topping et al., 2000; Kileshye Onema et al., 2006). 특히 하천의 연속성을 파괴하고, 체류시간과 화학물질의 농도 증가로 인한 수질오염은 종종 퇴행적 생태계 천이를 유도하기도 한다(Hirsch et al., 1991; Morris and Fan, 1998; Wei et al., 2009). 우리나라는 몬순기(여름)에 강우가 주로 집중하기 때문에 수자원의 확보를 위하여 유수역내 댐이나 인공보 건설이 불가피하다(Park et al.
부착돌말의 특징은? 부착돌말은 수생식물, 식물플랑크톤과 더불어 유수생태계의 먹이연쇄와 에너지 전달의 근간을 이루며, 폭넓은 서식처, 높은 유입능과 군집형성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Stevenson et al., 1996). 이들은 주로 빛, 수온, 수심, 유속(Biggs et al.
부착돌말의 생물량 또는 개체군의 크기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나? , 1996). 이들은 주로 빛, 수온, 수심, 유속(Biggs et al., 1998), 영양물질(Cho, 1994), 탁도(Figueroa-Nieves et al., 2006), 토지이용(Brant and Herdendorf, 1972) 등에 의해 생물량 또는 개체군의 크기가 결정된다. 특히 주변으로부터 영양물질의 유입이나 서식환경의 변화(예, 댐건설)에 대해 빠른 생물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유수역의 수질이나 환경상태를 파악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Kociolek and Spaulding, 2000; H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 Biggs, B.J., D.G. Goring and V.I. Nikora. 1998. Subsidy and stress responses of stream periphyton to gradients in water velocity as a function of community growth form. Journal of Phycology 34(4): 598-607. 

  3. Boyd, S.R. 2001. Nitrogen in future biosphere studies. Chemical Geology 176: 1-30. 

  4. Boyer, E.W., C.L. Gooodale, N.A. Jaworski and R.N. Howart. 2002. Anthropogenic nitrogen sources and relationships to riverine nitrogen export in the northeastern USA. Biogeochemistry 57/58: 137-169. 

  5. Brant, R.A. and C.E. Herdendorf. 1972. Delineation of Great Lakes estuaries. Ohio State University, Center for Lake Erie Area Research. 

  6. Cho, K.J. 1994. The studies on periphytic microalgae using artificial substrates for microalgae harvest.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27(1): 47-57. 

  7. Choi, J.S., W.P. Jung, K.L. Lee, M.S. Yang and H.S. Kim. 2004. Seasonal Varia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lpo in the Water System of Ulleung Island.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4(4): 378-384. 

  8. Everitt, B. 1993. Channel responses to declining flow on the Rio Grande between Ft. Quitman and Presidio, Texas. Geomorphology 6(3): 225-242. 

  9. Figueroa-Nieves, D., T.V. Royer and M.B. David. 2006. Controls on chlorophyll-a in nutrient-rich agricultural streams in Illinois, USA. Hydrobiologia 568(1): 287-298. 

  10. Flemer, D.A and M.A. Champ. 2006. What is the future fate of estuaries given nutrient over-enrichment, freshwater diversion and low flows?. Marine Pollution Bulletin 52(3): 247-258. 

  11. Gleick, P.H. 2001. Safeguarding our water-making every drop count. Scientific American 284(2): 40-45. 

  12. Hendey, N.I. 1974. The permanganate method for cleaning freshly gathered diatoms. Microscopy 32: 423-426. 

  13. Hirsch, R.M., R.B. Alexander and R.A. Smith. 1991. Selection of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rends in 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Research 27: 803-813. 

  14. Hong, J.S., R.H. Jung, I.S. Seo and K.T. Yoon. 1997. How ar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ies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shihwa dike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Korea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30(5): 882-895. 

  15. Huang, W. and S. Foo. 2002. Neural network modeling of salinity variation in Apalachicola River. Water Research 36(1): 356-362. 

  16. Hwang, S.J., N.Y. Kim, S.A. Yoon, B.H. Kim, M.H. Park, K.A. You, H.Y. Lee, H.S. Kim, Y.J. Kim, J. Lee, O.M. Lee, J.K. Shin, E.J. Lee, S.L. Jeon and H.S. Joo. 2011. Distribution of benthic diatoms in Korean rivers and stream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Annales de Limnologie-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S1): S15-S33. 

  17. Jeong, B.K., Y.S. Sin, S.R. Yang and C. Park. 2011. Monthly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6(4): 238-245. 

  18. Keister J.E. and W.T. Peterson. 2003. Zon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f the central Oregon coast, 1998-2000. Progress in Oceanography 57: 341-361. 

  19. Kileshye Onema, J.M., D. Mazvimavi, D. Love and M.L. Mul. 2006. Effects of selected dams on river flows of Insiza River, Zimbabwe.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31(15): 870-875. 

  20. Kim, H.K., Y.J. Kim, D.H. Won, S.J. Hwang, S.O. Hwang and B.H. Kim. 2013.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Major Harbors of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5): 598-609. 

  21. Kociolek, J.P. and S.A. Spaulding. 2000. Freshwater diatom biogeography. Nova Hedwigia 71(1-2): 223-242. 

  22.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2007a. Sus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1. Teil: Naviculaceae (Ettl, H., J. Gerloff, H. Heying and D. Mollenhauer, eds.). Elsevier Book Co., Germany. 

  23.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2007b. Susss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nd 2/1: Bacillariophyceae 1. Teil: Basillariaceae, Epithemiaceae, Surirellaceae (Ettl, H., J. Gerloff, H. Heying and D. Mollenhauer, eds.). Elsevier Book Co., Germany. 

  24. Lange-Bertalot, H. 2001. Diatom of Europe-Navicula sensu strict, 10 genera Separated from Navicula sensu lato Frustulia. Ganter Verlag A.R.G. and Ruggell K.G. 

  25. Lee, J.J., J.H. Han, B.H. Lim, J.H. Park, J.K. Shin and K.G. An.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s Before and After the Artificial Weir Construction in the Mainstreams and Tributaries of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K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1): 103-115. 

  26. Levinton, J.S. 1982. Marine Ecology.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27.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ystems Sciences, 3. 

  28.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41,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29.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n grassland. Nature 216: 168-169. 

  30. MOE/NIER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Passage route survey of migratory fish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weirs and the fishway's effects.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5pp. 

  31. Morris G.L. and J. Fan. 1998. Reservoir sedimentation handbook: design and management of dams, reservoirs, and watershed for sustainable use. McGraw-Hill, New York. 

  32. Park, J.W., J.S. Choi and M.K. Kim. 2004. Variation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Ipo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7(1): 70-77. 

  33. Park, S.B., J.Y. Lee, M.H. Jang, H.W. Kim, J.M. Jeong, J.W. Kim and G.J. Joo. 1999.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a Weir Reach of the Yangsan Stream (1993-1996).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2(4): 331-340. 

  34. Petts, G.E. 1979. Complex response of river channel morphology subsequent to reservoir construction.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3(3): 329-362. 

  3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Wiley. 

  36.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Univ. 

  37. Shin, J.K. and K.J. Cho. 2000. Seasonal Dynamic and Pollution Statu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Kum River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3(3): 251-259. 

  38. Shin, Y.S. and B.B. Yoon. 2011. Change Taxonomic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Dike in Yeongsan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9(3): 212-224. 

  39. Silva, M.A.M., G.F. Eca, D.F. Felix, D.F. Santos, A.G. Guimaraes, M.C. Lima and M.F.L. de Souza. 2013.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nd chlorophyll a in an estuary receiving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s: Cachoeira River estuary (NE Brazil).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5: 5387-5399. 

  40. Simonsen, R. 1979. The diatom system: ideas on phylogeny. Bacillaria 2: 9-71. 

  41. Stevenson, R.J., M.L. Bothwell, R.L. Lowe and J.H. Thorp. 1996. Algal ecology: Freshwater benthic ecosystem, Access Online via Elsevier. 

  42. Topping, D.J., D.M. Rubin and L.E. Vierra. 2000. Colorado River sediment transport: 1. Natural sediment supply limitation and the influence of Glen Canyon Dam. Water Resources Research 36(2): 515-542. 

  43. Watanabe, T.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Uchida Rokakuho Publishing Co., Tokyo, Japan. 

  44. Wei, G., Z. Yang, B. Cui, B. Li, H. Chen, J. Bai and S. Dong. 2009. Impact of dam construction on water quality and water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the Lancang River, China. Water Resources Management 23(9): 1763-1780. 

  45. Yoon, Y.Y., D.H. Kim and S.M. Lee. 1999. Accumulation of pollutants in the lower course of the Namdae stream and effect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Kangnung hydroelectric power s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1(11): 2221-2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