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k Binder용 UV 경화형 조성물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UV Curable Urethane Acrylates for Ink Binder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4 no.4, 2013년, pp.167 - 174  

박현주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제연구실) ,  한창덕 ((주)씨엔에프케이) ,  오상택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제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ink binder용으로 isophorone diisocyanate (IPDI)/polyether polyol/2-hydroxyethyl acrylate (HEA)계 UV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였다. HEA/PETA 혼합 비율을 달리한 조성물의 UV 조사 시간에 따른 광경화거동을 FT-IR spectrophotometer, probe tack tester 및 Photo-DSC로 확인하였다. UV 조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환률 및 gel content는 증가하였으며 probe tack은 감소하였다. 반응성 희석제로 사용한 PET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탄성률, 인장강도 및 초기분해 온도가 증가하였다. HEA/PETA 비율이 30/70인 경우 UV 경화PMMA sheet에 대한 부착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Ultraviolet (UV) curable urethane acrylates for ink binder was prepared by reaction of IPDI, polyether polyol and HEA. The UV curing behavior of compositions with HEA/PETA ratio on UV irradiation time was investigated by FT-IR spectrophotometer, probe tack tester and Photo-DSC. Con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14,15]. 본 연구에서는 PMMA 기판에 접착력이 우수한 광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한 후 반응성 희석제를 HEA/PETA 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UV 도광판 잉크용 바인더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최적의 UA 조성물을 선정 후 PMMA bead를 혼합하여 PMMA sheet에 도포 및 경화 후 부착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V 경화성 조성물 제조를 하기 위해 사용한 시약은?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다음과 같다. Polyether type의 polyol (KPX Chemical),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ldrich), 2-hydroxyethyl acrylate (HEA, Aldrich),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Aldrich), 1-hydroxy cycl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BASF) 및 toluene (Junsei)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시약은 추가 정제 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PMMA bead인 05FD는 (주)코오롱 인더스트리에서 제공받은 것을 사용하였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은? 본 연구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 으로 제조하였다.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가 장착 된 500 ml 5구 분리 kettle에 polyol과 IPDI를 첨가 한 후 70°C에서 일정시간 반응 시키고 NCO 함량이 이론 적으로 계산된 값에 이르면 반응온도를 50°C로 내리고 HEA를 천천히 투입하였다(당량비 1 : 2). FT-IR spectrum 상에서 NCO 특성 피크가 2,270 cm-1에서 완전히 소멸 된 시점을 반응 종결점으로 하였다. 모든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시하였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top coating이나 접착용도에 다양하게 사 용되고 있으며,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전자 부품 등의 정밀소재 부문에 그 적용분야와 수요가 급 속히 증가되고 있다[9,10].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3가 지 성분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광개시제,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주요 수 지 역할을 하며 자외선 경화 시 물성을 결정하는데 있 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대한민국 특허, 10-2012-0056339. 

  2. 일본 특허, 2012158672. 

  3. 일본 특허, 2012009364. 

  4. B. Nabeth, J. F. Gerard, and J. P. Pascault, J. Appl. Polym. Sci., 60, 2113 (1996). 

  5. K. M. I. Ali, M. A. Khan, M. M. Zaman, and M. A. Hossain, J. Appl. Polym. Sci., 54, 309 (1994). 

  6. S. F. Thames and Z. A. He, J. Appl. Polym. Sci., 54, 951 (1994). 

  7. M. A. Ali, M. A. Khan, and K. M. I. Ali, J. Appl. Polym. Sci., 60, 879 (1996). 

  8. S. Kumari, A. K. Mishra, D. K. Chattopadmay, and K. V. S. V. Raju,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5, 2673 (2007). 

  9. B. K. Kim, K. H. Lee, and H. D. Kim, J. Appl. Polym. Sci., 60, 799 (1996). 

  10. A. Srivastava, D. Agarwal, S. Mistry, and J. Singh, Pigment & Resin Technol., 37, 217 (2008). 

  11. T. A. Speckhard, K. K. S. Hwang, S. B. Lin, S. Y. Tsay, M. Koshiba, Y. S. Ding, and S. L. Cooper, J. Appl. Polym. Sci., 30, 647 (1985). 

  12. K. H. Hsieh, C. H. Kuo, C. A. Dai, W. C. Chen, T. C. Peng, and G. H. Ho, J. Appl. Polym. Sci., 91, 3162 (2004). 

  13. C. Decker, Macromol. Rapid Commun., 23, 1067 (2002). 

  14. J. N. Tey, A. M. Soutar, S. G. Mhaisalkar, H. Yu, and K. M. Hew, Thin Solid Films, 504, 384 (2006). 

  15. A. Chiolerio, L. Vescovo, and M. Sangermano, Macromol. Chem. Phys., 211, 2008 (2010). 

  16. F. Wang, J. Q. Hu, and W. P. Tu, Prog. Org. Coat., 62, 245 (2008). 

  17. V. Jancovicova, M. Mikula, B. Havlinova, and Z. Jakubikova, Prog. Org. Coat., 76, 432 (2013). 

  18. A. R Han, J. G. Kim, J. W. Hong, and H. K. Kim, J. adhes. interface, 13, 1 (2012). 

  19. E. S. Park, H. D Hwang, C. H Park, Y. H Lee, J. I Moon, and H. J. Kim, J. adhes. interface, 12, 2 (2011). 

  20. J. W. Yoo and D. S. Kim, Polymer (Korea), 23, 376 (1999). 

  21. D. Kunwong, N. Sumanochitraporn, and S. Kaewpirom,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33, 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