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자원 회복을 위한 감태(Ecklonia cava Kjellman)의 인공양식기법
Cultivation Technique of Ecklonia cava Kjellman for Restoration of Natural Resource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4, 2013년, pp.347 - 352  

황은경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  황일기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  박은정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  공용근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  박찬선 (국립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태의 인공채묘시 유주자 및 유리배우체를 채묘하여 양성 생장도를 비교하므로써, 유리배우체의 대량양식 이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2008년 11월에 유주자 및 유리배우체를 채묘한 채묘틀을 이용하여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완도군 약산면 시험어장에서 양성 생장도를 비교하였다. 유주자 및 유리배우체 채묘 실험구에서 감태 엽체의 엽장과 생체량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tdoor cultiv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rtificial seeds using free-living gametophytes and zoospores of Ecklonia cava to develop FLG (free-living gametophyte) seeding technique. Growth of thalli between FLG and zoospore seeding groups was compared monthly from May to October 2009 at cul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감태의 유리배우체 양식기법은 감태 자연 자원의 보호와 효율적인 이용에 유용한 방법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태의 유리배우체와 유주자 채묘를 통한 비교 양식 실험을 통하여 유리배우체를 이용한 양식의 이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대량양식에 있어 유리배우체의 활용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태란 무엇인가? 감태(Ecklonia cava Kjellman 1885)는 해중림을 구성하는 대형갈조류로서 연안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서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Kang and Yoo 1993; Brown and Lamare 1994), 해중림 조성용, 식용 또는 기능성 물질의 추출원(Athukorala et al. 2006; Hong et al.
감태 바이오매스 주요 확보 지역인 자연군락 훼손 시 원래 상태로 회복은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는가? 현재 감태 바이오매스의 확보는 전적으로 자연군락으로부터 채취되는 것에 의존하고 있어 자연군락의 자원감소를 초래할 우려가 매우 크다. 한번 훼손된 감태의 자연 군락은 원래의 안정된 군락으로 회복되기 위하여 적어도 3~4년의 긴 시간이 소요된다(Wi et al. 2008).
현재 감태 바이오매스의 확보는 어디에 의존하고 있는가? 현재 감태 바이오매스의 확보는 전적으로 자연군락으로부터 채취되는 것에 의존하고 있어 자연군락의 자원감소를 초래할 우려가 매우 크다. 한번 훼손된 감태의 자연 군락은 원래의 안정된 군락으로 회복되기 위하여 적어도 3~4년의 긴 시간이 소요된다(W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thukorala Y, KN Kim and YJ Jeon. 2006.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 enzymatic hydrolysate from brown alga, Ecklonia cava. Food Chem. Toxicol. 44:1065-1074. 

  2. Brown MT and MD Lamare. 1994. The distribution of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within Timaru Habour, New Zealand. Jpn. J. Phycol. 42:63-70. 

  3. Edding ME and FB Tala. 2003.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the cultivation of Lessonia trabeculata Villouta et Santelices (Phaeophyceae: Laminariales) in Chile. Aqua. Res. 34:507-515. 

  4. Hong JH, BS Son, BK Kim, HY Chee, KS Song, BH Lee, HC Shin and HC Lee. 2006. Antihypertensiv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Korean J. Pharmacol. 37:200-205. 

  5. Hwang EK, JM Baek and CS Park. 2007. Assessment of optimal depth and photon irradiance for cultivation of the brown alga, Sargassum fulvellum (Turner) C. Agardh. J. Appl. Phycol. 19:787-793. 

  6. Hwang EK, JM Baek and CS Park. 2009. The mass cultiva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as a summer feed for the abalone industry in Korea. J. Appl. Phycol. 21:585-590. 

  7. Hwang EK, YG Gong, DS Ha and CS Park. 2010a. Inducing the regeneration and matura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les, Phaeophyta). Korean J. Fish. Aquat. Sci. 43:231-238. 

  8. Hwang EK, YG Gong, DS Ha and CS Park. 2010b. Nursery and main culture conditions for mass cultivation of the brown alga, Ecklonia cava Kjellman. Korean J. Fish. Aquat. Sci. 43:687-692. 

  9. Hwang EK, YG Gong and CS Park. 2012. Cultivation of a hybrid of free-living gametophytes between Undariopsis peterseniana and Undaria pinnatifida: morphological aspects and cultivation period. J. Appl. Phycol. 24:401-408. 

  10. Kang LS and SJ Yoo. 1993. The acute toxity of three oils to the early life of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Korean J. Phycol. 8:77-82. 

  11. Luning K. 1980. Critical levels of light and temperature regulating the gametogenesis of three Laminaria species (Phaeophyceae). J. Phycol. 16:1-5. 

  12. Park CS, KY Park, JM Baek and EK Hwang. 2008. The occurrence of pinhole disease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stage in cultivated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Phaeophyta) in Kroea. J. Appl. Phycol. 20:485-490. 

  13. Westermeier R, D Patino, MI Piel, I Maier and DG Mueller. 2006. A new approach to kelp mariculture in Chile: production of free-floating sporophyte seedlings from gametophyte cultures of Lessonia trabeculata and Macrocystis pyrifera. Aqua. Res. 37:164-171. 

  14. Wi MY, EH Hwang, SC Kim, MS Hwang, JM Baek and CS Park. 2008.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for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cava Kjellman (Laminariales, Phaeophyta). J. Kor. Fish. Soc. 41:381-3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