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에 대한 기초적인 평가를 위해 2013년 9월과 10월에 걸쳐 낙동강 8개 보 구간에서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생체량을 조사하고 수온, 유량, 총인, 총질소,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의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CCA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종조성은 유량, 총인 및 총질소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 유량이 낮았던 9월에는 지점별 종조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유량이 높았던 10월에는 모든 지점에서 윤충류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 농도)과 COD 및 총질소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from 8 weir sites of the Nakdong River syste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plankton community after weir construction and to estimate its effects on major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 건설로 인한 향후 낙동강 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낙동강 보 구간의 수질 항목과 플랑크톤 군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낙동강 8개 보 구간(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에서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초 수질을 측정,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보 건설로 인한 낙동강 본류의 물리적 환경변화가 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기초수질환경은 유사하나 유량이 서로 다른 시기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 건설로 인한 향후 낙동강 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낙동강 보 구간의 수질 항목과 플랑크톤 군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낙동강 8개 보 구간(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에서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고, 기초 수질을 측정,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보 건설로 인한 낙동강 본류의 물리적 환경변화가 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기초수질환경은 유사하나 유량이 서로 다른 시기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랑크톤의 역할은? 플랑크톤은 수생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1차 및 2차 생산자로서 먹이연쇄의 기반을 형성하여 생태계 내에너지 순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랑크톤 군집의 생체량과 종조성은 생태계 내 경쟁과 포식과 같은 생물학적 상호작용 외에도 서식처의 다양한 물리, 화학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반영한다(Lee et al.
하천플랑크톤 군집에 중요한 환경인자로 작용하는 것은? 2011). 특히 유수생태계에 존재하는 하천플랑크톤 (potamoplankton) 군집의 경우 유량 및 유속과 같은 수문학적 요인이 중요한 환경인자로 작용하며 이러한 물리적 수문 요인의 영향은 체류시간이 짧은 국내의 주요 하천형 호수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Ha et al. 2002; You et al.
플랑크톤 군집의 생체량과 종조성이 반영하는 것은? 플랑크톤은 수생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1차 및 2차 생산자로서 먹이연쇄의 기반을 형성하여 생태계 내에너지 순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랑크톤 군집의 생체량과 종조성은 생태계 내 경쟁과 포식과 같은 생물학적 상호작용 외에도 서식처의 다양한 물리, 화학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반영한다(Lee et al. 2000;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ng KH, H Doi, H Imai, H Gunji and S Nakano. 2008. Longitudinal changes in zooplankton distribution below a reservoir outfall with reference to river planktivory. Limnology 9:125-133. 

  2. Doi H, KH Chang, T Ando, H Imai, S Nakano, A Kajimoto and I Katano. 2008. Drifting plankton from a reservoir subsidize downstream food webs and alter community structure. Oecologia 156:363-371. 

  3. Ha K, MH Jang and GJ Joo. 2002. Spatial and tempor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long a regulated river system, the Nakdong River, Korea. Hydrobiologia 470:235-245. 

  4. Jeon HW, JW Choi and KG An. 2012.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s at various streams of Han-River watershed and empirical models of serial impoundment reservoirs. Korean J. Limnol. 45:378-391. 

  5. Jeppesen E, P Noges, TA Davidson, J Haberman, T Noges, K Blank, TL Lauridsen, M Sondergaard, C Sayer, R Laugaste, LS Johansson, R Bjerring and SL Amsinck. 2011. Zooplankton as indicators in lakes: a scientific-based plea for including zooplankton in the ec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lakes according to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WFD). Hydrobiologia 676:279-297. 

  6. Kim HW and GJ Joo. 2000. The longitudin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dynamics of zooplankton in regulated large river: a case study of the Nakdong River (Korea). Hydrobiologia 438:171-184. 

  7. Kim JM, MS Han, W Jheong and J Pakr. 2005.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oir. Korean J. Limnol. 38:217-224. 

  8. Lee JH, HM Oh and J Maeng. 2000.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in the Daechung Reservoir. Korean J. Environ. Biol. 18:355-365. 

  9. Lee SC, JH Han and KG An. 2008. Functional modifications of Daechung Reservoir eutrophication by upper dam construction. Korean J. Limnol. 41:348-359. 

  10. Shin SK, KH Baek and MK Song. 2002. The evaluation for maximum chl. a site observed in the mid to lower Nakdong River. Korean J. Limnol. 35:21-27. 

  11. ter Braak CJF and P Smilauer. 2002. CANOCO Reference manual and CanoDraw for Windows user's guide: software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version 4.5). Microcomputer Power (Ithaca NY, USA). 500 p. 

  12. You KA, MS Byeon and SJ Hwang. 2012. Effects of hydraulichydrological changes by monsoon climate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Paldang, Korea. Korean J. Limnol. 45:278-2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