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송수관로를 이용한 안정적인 송수를 위한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esign parameters for a double-transmission main system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7 no.1, 2013년, pp.129 - 138  

현인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홍준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두일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interruption is often caused by a rupture in the branch-like singular pipeline. This will cause critical complaints from household and may decrease public service quality. As an alternative of singular pipeline, additional parallel pipeline could be installed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결관을 배치할 경우 단수 위치에 따라 물의 흐름 패턴이 달라지게 되며, 이는 토출부 수두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연결관의 배치 조건에 대한 모의에 앞서 단수위치가 토출부 수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ig.
  •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 정도가 구간 단수 시 관의 통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검토하고자 C계수를 달리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Fig.
  • 상수도시설기준에 따르면 도 · 송수관로에서는 제수밸브를 1 ~ 3 k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제수밸브를 1 k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밸브 수를 검토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0). Fig.
  •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만족시키는 조건 하에서 이중 송수관로의 연결관 유무에 따른 용량을 결정하고 통수능력과 경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이중 송수관로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 일부구간을 폐쇄할 경우 발생하는 단수와 수압저하로 인한 통수량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연결관 배치조건을 결정하고자 한다. 또한 연결관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이중송수관로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송수관로에서 사고나 재해, 점검 등에 의한 구간 단수 발생시 수요가로의 원활한 물공급을 위하여 이중송수관로에 연결관을 배치하였으며 최적의 연결관 배치조건을 결정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의 송수관로를 설계하고 연결관의 배치에 따른 물공급 특성을 연구하였다.
  • 단수위치, 연결관 배치간격, 길이, 관경 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구간 단수 시 물 공급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안정성은 통수율(구간 단수 시 유량과 초기설계유량의 백분율) 80 % 이상의 조건과 관내 최대유속 3.0 m/s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 검토하였다. 각 연구에서 영향요소들의 가정조건과 범위를 Table2 에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Table3에서 Case A와 B 모두 50 % 지점에서 단수가 발생하였을 때 10 %와 90 % 지점보다 토출부 수두가 5 %정도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 경우 다른 지점에 비해 통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연결관 설치조건 연구에서는 50 %지점에서 구간 단수가 발생하는 상황으로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정수지와 배수지의 높이를 가정한 뒤 그에 따라 송수관로의 총 길이를 결정하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정수지의 상대적 높이는 정수지의 수위를 포함하여 Case A에서 50 m, Case B에서 45 m로 하였으며, 배수지 저수위 (L.W.L)의 상대적 높이를 0 m로 가정하였다. 여기에 배수지의 유효수심과 송수본관에서의 손실수두를 고려하여 총 길이를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수지의 시설용량을 고려하여, 비상 시 배수지로 공급되어야 하는 송수량을 결정하였다. 상수도시설기준에 명시된 배수지의 수리학적 체류시간(12 ~ 36시간)과 국내 배수지의 평균체류시간(11.8시간)을 고려하여 시간은 12시간으로 하고, 안정성을 위해 운영수심을 50 %로 가정하였다. 배수지에서의 조건이 Fig.
  • 정수지와 배수지의 높이를 가정한 뒤 그에 따라 송수관로의 총 길이를 결정하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정수지의 상대적 높이는 정수지의 수위를 포함하여 Case A에서 50 m, Case B에서 45 m로 하였으며, 배수지 저수위 (L.
  • 연결관 유무에 따라 안정성과 경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서 손실수두, 유량, 유속이 유사하도록 용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초기 유속은 1m/s, C계수는 100으로 가정하였으며, Hazen-Williams 공식을 상용관경에 적용하여 본관의 용량을 결정하고 Table 1에 나타내었다. 연결관이 없는 이중관로에서는 본관 1열이 폐쇄되었을 때 요구되는 용량을 다른 열에서 모두 수용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수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상수관망에서 단수는 원수의 수량 및 수질 상에 문제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관 및 접합부 파열 등의 사고로 발생되거나 관로 갱생 및 교체 등을 포함하는 관로의 유지보수 그리고 화재 시 단시간에 대량의 소화용수 사용으로 인한 수압저하 등에 기인한다. 이처럼 단수는 사전 공지가 가능한 단수와 사고로 인해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비공지 단수로 나눌 수 있다. 2010년의 상수도 통계中 유형별 단수건수를 보면, 전체 27,258건 중 비공지 단수가 14,131건으로 약 5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송수관로가 연결관이 없는 경우 1열 비상시 다른 열을 통해 일 최대급수량의 80 %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2 는 연결관 유무에 따른 이중 송수관로의 배치 형상이다. 연결관이 없는 경우 1열 비상시 다른 열을 통해 일 최대급수량의 80 %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본관 양 열이 일 최대급수량의 80 % 용량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하지만 연결관을 설치하는 경우 양 열의 용량이 일최대급수량의 50 % 일 때, 비상 시 연결관을 이용하여 일 최대급수량의 80 % 이상 공급 가능하다.
송수관로를 이중으로 배치하는 경우 단일관로와 비교하였을 때 어떤 단점이 있는가? 2절에 송수관로의 복선화와 네트워크화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송수관로를 이중으로 배치하는 경우 단일관로와 비교하였을 때 공사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송수관로에서 비상 시 실질적인 물 공급에 대한 대책마련과 함께 안정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EPA(2000) EPANET2 USERS MANUAL 

  2. K-water(2009), Customer-centric may system rebuild a Study. Republic of Korea, 105-141 

  3. Lee,Sangmok(2003)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Water Demand under Low Pressure Conditions. A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4. Mays, L.W.(2003) Water supply systems security. McGRAW-HILL 

  5. Ministry of Environment(2010), waterworks 2010, Republic of Korea, 745-753 

  6. Tethuo Takakuwa (1978) Analysis and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Morikata Publishing Co. JAPAN 

  7. Thomas M. Walski(1984)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8. Water and Wastewater Association(2008), Water Facility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Republic of Korea,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