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동기구축효과에 관한 연구 -수혜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reative Content Policy in Korea -Effect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 2013년, pp.210 - 220  

정윤경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며, 국내 창조산업 종사기업 402개 업체를 대상으로 동기구축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콘텐츠 진흥정책의 수혜자들은 장르별, 매출별로 평균 3.5 이하의 낮은 정책 만족도를 나타냈고, 특히 매출규모가 낮은 업체의 만족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진흥정책이 창조적 자산을 지닌 다양한 집단의 동기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책 수혜 집단이 시장 성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은 진흥정책의 긍정적 성과로 파악된다. 또한 비수혜 집단의 정책 기대치가 높은 점은 국내 진흥 정책의 지속적 확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반면, 수혜 여부에 관계없는 국내 시장에 대한 유사한 문제의식, 저조한 정책 도움 정도 평가 등은 현행 진흥정책의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performances of Korean content policies to subsidize creative content industry. This study conducts survey on 402 creative industry employee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current policy has som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in subjects' percep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진흥정책의 동기구축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지만 다양한 변인의 역동적 관계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외적 투입에 의한 내적 동기 구축을 살펴보는 동기구축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정책 수혜자의 성향이나 행위 등에 대한 정교한 통제가 필요할 것이다.
  • 특히 정책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메우기 위한 목적을 지니며, 특히 정책 수혜자를 대상으로 정책적 성과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창조산업에 대한 진흥정책이 적절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가를 측정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국내 창조산업 종사자의 정책 수혜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성과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지원의 성과는 다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지원 대상인 사업자를 중심으로 지원의 성과를 측정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창조산업 콘텐츠 진흥정책의 성과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지원의 성과는 다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지원 대상인 사업자를 중심으로 지원의 성과를 측정해 보고자 한다. 특히 동기구축효과이론에 근거하여 콘텐츠 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국내 창조산업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점검해 보고자 한다.
  • 지원의 성과는 다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지원 대상인 사업자를 중심으로 지원의 성과를 측정해 보고자 한다. 특히 동기구축효과이론에 근거하여 콘텐츠 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국내 창조산업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점검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조산업의 주요 개념들로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흐름을 타고 국내에서도 ‘창조콘텐츠’, ‘창조 기업’, ‘창조도시’ 등 창조산업의 주요 개념들이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창조산업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문화 정책의 패러다임이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창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창조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중국이 내놓은 정책은? 이러한 창조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대부분의 국가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EU의 창조적 유럽 프로그램[1], 중국의 소프트파워 정책[2], 미국의 창의인재 교육[3]은 창조경제의 정책적 지향점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창조경제 사회에서 높은 가치를 가지는 재화는? 창조경제 사회가 도래하였다. 이 사회의 핵심 자산은 창의성이며, 콘텐츠, 혹은 지적재산권이 그 어떤 재화보다 높은 가치를 지닌다. 창조산업이 만들어낸 생산량과 이를 통해 조성된 일자리, 수출은 한 사회의 부와 권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C,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uncil,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2011(12). 

  2. M. Keane, "Keeping up with the neighbors: China's soft power ambitions," Cinema Journal, Vol.49, No.6, pp.130-135, 2010. 

  3. S. Hope, "Creativity, content, and policy,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Vol.111, pp.39-47, 2010. 

  4. 민용식, 정군오, 임응순, "문화콘텐츠산업의 파급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175-184, 2009. 

  5. D. Throsby, "Modeling the cultural industries," International J. of Cultural Policy, Vol.14, No.3, pp.217-232, 2008. 

  6. J. Howkins,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Penguin Books, 2007. 

  7. R. Levickaite, "Four approaches to the creative economy: general overview," Business, Management, and Education, Vol.9, No.1, pp.81-92, 2011. 

  8. UNCTAD, Creative Economy Report, Geneva: UNCTAD, 2008. 

  9. G. Tremblay, "Creative statistics to support creative economy politics,"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33, No.2, pp.289-298, 2011. 

  10. J. Potts and S. Cunningham, "Four models of the creative industries," International J. of Cultural Policy, Vol.14, No.3, pp.233-247, 2008. 

  11. DCMS,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London:Department of Media Culture and Sports, 1998. 

  12. F. Abadie, M. Friedewald, and M. Weber, "Adaptive foresight in the creative content industries: anticipating value chain transformations and need for policy action,"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37, No.1, pp.19-30, 2010. 

  13. R. Caves,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s and Commerce, Cambridge: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14. R. Prince, "Globalizing the creative industries concept: Traveling policy and transnational policy communities," The J. of Arts Management, Vol.40, pp.119-139, 2010. 

  15. D. Hesmondhalgh and A. Pratt,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11, No.1, pp.1-13, 2005. 

  16. C. Bilton, "Manageable crea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16, No.3, pp.255-269, 2010. 

  17. H. Tsai, H. Lee, and H. Yu, "Developing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in Taiwan," Review of Policy Research, Vol.25, No.2, pp.169-188, 2008. 

  18. E. Poettschacher, "The rise of the Trojan horses in the creative indus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16, No.3, pp.355-366, 2010. 

  19. 김은선, 박동운, 박영서, "디지털 콘텐츠 세부산업의 평가프레임 제안 및 유망성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1호, pp.38-44, 2011. 

  20. R. Towse, "Creativity, copyright and the creative industries paradigm," Kyklos, Vol.63, No.3, pp.461-478, 2010. 

  21. G. Ursell, "Television production: issues of exploitation, commodification and subjectivity in UK television labour markets,"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22, No.6, pp.805-825, 2000. 

  22. B. Frey and R. Jegen, "Motivation Crowding Theory: A Survey of Empirical Evidence," J. of Economic Surveys, Vol.15, No.5, pp.589-611, 2001. 

  23. B. Frey, Arts and Economics. Heidelberg: Springer, 2000. 

  24. E. Deci, R. Koestner, and R. Ryan, "A meta-analytic review of experiments examining th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No.3, pp.627-668, 1999. 

  25.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융합시대 콘텐츠산업 미래정책 연구, 2010. 

  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년 국내 융합형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2010. 

  27. http://www.korchambiz.n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