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 건강 이미지와 착의 실태 차이
Gender Difference of Self-health Image and Actual Wearing Conditions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1, 2013년, pp.64 - 75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권수애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이윤정 (경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  이주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정운선 (안동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on optimum thermal insulation for spring wear through an investigation of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self-health image and actual wearing conditions.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subjec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는 착의량과 생활환경온도의 적합성을 진단하면서 적정한 착의량을 제시하기 위해 기초연구로서의 광범위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루 중 온도의 변화폭이 비교적 큰 봄철에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법을 통해 주관적 온도감각과 자기 건강 이미지 및 착의 실태를 조사하여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봄철 의복의 적정보온력을 제시하고 건강 쾌적착의량을 교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연구들에서는 체지방률을 측정하거나 주관적 온도감각을 답하게 했을뿐, 건강과 관련된 다른 측면에 대한 조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의 착의 실태를 파악하고 신체 특성 변수나 주관적 온도감각 외에도 건강에 대한 자각 정도를 자기 건강 이미지로 측정함으로써 착의 실태와 건강의 상관성에 관한 논의가 보다 폭넓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이상의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의복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측정값은 신뢰할 만하나 피험자 수가 수명 혹은 수십 명으로 제한됨으로써 그 측정값을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수를 대상으로 주관적 응답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봄철 의복의 적정보온력을 결정하고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남녀 대학생의 주관적 온도감각과 자기 건강 이미지 및 착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기온차가 크지 않도록 통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 연구문제 1: 성별에 따른 신체 특성과 주관적 온도감각의 차이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성별에 따른 착의 실태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환경 온도가 인간의 쾌적수준에 근접하게 되면서 새로운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최근 산업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실내를 냉난방하는 것이 용이해짐에 따라 여름과 겨울의 생활환경온도가 인간의 쾌적수준에 근접하게 되었고, 이로써 건강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과 환경공해 측면에서도 새로운 사회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ASHRAE, 1992). 쾌적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커질수록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고 이는 곧 환경공해의 유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제적인 면과 인체의 생리기능을 증진하는 관점 모두에서 성, 연령, 작업환경, 작업내용, 개인차 등을 고려한 적정착의량과 온열환경의 설정과 제시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20 성대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월별 착의량 연구에서 가장 많은 달과 가장 적은 달은 언제로 나타났는가? 우리나라 2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월별·계절별 착의량 연구(Hwang et al., 1999)에서 총 착의량은 남녀 모두 1월에 가장 많고 남자는 8월에, 여자는 7월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과 봄에는 착의량의 개인차가 뚜렷하지만 여름과 가을에는 개인차가 적었으며, 속옷 하의의 착의량은 연간 변동폭이 가장 작고 겉옷 상의착의량은 변동이 가장 많은 항목이었다.
의복에 대한 인간의 의존도가 클수록 체온조절기능이 퇴화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의복에 대한 인간의 의존도가 클수록 기후에 대한 인체의 적응능력은 그 폭이 좁아지며 체온조절기능도 퇴화될 수 있다. 인간은 외기온에 대한 생리적 적응능력을 증진시킨다는 관점보다는 심리적 열쾌적성의 관점에 맞추어 생활환경온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인간의 의복 의존도가 클 경우에는 점차 실내온도의 계절변화 범위가 좁아지게 되면서 이로 인해 인체의 기후적응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Hsyoung(1976),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P. J. (1991). Effects of thermal environment, health condition & exercise habit on clothing weigh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 Ahn, P. J., & Choi, J. W. (1992). A study on relation to the climatic adaptation and clothing weight: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6(4), 417?430. 

  3. ASHRAE. (1981). ASHRAE Standard 55-8: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uman accupancy. Atlanta: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4. ASHRAE. (1992). ASHRAE hand book: Fundamental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uman accupancy. Atlanta.: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5. Cho, H. K., Kim, H. S., & Kim, E. A. (1995). A study on the Korean middle school girl students' clothing weight and comfort sensa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1), 203?210. 

  6. Choi, H. S. (1987). A field survey on the standard establishment of thermal indoor climate-With the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al factors, and clothing to the thermal sens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ing, 16(6), 590?605. 

  7. Choi, J. W., & Lee, H.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of single garments and thermal insulation with a thermal manik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2), 173?186. 

  8. Choi, Y. H. (1994). Effect of clothing habit on thermoregulation of body: A comparative study of skirt and slack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Hsyoung, C. C. (1976). Studies on human adaptability to climatic conditions. Report 4. Seasonal variations in basal metabolic rate on civilian Japanese and Caucasians in Japan. Japanese Journal of Hygiene, 31(3), 404?416. 

  10. Hwang, S. K., Seung, W. K., & Choi, J. W. (1999). The clothing weight of Korean adults by month and sea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4), 517?528. 

  11. ISO9920. (2007).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Estimation of thermal insulation and water vapour resistance of a clothing ensemble-. Genev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2. Jeong, W. S. (2001). Gender difference of clothing selection behavior for thermal comf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8(2), 189?193. 

  13. Jeong, W. S., Lee, H. S., & Park, E. I. (2003). Preferred clothing and preferred temperature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weight children.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03 Annual Conference, Korea, 111?113. 

  14. Jeong, Y. O. (1991). Seasonal adaptation of rural residents with focus on clothing wei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4), 417?430. 

  15. Kim, A. R., & Jeong, W. S. (2000). Clothing weight study for the obes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2), 192?198. 

  16. Kim, S. Y. (1984). A study on the optimal clothing weight in an air conditioned office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2(4), 197?198. 

  17. Kim, S. Y., Shon, J. Y., & Baik, Y. K. (1992). A survey on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rmal sensation for human body by change of wearing clothes.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ing 1992 Annual Conference, Korea, 92?95. 

  18. Kim, Y. W. (1997). The effects of subcutaneous fat on the system of clothing weigh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4), 139?147. 

  19. Kim, Y. W., & Yim, J. Y. (2009). A study on clothing weight and Cornell Medical Index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1087?1092. 

  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Weather information. KMA. Retrieved August 1, 2012, from http://www.kma.go.kr 

  21. Kweon, S. A., Ko, T. Y., Kim, D. H., Park, S. J., Lee, S. J., & Lee, J. M. (2009). A study on the clothing practice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spring season. Journal of Human Ecology, 13(1), 261?273. 

  22. Kwon, J., & Choi, J.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clothing insulation across a year.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6(5), 887?893. doi:10.1007/s00484-011-0493-7 

  23. Lee, J. M. (1996). The effect of clothing habits on cold tolerance and motor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Lee, W. J. (199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of clothing weight: Actual survey of women students in Seoul and New York. Journal of Human Environment and Art, 17, 87?100. 

  25. Lee, W. J. (1988).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lothing- weight and health state on kindergartn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6(1), 33?42. 

  26. Lee, W. J., Shim, K. N., Kim, J. S., & Park, S. S. (2000). Influence of seasonal variation on basal metabolic rates on thermal environments & clothing weigh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3), 374?386. 

  27. Lee, Y. J. (2011). Clothing behaviou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ummer living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 over clothe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215?238. 

  28. Oh, S., & Lee, W. J. (1999). An analysis on the clothing practices between Seoul and Yanbian-Focusing on the clothing wei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7), 1019?1029. 

  29. Park, S. S. (1998). Effect on the subcutaneous fat thickness of the clothing training in the cold condi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30. Ryoo, S. H. (198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othing weights and the selected variables-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1. Shim, H. S., & Jeong, W. S. (2011). Suggested and preferred amount of clothing in a winter indoor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2), 1418?14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