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리테일링 점포유형별 쇼핑유인력(FaRSTA)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다속성 간접평가법 활용-
Development of Fashion Retailing Store Type Attractiveness (FaRSTA) -Indirect Estimates Approach with Multiple Scale Item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1, 2013년, pp.76 - 89  

박진제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이진화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loration of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components of attractiveness is im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uses an indirect estimates approach with multiple scale items that can measure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components of attractiveness to solve the problem of direct estima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러 의류구매 선택행위 중 점포선택으로 논의를 좁힌 후 다속성 간접평가에 의한 의류판매점 점포선택현상을 탐구하고, 나아가 다속성 평가기준의 합(전체, Gestalt)이 고객에게 어떤 의미인가라는 본질적인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망라한 패션리테일링 점포유형별 쇼핑유인력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모델은 특정 점포유형 내 개별점포 간 경쟁도 살필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다.
  • 그리고 기존연구에서는 점포유형 내 경쟁모델 만을 연구주제로 하였는 바, 점포유형 내 경쟁모델뿐만 아니라 백화점, 가두 브랜드점, 할인점, 아웃렛, 인터넷 쇼핑몰 등 비즈니스모델이 다른 패션리테일링 점포(interstore type) 간의 경쟁 및 선택행위에 대한 점포유형간 경쟁모델(inter-store type competition)을 연구주제로 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분리되어 연구된 한계점을 극복해보고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측정방법으로는 AHP 분석방법이라는 다속성간접 평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모델을 통하여 특정 점포유형 내 개별점포 간 경쟁도 살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본 연구는 AHP의 다속성 간접평가방법을 통하여 평가영역 및 개별평가영역별 다속성 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시켜 주었고, 연구대상으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망라한 5가지 점포유형별 의류판매점(백화점, 가두 브랜드점, 할인점, 아웃렛, 인터넷 쇼핑몰)으로 하여 기존 Cho(2007b)보다 폭 넓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점포를 포괄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최종적인 산출물로는 패션리테일링 점포유형별 쇼핑유인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백화점은 서비스품질이 가장 매력적으로 고객을 끌어당기는 힘으로 작동되며, 가두 브랜드점은 백화점에 비해 이미지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할인점에서는 프로모션요인이 가장 매력적인요인이며, 인터넷 쇼핑몰은 제품요인과 프로모션요인이 가장 중요한 유인력이었다.
  • 본 연구는 기존 의류학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공백으로 남아있던 점포선택행위 다속성 간접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점포유형 내(intra-store type)와 점포유형 간(inter-store type) 선택모형을 제공하고, 실무적으로 점포유형별로 선택을 촉진하기 위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술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의류선택에는 다양한 선택행위가 발생하므로 기존 의류학의 선택행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선택행위주제별로 매우 다른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선택행위기준에 대한 측정 상의 문제를 제기하며 출발하고자 한다. 기존 선택연구의 대부분은 선택의 기준 또는 속성을 분석적으로 하나 하나 열거하고 그것이 선택에 미치는 중요성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주력하고 있다.
  • 의류학 연구 중 다속성 간접평가에 대한 연구는 Cho(2007b)의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한 의류점포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를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공백으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여러 의류구매 선택행위 중 점포선택으로 논의를 좁힌 후 다속성 간접평가에 의한 의류판매점 점포선택현상을 탐구하고, 나아가 다속성 평가기준의 합(전체, Gestalt)이 고객에게 어떤 의미인가라는 본질적인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망라한 패션리테일링 점포유형별 쇼핑유인력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렇게 다섯 개 접근법을 성격적으로 구분해 보면, 점포의 물리적 특성, 점포 내 제품특성, 점포 내 프로모션 자극요인, 점포의 감성적인 이미지, 인적요인이 포함된 점포 내 서비스품질로 대별할 수 있다. 이 다섯 가지를 모두 합치면 고객이 무엇이라고 해석할까? 본 연구자는 이를 패션점포 쇼핑유인력(fashion store shopping attractiveness) 구성요인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 둘째, 평가요소의 도출을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연구의 검토하여 측정항목을 도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측정항목들을 적용하지 못해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되어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영역과 평가요소의 측정항목을 보다 객관적이고 정교화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패션리테일링 점포유형별 쇼핑유인력 모델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모델의 유용성을 위해서는 다시 단일속성별, 점포유형별 응답치에 대한 검증이 있어야 할 것이다.
  • 둘째 평가영역 및 개별평가영역별 다속성 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시키기 위해 다속성 간접평가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셋째, 이를 통해 최종적인 산출물로는 패션리테일링 점포유형별 쇼핑유인력(Fashion RetailingStore Type Attractiveness: FaRSTA)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리고 기존 연구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단일속성 직접평가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단일속성 직접평가의 연구방법으로 인하여유인력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효과 탐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보고자 연구방법에 있어서 유인력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효과의 탐구가 가능한 다속성 간접평가방법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에서는 점포유형 내 경쟁모델 만을 연구주제로 하였는 바, 점포유형 내 경쟁모델뿐만 아니라 백화점, 가두 브랜드점, 할인점, 아웃렛, 인터넷 쇼핑몰 등 비즈니스모델이 다른 패션리테일링 점포(interstore type) 간의 경쟁 및 선택행위에 대한 점포유형간 경쟁모델(inter-store type competition)을 연구주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예를 들어 직장선택의 경우 월급과 직장위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장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속성간접평가(indirect estimates or policy capturing, trade-off method)는 특정 기준과 다른 기준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직장선택의 경우 월급과 직장위치는 상호작용하여 직장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속성간접평가에 대하여 어떻게 예시를 들 수 있는가? 반면에 다속성간접평가(indirect estimates or policy capturing, trade-off method)는 특정 기준과 다른 기준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직장선택의 경우 월급과 직장위치는 상호작용하여 직장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월급과 직장위치를 동시에 제공하고 이들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해야 한다는 접근법이 다속성 간접평가법이다(Brookhouse et al.,1986).
점포의 물리적 변수로 무엇이 있는가? 점포가 갖는 주차장의 크기나 매장의 크기, 고객과 매장 간의 거리 등의 물리적 변수가 매장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Huff(1964)는 연구는 지금도 경영학에서 유의하며 이후로 점포의 물리적 특성(Taneja, 2007), 교통의 편리성(Horn & Gurel, 1981; Shin & Kim, 2000), 점포까지의 거리, 주차시설(Lee, 1990), 점포의 위치(Lee, 2008)시설서비스(Kang & Park, 2009) 등을 강조하며 추가적인 물리적 특성변수가 점포선택기준으로 제시되었다.
프로모션반응함수란 무엇인가? 프로모션반응함수(promotion response function)란 기업이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각종 프로모션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판매량의 변화 또는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추적하는 함수이다(Lilien & Kotler, 2010). 프로모션이 점포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는 드물고 프로모션방법이 판매량이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프로모션방법은 가격할인과 판매량(Oh & Hwang, 2007), 광고변수를 채택한 의류반응함수(Kim & Lee, 2007; Kim, 1999; Sheth, 1983)와 잡지 관련 연구(Kim & Lee, 2007; Kwak & Lee, 2002b), 판매촉진변수를 채택한 의류반응함수(Kim, 2011; Lee& Choi, 2011)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rookhouse, K. J., Guion, R. M., & Doherty, M. E. (1986). Social desirability bias as one source of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weights and regression weight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37(3), 316?328. 

  2. Brown, F. E., & Fisk, G. (1965).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house: Who dies next. Journal of Retailing, 4(3), 79?91. 

  3. Cha, I. S., Ahn, S. H., & Lee, K. H. (1999).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store choice criteria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2), 284?295. 

  4. Cho, Y. J. (2007a). An analysis on priority of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using AH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1), 81?88. 

  5. Cho, Y. J. (2007b). A study on priority evaluation in clothes stores' selection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615?623. 

  6. Chun, T. Y. (2009). The effect of store characteristics of outlet on consumption emo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3), 417?426. 

  7. Chung, S. K., & Kim, Y. S. (2003). A study on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of credit card apparel shop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3 (2), 1?16. 

  8. Hong, B. S., Lee, E. J., & Ma, H. Y. (2009). The effect of merchandis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on the shopping values,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femal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828? 1838. 

  9. Hong, B. S., Lee, E. J., & Yun, Y. J. (2010). The effect of relationship marketing implement factors of masstige fashion brand on the trus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63?672. 

  10. Hong, H. S. (1996). Interactive effects of situa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risk,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store-type cho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5), 877?892. 

  11.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2. Huff, D. L. (1964). Defining and estimating a trading area. Journal of Marketing, 28(3), 34?38. 

  13. Kang, E. M., & Park, E. J. (2009). Effects of cognitive age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across the elderly's lifestyle types in apparel 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3), 355?365. 

  14. Kim, G. A., & Lee, J. H. (2007). PPL effect of clothing sponsorship in TV drama-Focused on adolescent femal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2), 221?228. 

  15. Kim, J. W. (1999).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S. H. (2001).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apparel store types-Focusing on product quality and service qual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1(1), 61?74. 

  17. Kim, S. H. (2011). Content categories of special selling events and unplanned purchase stimulations in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37?50. 

  18. Kim, S. H., Kim, G. Y., & Lee, S. J. (1999). The dimensions of apparel store servic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3), 435?446. 

  19. Kim, S. S. (2004). The visu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store and the store types preferred by consumer traits-Based on the consumer segmentation by store choice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112?1120. 

  20. Koh, A. R., & Jin, B. H. (1995).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s,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for outlet store patronag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1), 104?114. 

  21. Kwak, Y. S., & Lee, J. H. (2002a). Effect of the depth of fashion product line on sa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0), 113?121. 

  22. Kwak, Y. S., & Lee, J. H. (2002b). Market segmentation with price-dependent quality evaluation in Denim Jeans Market: Based on conjoint analysis and mixtur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1), 1605?1614. 

  23. Lee, D. I., & Choi, S. H. (2011). The impact of product display on consumers' evaluation of usefulness of product information in mobile shopping.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29(5), 173?182. 

  24. Lee, J. E. (1990). A study on store image preferences which is followed by clothing buying motives: As object of middle age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Lee, J. H. (2006). Market segmentation and purchase behavior for consumers purchasing Korean cultural fashion items -Focused on inbound Japanese tour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8(4), 427?432. 

  26. Lee, J. H., & Im, J. E. (2008). The effect of perceived justice on postcomplaint behavior in the internet open market-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427?1437. 

  27. Lee, J. R. (2008). A effect of store characteristics of large discount store on behavioral intentions of customer-The mediating role of customer's emo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Journal of Korean Distribution and Management, 11(1), 121?149. 

  28. Lilien, G., & Kotler, P. (2010). Marketing models. New York: Phi Learning. 

  29. Madden, J. M. (1981). Using policy-capturing to measure attitudes in organizational diagnosis. Personnel Psychology, 34(2), 341?350. 

  30. McCarthy, E. J. (1964). Basic marketing. Homewood, IL: R. D. Irwin. 

  31. Morganosky, M. A. (1995). Consumer patronage of manufacturer's outlet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3 (4), 273?279. 

  32. Oh, H. S., Kim, E. Y., & Lee, H. J. (2008).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VM factors, and store loyalty by consumers' Gsensibility types for apparel store cho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0(6), 864?872. 

  33. Oh, S. M., & Hwang, S. J. (2007). The Influence of consumer's brand loyalty, competitor's brand price, and discount on brand switching for appare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40?450. 

  34. Peter, J. P., & Olson, J. C. (1996).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4th ed.). Chicago: Irwin. 

  35. Ryou, E. J. (2002). The determinant factors on the service quality and buying intention of internet apparel shopping mal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3), 261?269. 

  36. Schmitt, A., & Simonson, A. (1997). Marketing aesthetics. New York: Free Press. 

  37. Sheth, J. N. (1983). Integrative theory of patronage and behavior, in patronage behavior and retail management. New York: North-Holland. 

  38. Shin, S. Y., & Kim, Y. D. (2000).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self-image, and the store attributes of the men in twenties and thir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2), 305?314. 

  39. Sung, H. W. (2009). Male market segment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retail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and store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3), 390?398. 

  40. Taneja, K. (2007). Mall mania in india: Changing consumer shopping habi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ttingham, Nottingham. 

  41. Yoo, P. H., Kim, Y. J., & Han, S. M. (2009). Modern marketing. Seoul: Pakyoungsa. 

  42. Zedeck, S. (1977).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approach to the study of motiv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8(1), 47?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