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국산화 자체개발 내용 중 구조설계 및 해석결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상세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 정밀도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유한요소 기법을 이용하여 전산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활용 목적에 맞추어 하역대상 케이블을 선박에서 케이블 탱크로 하역시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 부품을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원가절감을 달성하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장비 자체의 자중 및 하역 케이블 하중조건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유압시스템의 과작동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케이블 가이드의 운동 및 설치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전복 안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치장소의 풍하중 효과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수입품 코일링 암의 작동방식 개선과 독자적인 구조설계 및 해석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실제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된 제품의 현장설치 완료 및 하역작업의 효율적이고 정상적인 운영을 완료 및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국산화 자체개발 내용 중 구조설계 및 해석결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상세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 정밀도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유한요소 기법을 이용하여 전산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활용 목적에 맞추어 하역대상 케이블을 선박에서 케이블 탱크로 하역시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 부품을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원가절감을 달성하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장비 자체의 자중 및 하역 케이블 하중조건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유압시스템의 과작동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케이블 가이드의 운동 및 설치 지면의 경사도에 따른 전복 안전성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치장소의 풍하중 효과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수입품 코일링 암의 작동방식 개선과 독자적인 구조설계 및 해석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실제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된 제품의 현장설치 완료 및 하역작업의 효율적이고 정상적인 운영을 완료 및 검증하였다.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a coiling arm unloading machine for submarine cable have been originally conducted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CAD modeling process is practically applied for the structural design in detail. Finite element method(FEM) and multi-body dynamics(MBD) analyses are ...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a coiling arm unloading machine for submarine cable have been originally conducted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CAD modeling process is practically applied for the structural design in detail. Finite element method(FEM) and multi-body dynamics(MBD) analyses are also used to verify the safety and required motions of the designed coiling arm structure. The effective moving functions of the designed coiling arm with respect to rotational and radial motions are achieved by adopting bearing-roller mechanical parts and hydraulic system. Critical design loading conditions due to its self weight, carrying cables, offshore wind, and hydraulic system over operation conditions are considered for the present structural analyses. In addition, possible inclined ground condition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esigned coiling arm are also considered to verify overturn stability. The present hydraulic type coiling arm system is originally designed and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coiling arm has been installed at a harbor, successfully tested its operational functions, and finished practical unloading mission of the submarine cable.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a coiling arm unloading machine for submarine cable have been originally conducted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CAD modeling process is practically applied for the structural design in detail. Finite element method(FEM) and multi-body dynamics(MBD) analyses are also used to verify the safety and required motions of the designed coiling arm structure. The effective moving functions of the designed coiling arm with respect to rotational and radial motions are achieved by adopting bearing-roller mechanical parts and hydraulic system. Critical design loading conditions due to its self weight, carrying cables, offshore wind, and hydraulic system over operation conditions are considered for the present structural analyses. In addition, possible inclined ground condition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esigned coiling arm are also considered to verify overturn stability. The present hydraulic type coiling arm system is originally designed and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coiling arm has been installed at a harbor, successfully tested its operational functions, and finished practical unloading mission of the submarine cabl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과정에서 고중량의 해저케이블을 부두에 정리하여 하역할 수 있는 특수한 하역장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아직 국산화 개발된 사례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6kW급 수직축 풍력발전기의 개발(Kim et al., 2011)로 축적된 구조설계, 해석 및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해저케이블 하역용 유압식 코일링 암을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하였다.
기존에 수입에서 사용하던 구식 코일링 암 모델의 경우 수동식 기어 박스 및 케이블 연결로 반경방향 암 작동을 하는 방식이 있으나, 작업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불편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한 유압식 독자모델 설계 및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암의 경우는 항구에 설치된 여러 개의 케이블 탱크가 채워지면 다른 탱크로 이동시켜 하역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분해조립이 용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AD 설계 및 유한요소 구조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자체기술로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 암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저단가 설계 및 현장에서 용이한 운반/조립/분해/재설치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각 구조는 최소 구조설계 마진의 경량화 제작과 모듈식 구조로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케이블 가이드의 반경방향 운동과 암의 원활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가설 설정
고중량의 해저케이블이 올려진 상태에서 원활한 반경방향 작동을 위해 유압작동기는 충분한 용량으로 선정 및 장착되었으며,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 방향 최대 작동력은 약 47kN이다. 실제 운용조건에서는 거의 발생할 수 없지만 유압작동기 지지구조에 유발되는 가장 큰 하중조건으로 Fig. 12의 조건에서 케이블 가이드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이 경우에는 유압작동기의 모든 작동하중을 작동기 힌지 및 Fig.
제안 방법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암의 경우는 항구에 설치된 여러 개의 케이블 탱크가 채워지면 다른 탱크로 이동시켜 하역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분해조립이 용이해야 한다. 또한 장비 개발비용 절감과 현장 분해조립 신뢰도를 위해 최소한의 자동화만 필요하기 때문에 요(yaw)방향 회전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2중 베어링을 활용하여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면서도 단순한 수동회전 개념으로 설계하였고, 코일링암 끝단 길이의 충분한 모멘트 반경으로 성인 1명이 용이하게 상부 구조를 와이어로 견인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베어링이 장착되었다. 모든 부품은 3차원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밀 구조설계 및 조립 검증이 수행되었으며, 유한요소 구조해석 및 비선형 다물체동역학 해석으로 구조강도, 전복 안정성 및 작동성을 사전에 검증하였다.
또한 장비 개발비용 절감과 현장 분해조립 신뢰도를 위해 최소한의 자동화만 필요하기 때문에 요(yaw)방향 회전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2중 베어링을 활용하여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면서도 단순한 수동회전 개념으로 설계하였고, 코일링암 끝단 길이의 충분한 모멘트 반경으로 성인 1명이 용이하게 상부 구조를 와이어로 견인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베어링이 장착되었다. 모든 부품은 3차원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밀 구조설계 및 조립 검증이 수행되었으며, 유한요소 구조해석 및 비선형 다물체동역학 해석으로 구조강도, 전복 안정성 및 작동성을 사전에 검증하였다. 구조해석에서는 자체 자중, 운송 케이블 부가하중, 풍하중 및 유압 작동기 하중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설치 예상 지역의 지면경사 효과를 고려한 작동 중 전복 안전성 검토가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코일링 암은 높이 8m, 암 둘레 9m의 모델로 CATIA 프로그램을 3차원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Fig.
5~6에서 보이는 것처럼 크게 타워, 메인 암, 케이블 가이드, 하부 지지구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이 약 6m 지점에 메인 암이 위치해 있다. 하부지지대의 하단부에는 타워를 지지하는 축방향(thrust) 베어링과 깊은 홈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타워와 메인 암이 사람의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설계하였고(감속기 및 모터를 이용한 회전 자동화 설계는 엄격한 제작단가 제한과 현장에서 분해조립 및 이동 설치의 편이성과 신뢰성 요구로 배제), 하부지지대의 상단부에는 롤러를 장착하여 수평하중을 지지하게 하였다. 또한, Fig.
하부지지대의 하단부에는 타워를 지지하는 축방향(thrust) 베어링과 깊은 홈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타워와 메인 암이 사람의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설계하였고(감속기 및 모터를 이용한 회전 자동화 설계는 엄격한 제작단가 제한과 현장에서 분해조립 및 이동 설치의 편이성과 신뢰성 요구로 배제), 하부지지대의 상단부에는 롤러를 장착하여 수평하중을 지지하게 하였다. 또한, Fig. 7과 같이 작동 압력 6.86MPa, 직경 100mm, 스트로크 410mm의 유압실린더를 하부지지대의 상단부와 케이블 가이드 지지대와 연결하여 유압작동기의 동작으로 고중량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가이드 구조를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유압실린더가 작동하면 케이블 가이드의 앞부분에 달린 롤러가 메인 암의 위를 굴러가면서 상부 암구조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설계된 코일링 암 구조의 유한요소모델은 유압실린더를 최대로 밀었을 때와 최소로 당겼을 때의 2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모델링하였는데, 하단부의 사각 하부지지대는 1차원 보(beam)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 타워와 메인 암, 케이블 가이드 등은 구조 두께를 고려한 4절점 쉘(shell) 요소를 사용하였다. 또한, 무게가 집중되는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의 경우 3차원 솔리드(solid) 요소로 모델링하였다.
설계된 코일링 암 구조의 유한요소모델은 유압실린더를 최대로 밀었을 때와 최소로 당겼을 때의 2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모델링하였는데, 하단부의 사각 하부지지대는 1차원 보(beam)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 타워와 메인 암, 케이블 가이드 등은 구조 두께를 고려한 4절점 쉘(shell) 요소를 사용하였다. 또한, 무게가 집중되는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의 경우 3차원 솔리드(solid) 요소로 모델링하였다. 유한요소모델링에 사용된 총 질점(node) 수는 62,076개이며, 총 요소(element) 수는 63,486개이다.
9에서는 유압실린더를 밀었을 때의 유한요소 구조해석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구조해석 경계조건은 타워 하단부와 하부지지대 사이에 접착(glue) 조건을 부여하였으며, 타워 상단부와 메인 암 부분은 볼트(bolt) 체결구조로써 체결부만 선택하여 두 물체를 서로 구속하는(fixed) 조건을 부여하였다. 하부지지대 하단부 네 끝단에는 6자유도를 구속하는(clamp) 조건을 부가하였다.
하부지지대 하단부 네 끝단에는 6자유도를 구속하는(clamp) 조건을 부가하였다. 그리고 케이블 가이드에 걸쳐있는 해저 케이블 무게로 1m당 33kg을 적용하고 케이블 가이드 길이 6m, 지면에서의 메인 암까지의 높이 6m를 고려하여 총 4kN의 합력(resultant force)를 케이블 가이드에 부가하였다. 또한 중력에 의한 구조물의 자중 효과를 하중으로 고려하기 위해 구조물 전체에 9.
그리고 케이블 가이드에 걸쳐있는 해저 케이블 무게로 1m당 33kg을 적용하고 케이블 가이드 길이 6m, 지면에서의 메인 암까지의 높이 6m를 고려하여 총 4kN의 합력(resultant force)를 케이블 가이드에 부가하였다. 또한 중력에 의한 구조물의 자중 효과를 하중으로 고려하기 위해 구조물 전체에 9.81m/s2의 중력 가속도를 부가하였다.
16~17은 자체 개발한 코일링 암을 항만에 설치 및 운전하기 전에 조립 및 시험 운전하는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링 암은 현장으로의 운반과 분해 조립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에 대한 조립/분해 작업을 수차례 수행하고 유압작동기를 통한 케이블 가이드 구조의 반경방향 운전과 시계 및 반시계 방향 요회전 운동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코일링 암은 현장에서 케이블 적층 방향이 일단 정해지면 모든 길이의 해저케이블을 계속한 방향으로 감아야 하기 때문에 유압작동기 모터로 연결된 전력 공급선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코일링 암은 현장에서 케이블 적층 방향이 일단 정해지면 모든 길이의 해저케이블을 계속한 방향으로 감아야 하기 때문에 유압작동기 모터로 연결된 전력 공급선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일링 암 중앙 회전부 원통형 구조 내구에 2개의 슬립 링(slip ring)을 장착하여 케이블 꼬임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페인팅은 안전운전 장비용 오렌지 색상에 해상 운전 조건에 준하는 선박용 방호 페인트를 하도 및 상도로 구분하여 도색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일링 암 중앙 회전부 원통형 구조 내구에 2개의 슬립 링(slip ring)을 장착하여 케이블 꼬임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외부 페인팅은 안전운전 장비용 오렌지 색상에 해상 운전 조건에 준하는 선박용 방호 페인트를 하도 및 상도로 구분하여 도색하였다. 암 구조의 반대편에 장착된 평형무게(balacing weight)는 10mm 철판을 레이져 가공하여 설정된 무게만큼 다수로 적층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무게를 증감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외부 페인팅은 안전운전 장비용 오렌지 색상에 해상 운전 조건에 준하는 선박용 방호 페인트를 하도 및 상도로 구분하여 도색하였다. 암 구조의 반대편에 장착된 평형무게(balacing weight)는 10mm 철판을 레이져 가공하여 설정된 무게만큼 다수로 적층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무게를 증감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또한 Fig.
18). 현장 설치전 예비 평가에서는 암의 반경방향 유압작동기 작동성과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요(yaw) 회전시켜가면서 슬립링의 작동으로 케이블 꼬임현상이 없는지 검사하였으며, 반대 방향으로의 평가를 번갈아 가면서 수차례 수행하였다. 본 장비의 개발 과정에서 구조설계 및 해석은 경상대학교가 수행하였으며, 부품가공, 제작 및 시험평가는 씨에이코리아(주)에서 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된 코일링 암 장비는 진도-제주간 해저 케이블 공사를 지원하기 위해 목포신항만에서 설치 및 운전되었으며, (주)오이에스파이스트 및 LS전선에서 본 장비를 활용하여 해저케이블 항만 하역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가 있다. 본 장비의 개발에는 3차원 CAD 설계 및 CAE 구조해석 기술이 활용되었으며, 저단가 및 용이한 현장 조립/분해/설치 설계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가능한 최소한의 구조설계 마진을 가지도록 설계 및 제작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비는 유사한 규격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하역작업에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AD 설계 및 유한요소 구조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자체기술로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 암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저단가 설계 및 현장에서 용이한 운반/조립/분해/재설치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각 구조는 최소 구조설계 마진의 경량화 제작과 모듈식 구조로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케이블 가이드의 반경방향 운동과 암의 원활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실제 해저케이블의 하역작업에 투입되어 성공적으로 케이블 하역작업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저단가 설계 및 현장에서 용이한 운반/조립/분해/재설치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각 구조는 최소 구조설계 마진의 경량화 제작과 모듈식 구조로 설계 및 제작되었으며, 케이블 가이드의 반경방향 운동과 암의 원활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실제 해저케이블의 하역작업에 투입되어 성공적으로 케이블 하역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비는 해상풍력용 해저 전력케이블 및 기타 대형 해저케이블의 작업에도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의 전체 무게는 전복방지 무게 평형 유지를 위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포함하여 4.5ton정도이고, 재질은 구조용 강재로 고려하여 탄성계수 E, 밀도 ρ 그리고 포와송비 ν는 각각 210GPa, 7,850kg/m3, 0.3을 적용하였다.
모든 부품은 3차원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밀 구조설계 및 조립 검증이 수행되었으며, 유한요소 구조해석 및 비선형 다물체동역학 해석으로 구조강도, 전복 안정성 및 작동성을 사전에 검증하였다. 구조해석에서는 자체 자중, 운송 케이블 부가하중, 풍하중 및 유압 작동기 하중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설치 예상 지역의 지면경사 효과를 고려한 작동 중 전복 안전성 검토가 수행되었다.
대상 데이터
12~13은 최소 반경반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이다. 제작한 코일링 암은 최소 400MPa의 허용응력을 갖는 구조용 강재로 제작되었으며, 해저케이블 가이드는 무거운 케이블을 지상에 감아서 적층 야적시 반경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Fig.
현장 설치전 예비 평가에서는 암의 반경방향 유압작동기 작동성과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요(yaw) 회전시켜가면서 슬립링의 작동으로 케이블 꼬임현상이 없는지 검사하였으며, 반대 방향으로의 평가를 번갈아 가면서 수차례 수행하였다. 본 장비의 개발 과정에서 구조설계 및 해석은 경상대학교가 수행하였으며, 부품가공, 제작 및 시험평가는 씨에이코리아(주)에서 주로 수행하였다.
18~19 실제 해저케이블 하역을 위한 항구로 개발된 코일링 암을 분해 이송하여 설치 및 운전 중인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된 코일링 암 장비는 진도-제주간 해저 케이블 공사를 지원하기 위해 목포신항만에서 설치 및 운전되었으며, (주)오이에스파이스트 및 LS전선에서 본 장비를 활용하여 해저케이블 항만 하역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가 있다. 본 장비의 개발에는 3차원 CAD 설계 및 CAE 구조해석 기술이 활용되었으며, 저단가 및 용이한 현장 조립/분해/설치 설계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가능한 최소한의 구조설계 마진을 가지도록 설계 및 제작 되었다.
성능/효과
14는 유압장치가 케이블 가이드 지지대에 가할 수 있는 최대 작동조건을 고려한 것이다. 고중량의 해저케이블이 올려진 상태에서 원활한 반경방향 작동을 위해 유압작동기는 충분한 용량으로 선정 및 장착되었으며,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 방향 최대 작동력은 약 47kN이다. 실제 운용조건에서는 거의 발생할 수 없지만 유압작동기 지지구조에 유발되는 가장 큰 하중조건으로 Fig.
8의 유한요소 모델을 사용하여 케이블 하중과 자중을 고려한 4가지 경우(case)에 대한 하단부 지지구조의 최소 반력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지부의 반력이 -로 나타나면 전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데, 본 해석에서는 4가지 경우(case) 모두 최소 반력이 모두 +로 나타나고 있어 전복될 가능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일반적으로 코일링 암은 한 대의 장비로 현장에 설치된 여러 개의 케이블 탱크에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하단 지지부를 지면에 앙카(anchor)로 고정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복(overturn) 발생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Fig.
본 장비의 개발에는 3차원 CAD 설계 및 CAE 구조해석 기술이 활용되었으며, 저단가 및 용이한 현장 조립/분해/설치 설계 요구조건에 부합되도록 가능한 최소한의 구조설계 마진을 가지도록 설계 및 제작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비는 유사한 규격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하역작업에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로 축적된 관련 기술은 향후 다양한 종류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하역장비의 독자개발 과정에 유용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비는 유사한 규격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하역작업에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로 축적된 관련 기술은 향후 다양한 종류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하역장비의 독자개발 과정에 유용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제 해저케이블의 하역작업에 투입되어 성공적으로 케이블 하역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비는 해상풍력용 해저 전력케이블 및 기타 대형 해저케이블의 작업에도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로 축적된 관련 기술은 향후 다양한 종류의 해저케이블 하역장비의 국내 독자개발 과정에 유용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비는 해상풍력용 해저 전력케이블 및 기타 대형 해저케이블의 작업에도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로 축적된 관련 기술은 향후 다양한 종류의 해저케이블 하역장비의 국내 독자개발 과정에 유용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저케이블이 해상풍력 단지 및 도서지역에서 중요한 이유는?
최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접적인 전력공급이 어려운 도서 및 산간지방의 전력공급 및 해상풍력 단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전력망 구축기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 단지 및 도서지역은 육상 송전선을 이용한 전력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저케이블이 중요한 해결책으로 각광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제주도와 전라남도 해남을 연결하는 해저케이블이 완공되어 있으며, 진도-제주간 해저케이블 신규 설치공사의 예(An et al.
코일링 암의 상세 구조설계를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국산화 자체개발 내용 중 구조설계 및 해석결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상세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 정밀도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유한요소 기법을 이용하여 전산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활용 목적에 맞추어 하역대상 케이블을 선박에서 케이블 탱크로 하역시 효과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 부품을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원가절감을 달성하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전력망 구축기술이 크게 대두된 이유는?
최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접적인 전력공급이 어려운 도서 및 산간지방의 전력공급 및 해상풍력 단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전력망 구축기술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 단지 및 도서지역은 육상 송전선을 이용한 전력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저케이블이 중요한 해결책으로 각광 받고 있다.
참고문헌 (2)
Ahn, S.H., Kim, D.S., (2009) Submarine Cable Installation and Protection Methods according as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5(1), pp.25-32.
Kim, D.H., Choi, H.C., Lee, J.W., Ryu, G.J., Kim, S.B., Kim, K.W., Nam, H.W., Lee, M.G. (2011) Aerodynamic and Structural Design of 6kW Class Vertical-Axis Wind Turbine, Journal of Fluid Machinery, 14(2), pp.52-5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