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영화의 지성화 과정에 관한 연구 : 1988~2007년까지의 인쇄매체에 나타난 영화담론을 중심으로
Intellectualization of Film genre in Korea: the case of Film discourse From 1988 to 2007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2, 2013년, pp.88 - 99  

김정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1987년 영화의 자율화 정책 이후 인쇄 매체에서 생산된 담론 분석을 통하여 영화의 사회적 위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 이론을 원용하여 영화의 사회적인 위상의 변화를 전문적인 영역과 대중적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시기는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전문적인 영역은 '영화학 관련 석 박사 논문'과 대표적인 영화학 학술지 "영화연구"(1989~2007)를 통해서 알아보았고, 대중적인 영역은 '영화관련 단행본'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영화를 분석하는 틀이 전문화 다양화 되어 영화 장 내부의 상징자본이 축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영화의 지성화 과정에서 영화를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논리와 산업과 정책적인 측면으로 접근하는 논리 간의 역학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sidered the transition of changes in social status of the film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of printed media, having been published since 6th revised film policy in 1987. For the purpose, Pierre Bourdieu's cultural sociology, or 'Field theory approach' was engaged as a theoretical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비영리 출판 형식을 가지고 영화영상학회의 학회지나 학위 논문이 이에 속한다. 둘째,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배포되고 영화와 관련하여 대중적인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문과 잡지에서 소개되는 영화관련 기사나 인터넷에서 공유되는 다양한 글들이 이에 해당한다.
  • 한 사회 내에서 영화 담론은 단순히 언어적인 배열이나 빈도의 증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정치적, 산업적인 동력과의 역학 속에서 생산된다. 따라서 분석 시기 영화의 위상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프랑스의 사회학자인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적인 관점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위에서 언급한 연구대상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영화의 지성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1987~2007년까지 생산된 영화담론 중 학계와 단행본 시장에서의 논의가 어떻게 영화의 지성화에 기여하였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이 이론에서는 한 사회 내에서 존재하는 문화적인 생산물의 물리적인 측면(문학, 미술, 영화 등)뿐만 아니라, 상징적인 측면(비평, 연구, 저술 등)을 중요한 사회적인 구성물로 간주한다. 이 논문에서 영화 담론은 이러한 상징적인 생산으로 간주하여, 영화를 문화적으로 정당화 하는 요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 이 논문은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영화가 지닌 사회적 위상변화를 ‘영화의 지성화’라는 주제 아래 탐색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1987년 영화법 개정 이후 한국 사회에서 영화가 문화적으로 정당화 되는 과정을 영화담론의 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영화는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영화 장르의 지성화 과정을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영화가 사회적으로 유의미한 문화로서 승인되어 가는 과정을 학계와 출판(단행본)시장에서 생산된 영화담론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전문적인 영역에서 영화담론은 제한적인 생산의 장으로 소수의 전문적 연구자들의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이 장에서 생산되는 영화담론과 영화 관련학회의 증가는 영화를 학문적인 대상으로 탐구하고, 논의하는 실천들이 자연스러워졌음을 의미한다.
  • 첫째, 영화의 전문적인 담론을 살펴보기 위하여 영화학 관련의 석사, 박사 학위 논문과 영상(영화)관련 학술지에서 영화관련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았다. 영화가 가지고 있는 ‘스토리, 시청각적 요인, 장르적 속성’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학문적인 영역에서도 산업적, 미학적, 예술적 관심들이 늘어났다.
  • 이 논문은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영화가 지닌 사회적 위상변화를 ‘영화의 지성화’라는 주제 아래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영화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계기를 하나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 과정을 영화담론의 추이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한 사회 내에서 영화 담론은 단순히 언어적인 배열이나 빈도의 증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정치적, 산업적인 동력과의 역학 속에서 생산된다.

가설 설정

  • 이론 소개와 분석을 통해 게재된 논문은 65건이다. 이 유목은 영화라는 텍스트를 하나의 유의미한 분석과 해석 가능한 생산물로 가정하고 있다. 이 유목의 점진적인 증가는 영화를 학문적인 문화생산물로 정당화되고 있음을 반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학문적 조류에 의해 딱딱한 사회과학보다 무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는가? 한편 동구권의 몰락과 같이 이념적인 대립이 무너지면서 이론적인 토대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학계 전반에 사회과학적인 연구의 중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학문적 조류가 형성되면서 딱딱한 사회과학보다 영화나 음악, 패션과 취미와 같은 문화적인 대상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한국에서 영화가 수입된 이래 학문적인 관심이나 전문가들의 연구는 고사하고, 대중의 문화적 인정조차 받지 못한 상황에서 불과 20여 년 동안 영화는 예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된 것이다.
현재 영화는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데, 독해하는 주체와 분석하는 이론으로는 무엇들이 있는가? 현재 영화는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영화를 독해하는 주체에 따라 ‘뇌과학자, 심리학자, 미학자, 철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영화를 분석하는 이론으로 ‘정신분석, 패미니즘, 작가주의, 장르분석’등 여러 가지가 혼용되고 있다. 영화가 전문 연구자나 평론가, 이론가들에게 독해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여러 이론으로 분석되고 있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특정한 문화 생산물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와 이를 수용하는 독자들이 많아졌음을 전제하는 것이고, 영화 자체의 사회적 위상도 예전과 달리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영화가 여러 이론으로 분석되고 있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영화를 독해하는 주체에 따라 ‘뇌과학자, 심리학자, 미학자, 철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영화를 분석하는 이론으로 ‘정신분석, 패미니즘, 작가주의, 장르분석’등 여러 가지가 혼용되고 있다. 영화가 전문 연구자나 평론가, 이론가들에게 독해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여러 이론으로 분석되고 있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특정한 문화 생산물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와 이를 수용하는 독자들이 많아졌음을 전제하는 것이고, 영화 자체의 사회적 위상도 예전과 달리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파트리스 보네위츠, 문경자 역,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동문선, 2000. 

  2. P. Bourdieu and R. Johnson trans,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Florida: Polity Books, pp.120-121, 1993. 

  3. http://cesi.kedi.re.kr/ 

  4. 박기웅, 조정연, "현대소비사회에서의 취향과 유행의 상관성과 대중문화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65-175, 2010. 

  5. 피에르 부르디, 하태환 역, 예술의 규칙, 동문선, 2006. 

  6. J. Blewitt, "Film, Ideology and Bourdieu's Critique of Public Taste," British J. of Aesthetics, Vol.33, No.4, pp.367-372, 1993. 

  7. 이상길, "학술번역과 지식수용, 혹은 "이론은 어 떻게 여행하는가?" : 피에르 부르디외의 경우", 언론과 사회, 제19권, 제4호, pp.232-289, 2011. 

  8.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 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4권, 제3호, pp.106-145, 2006. 

  9. 유지나, 한국영화사 공부: 1980-1997, 이채,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