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막 형성 Bacillus cereus에 대한 유기산, 에탄올 및 NaCl의 제어효과
Biocontrol of Biofilm-forming Bacillus cereus by Using Organic Acid, Ethanol, and Sodium Chlorid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3년, pp.120 - 125  

이영덕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유혜림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박종현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B. cereus의 biofilm 형성 조건을 확인한 결과 3시간 이후부터 부착하여 48시간에 biofilm이 많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biofilm 형성 B. cereus의 제어를 위해 에탄올, NaCl, 유기산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1% 젖산, 아세트산, 구연산을 30분 처리하였을 때 약 5-6 log CFU/g-glass wool 수준 감소하여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20% 에탄올과 각각의 1% 유기산, 20% 에탄올과 10% NaCl의 두 가지를 혼합 처리의 경우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저감화 효과가 우수했으며, 20% 에탄올과 10% NaCl 및 각각의 1% 유기산을 1-5분 동안 혼합 처리 했을 때 약 7-8 log CFU/g-glass wool 수준이 감소하여 biofilm 형성 B. cereus의 제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기산, 에탄올, NaCl 복합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biofilm 형성 B. cereus의 저감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poisoning by Bacillus cereus is one of the common food-borne diseases and B. cereus is widely distributed in natural and commercial products owing to the strong resistance caused by biofilm or spore. The ethanol, NaCl, and organic acids of acetic acid, citric acid, and lactic acid for biocon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 cereus의 biofilm을 glass wool에서 형성을 확인하고 젖산, 아세트산, 구연산 등의 유기산과 에탄올 및 NaCl 단독 처리를 통해 biofilm 형성 B. cereus에 대한 저감화 효과와 이들에 대한 혼합 처리를 통해 제어 상승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산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원리는? 젖산, 아세트산, 구연산 등의 유기산은 일반적으로 generally recognized as safe(GRAS)로서 다양한 식품 분야, 의학 분야, 화장품 산업, 기타 산업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품 안전을 위한 위생처리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비해리된 유기산이 이온화되면서 세포내 pH를 변화시키거나 세포막의 투과도에 영향을 미쳐 기질 이동을 방해하거나 전자 전달 체계에 문제를 야기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킨다 (19). Arias-Moliz 등은 젖산을 이용해 biofilm 형성 enterococci에 대한 제거 효과를 연구한 결과, 고농도(10-20%) 젖산으로 1분 동안 처리했을 때 완전히 제거가 가능하다고 보고하였으며(28), Ban 등(7)은 단독으로 2% 젖산 처리를 통해 약 1-2 log CFU/coupon 효과적으로 제어가 가능했다고 보고하였다(7).
생물막 제거를 위한 물리적인 처리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생물막 제거를 위해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 적으로 물리적인 처리 방법으로는 scrubber 이용, electric fields, 고압 세척, 초음파, 스팀 처리를 하며, 생물학적 처리로는 bacteriophage, depolymerase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7-9). 또한 화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기존에 세균의 제거에 많이 응용 되던 차아염소산, 4가 암모늄염, 염소수, 전해수, 과산화수소, 알코올계 살균제 등이 보고되고 있다(10,11).
Bacillus cereus이 분비하는 독소는? B. cereus의 경우, Gram 양성 세균으로서 구토 유발 독소(emetic toxin) 또는 설사 독소(diarrheal toxin) 등의 다양한 독소를 분비하여 식중독을 유발시킨다(1). 그리고, 일반적인 세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포자를 형성하여 오랜 기간 살아남을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Granum PE. Bacillus cereus and its toxins. J. Appl. Microbiol. 76: 61S-66S (1994) 

  2. Wijman JG, De Leeuw PP, Moezelaar R, Zwietering MH, Abee T. Air-liquid interface biofilms of Bacillus cereus: Formation, sporulation, and dispersion. Appl. Environ. Microb. 73: 1481- 1488 (2007) 

  3. Costerton JW, Cheng KJ, Geesey GG, Ladd TI, Nickel JC, Dasgupta M, Marrie TJ. Bacterial biofilms in nature and disease. Annu. Rev. Microbiol. 41: 435-664 (1987) 

  4. Nickel JC, Costerton JW, McLean RJ, Olson M. Bacterial biofilms: Influence on the pathogenesis, diagnosis, and treat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s. J. Antimicrob. Chemoth. 33: 31-41 (1994) 

  5. Srinivasan R, Stewart PS, Griebe T, Chen CI, Xu X. Biofilm parameters influencing biocide efficacy. Biotechnol. Bioeng. 20: 553-560 (1995) 

  6. Abushelaibi AA, Al Shamsi MS, Afifi HS. Use of antimicrobial agents in food processing systems. Recent Pat. Food Nutr. Agric. 1: 2-7 (2012) 

  7. Ban GH, Park SH, Kim SO, Ryu S, Kang DH. Synergistic effect of steam and lactic acid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biofilms on polyvinyl chloride and stainless steel. Int. J. Food Microbiol. 157: 218-223 (2012) 

  8. Meyer B. Approaches to prevention, removal, and killing of biofilms. Int. Biodeter. Biodegr. 51: 249-253 (2003) 

  9. Gibson H, Taylor JH, Hall KE, Holah JT. Effectiveness of cleaning techniques used in the food industry in terms of the removal of bacterial biofilms. J. Appl. Microbiol. 87: 41-48 (1999) 

  10. Sutherland IW, Hughes KA, Skillman LC, Tait K. The interaction of phage and biofilms. FEMS Microbiol. Lett. 12: 1-6 (2004) 

  11. Musk DJ, Hergenrother PJ. Chemical countermeasure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iofilms: effective compounds and promising targets. Curr. Med. Chem. 13: 2163-77 (2006) 

  12. Leistner L. Basic aspects of food preservation by hurdle technology. Int. J. Food Microbiol. 55: 181-186 (2000) 

  13. Oosthuizen MC, Steyn B, Lindsay D, Brzel VS, von Holy A. Novel method for the proteomic investigation of a dairy-associated Bacillus cereus biofilm. FEMS Microbiol. Lett. 1: 47-51 (2001) 

  14. Karunakaran E, Biggs CA. Mechanisms of Bacillus cereus biofilm formation: An investigati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 surfaces and extracellular proteins. Appl. Microbiol. Biot. 89: 1161-1175 (2011) 

  15. Djordjevic D, Wiedmann M, McLandsborough LA. Microtiter plate assay for assessment of Listeria monocytogenes biofilm formation. Appl. Environ. Microb. 68: 2950-2958 (2002) 

  16. Sauer K, Camper AK. Characterization of phenotypic changes in Pseudomonas putida in response to surface-associated growth. J. Bacteriol. 183: 6579-6589 (2001) 

  17. Williams DL, Costerton JW. Using biofilms as initial inocula in animal models of biofilm-related infections. J. Biomed. Mater. Res. B 100: 1163-1169 (2012) 

  18. Coenye T, Nelis HJ. In vitro and in vivo model systems to study microbial biofilm formation. J. Microbiol. Meth. 83: 89-105 (2010) 

  19. Jung DH. Control of Food-borne Microorganism. Daekwang Book, Seoul, Korea. pp. 296-304 (2001) 

  20. Kubota H, Senda S, Nomura N, Tokuda H, Uchiyama H. Biofilm form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resistance to environmental stress. J. Biosci. Bioeng. 106: 381-386 (2008) 

  21. Balestrino D, Souweine B, Charbonnel N, Lautrette A, Aumeran C, Traor O, Forestier C. Eradication of microorganisms embedded in biofilm by an ethanol-based catheter lock solution. Nephrol. Dial. Transpl. 24: 3204-3209 (2009) 

  22. Presterl E, Suchomel M, Eder M, Reichmann S, Lassnigg A, Graninger W, Rotter M. Effects of alcohols, povidone-iodine, and hydrogen peroxide on biofilms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J. Antimicrob. Chemoth. 60: 417-420 (2007) 

  23. Nett JE, Guite KM, Ringeisen A, Holoyda KA, Andes DR. Reduced biocide susceptibility in Candida albicans biofilms. Antimicrob. Agents Chemoth. 52: 3411-3413 (2008) 

  24. Wijnker JJ, Koop G, Lipman LJ.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alt (NaCl) used for the preservation of natural casings. Food Microbiol. 23: 657-662 (2006) 

  25. Xu H, Zou Y, Lee HY, Ahn J. Effect of NaCl on the biofilm formation by foodborne pathogens. J. Food Sci. 75: M580-M585 (2010) 

  26. van der Waal SV, Jiang LM, de Soet JJ, van der Sluis LW, Wesselink PR, Crielaard W.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sorbate: A synergistic combination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biofilms: An in vitro study. Eur. J. Oral Sci. 120: 452-457 (2012) 

  27. Lim Y, Jana M, Luong TT, Lee CY. Control of glucose- and NaCl-induced biofilm formation by rbf in Staphylococcus aureus. J. Bacteriol. 186: 722-729 (2004) 

  28. Arias-Moliz MT, Baca P, Ordez-Becerra S, Gonzlez-Rodrguez MP, Ferrer-Luque CM. Eradication of enterococci biofilms by lactic acid alone and combined with chlorhexidine and cetrimid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1: e902-e906 (2012) 

  29. Hansson C, Faergemann J. The effect of antiseptic solutions on microorganisms in venous leg ulcers. Acta Derm.-Venereol. 75: 31-33 (1995) 

  30. Akiyama H, Yamasaki O, Tada J, Arata J. Effects of acetic acid on biofilms formed by Staphylococcus aureus. Arch. Dermatol. Res. 291: 570-573 (1999) 

  31. Tsai YP, Pai TY, Hsin JY, Wan TJ. Biofilm bacteria inactivation by citric acid and resuspension evaluations for drinking water production systems. Water Sci. Technol. 48: 463-472 (2003) 

  32. Barbosa-Canovas GV, Pothakamury UR, Palou E, Swanson BG. Nonthermal Preservation of Food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p. 276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