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수행성과 평가도구의 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BIM Performance Assessment Tool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1 no.1, 2013년, pp.53 - 62  

강태욱 (ICT Convergence Lab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원종성 (Construction IT Lab of Yonsei University) ,  이강 (Construction IT Lab of Yonse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M 성과평가란 건설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했을 때, 개별적인 BIM 프로젝트로부터 얻어진 긍정적인 효과(예: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생산성 향상 등)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BIM 성과평가도구가 국내에서 어떤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BIM 전문가 자문을 통해 BIM 성과평가도구의 개발목적, 특성, 문제점에 대한 질의 항목을 도출하고, 4차에 걸쳐 실무자에게 설문을 배포, 회수 하였다. 회수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분야, 경력에 따른 각 항목들의 시각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야, 경력에 따라 BIM성과평가도구의 개발목적, 특성, 문제점에 대해 유의미한 관점 차이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BIM평가도구 개발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BIM performance assessment tool. To do this, a series of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IM experts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objective, characteristic, potential problems of a BIM performance assessment tool.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CMM모델은 BIM 도입 가이드라인과 BIM이 도입된 프로젝트를 평가할 수 있는 양식을 동시에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BIM 도입 및 향후 BIM 도입 시 추가적인 개선을 이루고자 하였다.
  • BIM Proficiency Matrix에 의하여 평가된 총점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분류되며. NIBS에서 개발한 BIM I-CMM과 같이 BIM 도입 가이드라인과 BIM 이 도입된 프로젝트를 평가할 수 있는 양식을 동시에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BIM 도입 및 향후 BIM 도입 시 추가적인 개선을 이루고자 하였다. 하지만 32개의 평가항목은 별도의 평가 기준이 없어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고, BIM I-CMM과 같이 일부 지역의 특성을 보여주는 평가항목이 있고, 프로젝트의 특성이나 도입 목적에 따른 평가항목의 변화가 없어 도구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 본 연구에서는 BIM 성과평가도구를 건설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했을 때, 개별적인 BIM 프로젝트로부터 얻어진 긍정적인 효과(예: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생산성 향상 등)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국한하여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향후 BIM 성과평가도구 개발의 방향성 도출을 위하여 BIM 성과평가도구의 목적 및 특성, 기존의 BIM 성과평가도구의 문제점 또는 우려사항에 대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개발된 기존의 BIM성과평가도구의 특징을 비교검토하고, 이러한 평가도구가 한국 건설 환경에 맞도록 개발 또는 수정되기 위해서는 어떤 방향으로 개발이 되어야 하는 지, BIM성과평가도구의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다른 접근으로 BIM 모델을 개발하거나 외부에서 BIM 모델을 평가할 때 필요한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연구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BIM 성과평가도구의 개발 방향성 도출을 위하여 대표적인 BIM 성숙도 측정 도구인 BIM I-CMM, BPM(BIM Proficiency Matrix), bimSCORE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 I-CMM은 무엇인가? 미국의 NIBS(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 FIC(Faculty Information Council)에서 BIM 도입 가이드라인인 NBIMS(Na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tandards)와 함께 2007년 개발된 가장 대표적인 BIM 성숙도 측정 도구로서, 소프트웨어 공학의 CMM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이후에 개발된 다수의 성숙도 측정 도구 또는 성과평가 도구는 이 모델을 기본 프레임으로 참고하고 있다.
BIM 성과평가란 무엇인가? BIM 성과평가란 건설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했을 때, 개별적인 BIM 프로젝트로부터 얻어진 긍정적인 효과(예: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생산성 향상 등)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BIM 성과평가도구가 국내에서 어떤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BIM 전문가 자문을 통해 BIM 성과평가도구의 개발목적, 특성, 문제점에 대한 질의 항목을 도출하고, 4차에 걸쳐 실무자에게 설문을 배포, 회수 하였다.
I-CMM모델의 평가영역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 모델은 총 11개의 평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을 10 단계로 나누어 평가자가 평가할수 있도록 단계별 수준을 정의하였다. 11개 평가영역은 자료의 풍부함, 전생애주기 차원의 정보활용 영역, 역할, 변경관리, 비즈니스 프로세스, 적시성, 그래픽 정보, 발주방법, 공간관리, 정보의 정확성, 호환성이다. 총점에 따라 BIM 도입 성숙도가 평가 되어 등급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07년 USACE(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가 그들이 수행한 BIM 프로젝트의 성숙도를 평가하였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rgs, R, 2009, BIM success forecasters by Gobar. Paper presentation at Kick-off Meeting TNO BIM Quickfscan. Utrecht, Netherlands. 

  2. Berlo, L. v.; T. Dijkmans, H; Hendriks, D; Spekkink and W. Pel, 2012. BIM QuickScan: benchmark of BIM performance in the Netherlands. Proceedings of the CIB W78 2012: 29th International Conference, Beirut, Lebanon. 

  3. bimSCORE, 2011. bimSCORE, http://www.bimscore.com/index.php/welcome. 

  4. Chung, J. K; Kim, Y. S, 2012, Analysis of Core Ability of BIM Manag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1):175-182. 

  5. Indiana University Architect's Office, 2009, IU BIM Proficiency Matrix, Indiana University Architect's Office. 

  6. Jin, H. C; Park, T. O, 2004, An Analysis of Education Programs for Spatial Information System,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97-105. 

  7. Kam, C; Rinella, T, 2012, The BIM Scorecard-finding your formula for successful commissioning with BIM. AABC Commissioning 8th Annual Conference Total Building Commissioning. Las Vegas, NV, USA, bimSCORE. 

  8. Kang, L. S; Kim, H. S; Moon, H. S; Kim, C. H; Kim, D. W, 2011,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nstruction IT Tool based on BSC, The Korea Society For Railway 

  9. Kang, T. W; Hong, C. H; Hwang, J. R; Choi, H. S, 2012, The External BIM Reference Model Suggestion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5):91-98. 

  10. Lee, J. H, 2009, Development of BIM capability evaluation model for design organization, Iwha University. 

  11. Lee, J. H; Yi J. S, 2011, A Study on BIM Capability Evaluation for Design Organiz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6): 257-266. 

  12. McCuen, T; Suermann, M. P, 2007, The Interactive Capability Maturity Model and 2007 AIA TAP BIM Award Winners, 33, http://www.aecbytes.com/viewpoint/2007/issue_33.html. 

  13. McCuen, T. L, 2008,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the interactive capability maturity model. Associated Schools of Construction International Proceedings of the 44th Annual Conference, Auburn, Alabama. 

  14. Sebastian, R; Berlo, L. v, 2010, Tool for benchmarking BIM performance of desig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rms in the Netherlands,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Design Management, 6:254-263. 

  15. Succar, B, 2009,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aturity matrix. Handbook of Research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onstruction Informatics: Concepts and Technologies, IGI Global, 65-103. 

  16. Seo, H. C; Oh, J. K; Kim, J. J, 2012,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odel for the Work Environment of the BIM-based Architectural Design Firm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5):95-105. 

  17. Song, M. R; Yoon, S. W; Chin, S. Y, 2011, BSC Based Measurement of Satisfaction Degree For Based BIM Construction Projet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4):117-129. 

  18. University Architect's Office, 2012, BIM Guidelines & Standards for Architects, Engineers, and Contractors, Indiana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