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Mother-Preschool Child Interaction Scal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1, 2013년, pp.59 - 68  

박성희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the self-report Mother-Preschool Child Interaction Scale (MPIS) for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scale was based on item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A methodological study was used to check reliability and validit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발달 특성을 아동 가까이에서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며 아동의 발달을 지속적으로 돕는 사람이므로 아동의 발달과 모아상호작용에 대한 어머니의 자가 보고는 아동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Glascoe,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발달 특성을 반영하고 어머니의 자가 보고를 통해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관찰도구 사용의 번거로움 없이 더 쉽고 간편하게 모아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임상과 지역사회 실무와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다양한 현장에서 모아상호작용의 스크리닝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영유아기에만 집중되어 있던 모아상호작용의 측정 연령을 확대하여 여전히 모아상호작용의 역할이 중요한 학령전기의 모아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 연령 아동의 특성을 반영 하고 아동 어머니의 자가 보고를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모아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 고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도출된 모아상호작용 구성 개념을 바탕으로 34개의 예비 문항을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학령전기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용 모아상호작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어머니 자가 보고형 모아상호작용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모아상호작용 구성 개념은 거의 일치된 결과를 보였으며, 아동 영역에서의 민감성 개념이 심층 면담 결과로 새롭게 도출된 것이 차이점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어머니 자가보고형 모아상호작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아상호작용이란? 모아상호작용이란 어머니와 아동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의미하며, 어머니와 아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아동 발달을 격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서(Park & Bang, 2011), 아동 발달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Grazia, Patrizia, & Antonio, 2010; Song&Choi, 2006).
모아상호작용은 누구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가? 이러한 모아상호작용은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그 중요도가 높다고 생각하여 주로 영유아기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Caughy, Huang, & Lima, 2009), 학령전기 아동은 발달 특성상 행동에 대한 주도성이 발달하여(Erikson, 1959) 주도적으로 상호작용을 이끌 수 있고(Kim, Sim, & Lee, 2005), 인지 능력과 언어 발달이 촉진되어 아동 자신이 느끼는 정서와 감정을 언어로 잘 표현할 수 있으며 부모의 정서와 감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되므로(Kuebli, 1994) 어머니와 서로 주고받는 양방향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Harrist & Waugh, 2002) 영유아와는 다른 양상의 모아상호작용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학령전기의 모아상호작용은 학령기 모아상호 작용의 예측인자이며(Weinfield, Ogawa, & Egeland, 2002), 아동 발달에 중대한 영향요인이므로(Grazia et al.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아상호작용 측정도구의 장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발달 특성을 반영하고 어머니의 자가 보고를 통해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관찰도구 사용의 번거로움 없이 더 쉽고 간편하게 모아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임상과 지역사회 실무와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다양한 현장에서 모아상호작용의 스크리닝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insworth, M. D. (1973). The development of infant-mother attachment. In B. M. Caldwell & H. N. Ricciuti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Vol. 3, pp. 1-94).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Caughy, M. O., Huang, K. Y., & Lima, J. (2009). Patterns of conflict interaction in mother-toddler dyads: Differences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1), 10-20. http://dx.doi.org/10.1007/s10826-008-9201-6 

  3. Chandra, P. S., Bhargavaraman, R. P., Raghunandan, V. N., & Shaligram, D. (2006). Delusions related to infant and their association with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postpartum psychotic disorder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5), 285-288. http://dx.doi.org/10.1007/ s00737-006-0147-7 

  4. Deater-Deckard, K., Pylas, M. V., & Petrill, S. A. (1997). Parent-child interaction system. London, UK: Institute of Psychiatry. 

  5. Downe-Wamboldt, B. (1992).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3(3), 313-321. http:// dx.doi.org/10.1080/07399339209516006 

  6. Egeland, B., Weinfeld, N., Hiester, M., Lawrence, C., Pierce, S., Chippendale, K., et al. (1995). Teaching tasks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7.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Inc. 

  8. Glascoe, F. P. (2003). Parents' evaluation of developmental status: How well do parents' concerns identify children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Clinical Pediatrics, 42(2), 133-138. http://dx.doi.org/10.11 77/00 0992280304200206 

  9. Grazia, A., Patrizia, V., & Antonio, R. (2010). Children's social competence, peer status, and the quality of mother-child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A multidimensional scaling approach. European Psychologist, 15(1), 23-33. 

  10. Harrist, A. W., & Waugh, R. M. (2002). Dyadic synchrony: Its structure and function in children's development. Developmental Review, 22(4), 555-592. 

  11. Kim, J. M., & Mahoney, J. (2009). Parent-child interaction behavior evaluation. Seoul: Pakhaksa. 

  12. Kim, J. M., Sim, H. S., & Lee, E. J. (2005). Mother-child interaction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2(3), 35-48. 

  13. Kuebli, J. (1994).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everyday emotions. Young Children, 49(3), 36-47. 

  14. Lee, E. O., 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e, J. I.,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5. NICHD Early Care Research Network. (2006). Infant-mother attachment classification: Risk and protection in relation to changing maternal caregiving qual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2, 38-58. http://dx.doi.org/10.1037/0012-1649.42.1.38 

  16. Park, S. H., & Bang, K. S. (2011). Concept analysis of mother-child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2), 120-126.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2.120 

  17. Parke, R. D. (1978). Parent-infant interaction: Progress, paradigms, and problems. In G. P. Sackett (Ed.), Observing behavior: Vol. 1. theory and applications in mental retardation.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18. Rhee, M. K., Lee, Y. H., Jung, H. Y., Choi, J. H., Kim, S. H., Kim, Y. K., et al. (1995).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2-Korean version (K-BDI): Validity.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4(1), 96-104. 

  19. Song, H. N. (2011). The influence of children's involvement in motherchild interactions on mothers' reactive behaviors: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it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8(4), 19-33. 

  20. Song, H. N., & Choi, K. S. (2006). The influence of children's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n mother-child interaction setting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1), 51-65. 

  21. Suh, E. H. (2010).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8.0: PASW statistics. Paju: Freedom Academy. 

  22.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3. Walker, L. O., & Avant, K. C.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4. Weinfield, N. S., Ogawa, J. R., &Egeland, B. (2002). Predictability of observed mother-child interaction from preschool to middle childhood in a high-risk sample. Child Development, 73(2), 528-543. http://dx.doi. org/10.1111/1467-8624.00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