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de scan sonar 해저면 음향영상을 이용한 동해 궁촌리 북부 연안의 홍수퇴적물 분포
Distribution of Flood Sediment Deposits using the Seafloor Image by Side Scan Sonar near the Northern Coast of Gungchon-ri,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1, 2013년, pp.41 - 50  

이철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정섬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김성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천천 하구 근처에 홍수퇴적물 분포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측면주사소나(side scan sonar) 이미지와 해저퇴적물의 특성을 수심 50 m 이하 연안지역에서 조사하였다. 소나 이미지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 지역의 해저는 기반암, 모래질펄, 홍수퇴적물 분포지역, 3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각 지역의 측면주사소사 이미지의 색상은 아주 검은 색, 비교적 밝은색, 그리고 암회색으로 표시된다. 해저퇴적물은 암회색 지역에서 자갈 33.73%, 모래 62.88%, 실트 3.37%, 점토 0.02%이고, 모래질 펄 지역에서 모래 10.31%, 실트 56.42%, 점토 33.27%로 분석되었다. 특히 암회색 지역의 퇴적물은 다량의 불에 탄 식물 조각편을 포함하고 있어 주변 연안에서 관찰할 수 있는 퇴적물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홍수퇴적물의 분포 형태는 추천천 하구에서 해양으로 해안선에 수직하게 분포하지 않고, 연안을 따라서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구 지역의 연안류의 흐름이 해저퇴적상의 공간적 분포 형태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flood sediment deposits near the mouth of Chucheoncheon (river), side scan sonar images and seafloor sediment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offshore area within about 50 m deep in wat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nar images, the seafloor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국 산불과 홍수의 연이은 발생으로 인하여 엄청난 량의 육상토사 대부분이 주로 추천천을 통하여 바다로 유입되었고, 홍수퇴적물은 표층퇴적물 채취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해저면 음향영상의 분포 형태와 비교해 보는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결과, 퇴적상은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퇴적상(sedimentary facies)은 펄(mud), 모래질 펄 (sandy mud), 펄질 모래(muddy sand), 모래(sand), 모래질 자갈(sandy gravel)의 5개로 구분되었다. 정점 1번과 16번은 모래질 펄 지역이고 정점 2번은 펄질 모래 지역, 나머지 정점 3-15번은 암반 및 모래질 자갈이 분포하고 있다(Fig.
일반적으로 음향측심 기록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1). 일반적으로 음향측심 기록은, 지형의 기복이 없는 지역에서는 안정된 수심단면을 보이지만, 노출암반이 분포하는 지역에서는 반사강도가 크고 단주기 형태의 불규칙한 수심단면으로 나타난다. 해저면 음향영상 기록에서는, 해저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평균입도와 거침도(roughness)에 비례하여 조립질 일수록 음향강도가 높아지며(Clay et al.
본 연구의 결과, 연안에서 외해 쪽으로 갈수록 퇴적상이 어떻게 나타났는가? 1). 연안에서 외해 쪽으로 갈수록 모래와 펄질 모래, 그리고 모래질 펄이 북서남동방향으로 좁고 길게 대상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수심이 낮은 안쪽에서는 주로 펄질 모래 이상의 조립한 퇴적상이며, 수심이 깊은 바깥쪽에서는 주로 모래질 펄 그리고 펄 등의 세립한 퇴적상이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ggs, S.Jr., 2011, Principles of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Pearson, New jersey, USA, 585 p. 

  2. Clay, C.S., Ess, J., and Weisman, I., 1964, Lateral echo sounding of the ocean bottom on the continental ris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69, 3823-3833. 

  3. Folk, R.L. and Ward, W.,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27, 3-26. 

  4. Kim, S.R., Yoo, H.R., Park, G.T., Lee, Y.K., and Ann, C.H., 1987, Digital processing and acoustic backscattering characteristics on the seafloor image by side scan sonar.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2, 143-152. (in Korean) 

  5. Kim, S.R., Park, G.T., and Lee, Y.K., 1994, A study on transmit/receive signal control of the 105 KHz side scan sonar.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SPE 00416-700-5, 75 p. (in Korean) 

  6. Kim, S.R., Park, G.T., Lee, Y.K., Suk, B.C., Choi, D.R., Han, S.J., and Yoo, H.S., 1997, Water depth calculation from side scan sonar data and verification of tow-fish position correction.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9, 91-104. (in Korean) 

  7. Kim, S.R., Woo, H.J., Lee, Y.K., Jeong, K.S., Je, J.G., Park, G.T., Jung, B.H., and Cho, J.H., 2002, Sea-bottom sediments and seafloor acoustic image by side scan sonar on Sindu-ri Offshor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707-721. (in Korean) 

  8. Kim, S.R., Lee, Y.K., Park, G.T., Suk, B.C., and Jung, B.H., 2003, Absolute sonar position on side scan sonar data process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467-476. (in Korean) 

  9. Kim, S.R., 2005, Side scan sonar practice and data processing-from site survey to mosaic mapping. Shortterm lecture textbook,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97 p. (in Korean) 

  10. Kim, S.R., Lee, Y.K., Jung, B.H., and Suk, B.C., 2006, Mosaic method improvement of seafloor acoustic image on side scan sonar data processing. Proceeding in Fall Conference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60-65. (in Korean) 

  11. Malinverno, A., Edwards, M.H., and Ryan, W.B.F., 1990, Processing of SeaMARC swath sonar data. IEEE Journal of Oceanic Engineering, 15, 14-23. 

  12. McKinney, C.M. and Anderson, C.D., 1964, Measurements of backscattering of sound from the ocean bottom.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36, 158-163. 

  13. Nichols, G., 2009,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Wiley-Blackwell, Vancouver, Canada, 419 p. 

  14. Samcheok-si, 2002, Typhoon No 15 Rusa flood damage white paper. Samcheok, Korea, 732 p. (in Korean) 

  15. Triton, 2005, XTF (eXtended Triton Format) files description documents. Triton Imaging Instruments, California, USA, 26 p. 

  16. Wong, H.K. and Cesterman, W.D., 1968, Bottom backscattering near grazing incidence in shallow water.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44, 1713-17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