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전자공학회논문지, v.50 no.3, 2013년, pp.139 - 145
현동일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박영철 (연세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 윤대희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In this paper,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mplitude panning method for a stereophonic panning system are analyzed. We observed that the distortion showed a feedforward comb filter response. As a remedy to this distortion, we propose a stereophonic panning system using a feedback comb filter. T...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3차원 입체 음향 시스템은 무엇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 | 3차원 입체 음향 시스템 (3D audio system)은 청자의 주변에 가상의 음원을 위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음악 뿐 아니라 게임,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왔다. 3차원 입체 음향 시스템은 크게 헤드폰 환경과 스피커 환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폰 환경에서는 가상 음원 이미징 (virtual source imaging)을 위해 머리전달함수 (HRT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렌더링 기법이 사용된다[1]. | |
3차원 입체 음향 시스템 적용 분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3차원 입체 음향 시스템 (3D audio system)은 청자의 주변에 가상의 음원을 위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음악 뿐 아니라 게임,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왔다. 3차원 입체 음향 시스템은 크게 헤드폰 환경과 스피커 환경으로 구분될 수 있다. | |
진폭 패닝(amplitude panning) 기법의 장단점은? |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각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원의 진폭만을 조절함으로써 가상 음원을 이미징하는 기법인 진폭 패닝(amplitude panning) 기법이 있다[3]. 진폭 패닝 기법은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크로스토크로 인한 왜곡으로 인하여 여전히 음상의 방향이 의도된 방향보다 바깥방향으로 인지된다. |
K. C. Foo, M. J. Hawksford, and M. P. Hollier, "Three-dimensional sound localization with multiple loudspeakers using a pair-wise association paradigm and embedded HRTFs," in Proc. 104th Conv. AES, May 1998, preprint 4745.
W. G. Gardner, 3-D audio using loudspeakers, Ph.D. thesi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Mass, USA, 1997.
D. Griesinger, "Stereo and surround panning in practice," in Proc. 112th Conv. AES, May 2002, preprint 5564.
J. C. Bennett, K. Barker, and F. O. Edeko, "A New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Performance," J. Audio Eng. Soc., Vol. 33, pp. 314-321, 1985.
V. Pulkki, "Virtual source positioning using vector base amplitude panning," J. Audio Eng. Soc., Vol. 45, no. 6, pp. 456-466, 1997.
V. Pulkki and M. Karjalainen, "Localization of amplitude-panned virtual sources, part I: Stereophonic panning," J. Audio Eng. Soc., Vol. 49, pp. 739-752, 2001.
J. Blauert. Spatial Hearing. MIT Press, Cambridge, MA, 1983.
B. Gardner, K. Martin "HRTF Measurements of a KEMAR Dummy-Head Microphone," Perceptual computing technical report #280, MIT Media Lab, 1994, http://sound.media.mit.edu/resources/KEMAR.html
S. Kim, D. Kong, and S Jang, "Adaptive Virtual Surround Sound Rendering System for an Arbitrary Listening Position, J. Audio Eng. Soc., Vol. 56, no. 4, pp. 243-254, 2009.
F. L. Wightman and D. J. Kistler, Binaural and Spatial Hearing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Princeton, NJ: Lawrence Erlbaum, ch. 1, pp. 1-23, 1997.
L. Wang, F. Yin, and Z. Chen, "A stereo crosstalk cancellation system based on the commonacoustical pole/zero model," EURASIP J. on advanced in signal Process., vol. 2010, Feb. 2010
Larcher, V., and J.-M. Jot, "Techniques d'interpolation de filtres audio-numeriques. Application a la reproduction spatiale des sons sur ecouteurs," in Proc. the 4th congress of the French Soc. of Acoust., 1997
V. R. Algazi, R. O. Duda, D. M. Thompson, and C. Avendano, "The CIPIC HRTF database," in Proc. of IEEE Workshop on Applications of Signal Processing to Audio and Acoustics, New Paltz, NY, pp. 99-102, Oct. 2001.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