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만 남부지역 사퇴 위에 발달된 dune의 이동
Dune Migration on an Offshore Sand Ridge in the Southern Gyeonggi Bay,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5 no.1, 2013년, pp.51 - 61  

금병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  신동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 January 2006 and September 2007 with multibeam echosounder to investigate the dune shape, migration rate, and bedload transport rate using dune-tracking method on an offshore sand ridge at southern Gyeonggi Bay. The migration rates of dunes range from 1.8 $myr^{-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래파의 파고와 이동률은 겨울철에 가장 빠른 이동률을 보이고 여름철에 가장 느린 이동률을 나타내며 가을철에 가장 높은 파고를 보이는 반면, 봄철에 가장 낮은 파고를 보이는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런 계절적 변화는 조석과 동적점성도(kinematic viscosity)에 의존하는 침강속도(fall velocity)의 감소에 의한 영향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즉, 겨울철의 낮은 수온이 동적점성도를 증가시키고 침강속도를 감소시켜 부유퇴적물의 농도를 증가, 부유퇴적물 이동을 증가시켜 모래파의 파고가 감소하여 이동률이 더 빨라짐을 보였다(Ernstse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베드폼(dune 또는 sand wave; 이하 dune으로 통일)이 존재하며 활발하게 이동하는 모래 퇴적물은 무엇인가? 조석우세환경인 황해 경기만의 표층퇴적물은 자갈에서 뻘까지 다양한 퇴적상을 나타내지만 외해지역는 주로 모래가 우세한 퇴적상(모래, 약자갈질 모래, 자갈질 모래)이 나타나고 있다(금 등 2010a). 이 모래 퇴적물 위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베드폼(dune 또는 sand wave; 이하 dune으로 통일)이 존재하며 활발하게 이동하고 있다(최 등 1992; Chu 2000; 금 등 2010b).
베드폼은 어디에 발달되어 있는가? 해저면에 발달되어 있는 베드폼(bedform)의 형태, 크기 그리고 이동은 지역적으로 복잡한 수역학적 조건(조석, 파랑, 해류 등)하에서 발생된 퇴적물 이동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며(Ernstsen et al. 2005; Buijsman and Ridderinkhof 2008; Van Landeghem et al.
베드폼(bedform)의 형태, 크기 그리고 이동은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가? 해저면에 발달되어 있는 베드폼(bedform)의 형태, 크기 그리고 이동은 지역적으로 복잡한 수역학적 조건(조석, 파랑, 해류 등)하에서 발생된 퇴적물 이동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며(Ernstsen et al. 2005; Buijsman and Ridderinkhof 2008; Van Landeghe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국립해양조사원 (2006) 선갑도분근 연안해역 해저정보조사 결과보고서. 123 p 

  2. 금병철, 신동혁, 정섬규 , 이용국, 오재경 (2010a) 황해 경기만 남부해역에 발달된 층면구조의 형태적 특징과 제어요인. 한국지구과학회지 31(6):608-624 

  3. 금병철, 신동혁 , 정섬규 , 장석, 장남도 , 오재경 (2010b) 경기만 남부에 발달된 해저지형의 형태적 특징 및 해사채취에 의한 변화. Ocean and Polar Res 32(4):337-350 

  4. 김태희, 오희진, 윤용훈 (2004) 경기만 주변 해역의 국지파랑 관측자료 비교. 한국기상학회지 40(4):485-495 

  5. 박문진 (2008) 화옹(남양만) 방조제에 따른 아산만의 조석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4):320-324 

  6. 박준석 (2007) HEM-3D 수치모델을 이용한 경기만 남부지역의 지형변화 양상. 이학석사 학위논문, 인하대학교 59 p 

  7. 방효기, 이치원, 오재경 (1994a) 한반도 서부대륙붕에 발달한 사퇴의 발생기원과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9(3):217-227 

  8. 방효기, 이호영, 장정해, 이치원, 오재경 (1994b). 경기만에 발달한 조류성사퇴의 역사 및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9(3): 278-286 

  9. 손규희, 한경남 (2007) 경기만의 해사채취에 의한 생물군집 구조변경 . Ocean and Polar Res 29(3):205-216 

  10. 오재경, 방기영 (2003) 한강 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 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3):222-236 

  11. 유옥환, 이형곤, 이재학, 김동성 (2006) 경기만에서 해사채취 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Ocean and Polar Res 28(2):129-144 

  12. 장태수, 민건홍, 서영교, 하헌준, 백건하 (2012)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해저수중사구의 층면구조 분석 : 어청도 서부해역. 한국수로학회지 1(1):57-65 

  13. 최동림, 김성렬, 석봉출 , 한상준 (1992) 한반도 황해 중부 태 안반도 근해 사질퇴적물의 이동 . 한국해양학회지 27(1): 66-77 

  14. 환경부 (1999) 해양 환경감시 및 평가기술 -해저층 퇴적물 이동 관측 및 예측기술. 한국해양연구원, BSPN9633800-1000-5, 359 p 

  15. 해양수산부 (2007) 해사채취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연구 (II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GOVP1200810214, 1174 p 

  16. Ashley GM (1990) Classification of large-scale subaqueous bedforms: a new look at an old problem. J Sediment Petrol 60(1):160-172 

  17. Baas JH (1994) A flum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quilibrium morphology of current ripples in very fine sand. Sedimentology 41(2):185-209 

  18. Baas JH (1999) An empirical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equilibrium morphology of current ripples in fine sand. Sedimentology 46(1):123-138 

  19. Bartholdy J, Bartholomae A, Flemming BW (2002) Grain-size control of large compound flow-transverse bedforms in a tidal inlet of the Danish Wadden Sea. Mar Geol 188(3-4):391-413 

  20. Besio G, Blondeaux P, Brocchini M, Vittori G (2004) On the modeling of sand wave migration. J Geophy Res 109(C4): C04018. doi:10.1029/2002JC001622 

  21. Buijsman MC, Ridderinkhof HO (2008) Long-term evolution of sand waves in the marsdiep inlet. II: Relation to hydrodynamics. Continental Shelf Res 28(9):1202-1215 

  22. Chang TS, Kim SP, Yoo DG, Lee SJ, Lee EI (2010) A large mid-channel sand bar in the marcrotidal seaway of Asan Bay, Korea; 30 years of morphologic response to anthropogenic impacts. Geo-Mar Lett 30:15-22 

  23. Chough SK (1983)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Internation Human Resources Developement Coopration, Boston, 157 p 

  24. Chu YS (2000) Sediment dynamics and maintenance processes of linear tidal sand body; Jangan sandbank in the central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40 p 

  25. Ernstsen VB, Noormets R, Winter C, Hebbeln D (2005) Development of subaqueous barchanoid-shaped dunes due to lateral grain size vaiability in a tidal inlet channel of the Danish Wadden Sea. J Geophy Res 110(F4): F04S08. doi:10.1029/2004JF000180 

  26. Ernstsen VB, Noormets R, Winter C, Hebbeln D, Bartholom A, Flemming BW, Barholdy J (2006) Quantification of dune dynamics during a tidal cycle in an inlet channel of the Danish Wadden Sea. Geo-Mar Lett 26(3):151-163. 

  27. Flemming BW (2000) The role of grain size, water depth and flow velocity as scaling factors controlling the size of subaqueous dunes. In: Marine Sandwave Dynamics, Proceeding of an International Workshop, Lille, France, 23 and 24 March 2000, pp 240 

  28. Glenn SM, Grant WD (1987) A suspended sediment stratification correction for combined wave and current flows. J Geophys Res 92(C8):8244-8264 

  29. Hoekstra P, Bell P, Van Santen P, Roode N, Levoy F, Whitehous R (2004) Bedform migration and bedload transport on an intertidal shoal. Cont Shelf Res 24(11): 1249-1269 

  30. Jung WY, Suk BC, Min GH, Lee YK (1998) Sedimentary structure and origin of a mud-cored pseudo-tidal sand ridge, eastern Yellow Sea, Korea. Mar Geol 151(1-4):73- 88 

  31. Knappen MAF (2005) Sandwave migration predictor based on shape information. J Geophy Res 110(F4):F04S11. doi:10.1029/2004JF000195 

  32. Knappen MAF, Van Bergen Henegouw CN, Hu YY (2005) Quantifying bedform migration using multi-beam sonar. Geo-Mar Lett 25(5):306-314 

  33. Kubicki A (2008) Large and very large subaqueous dune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southern Vietnam, South China Sea. Geo-Mar Lett 28(4):229-238 

  34. Lee HJ, Yoon SH (1997) Development of stratigraphy and sediment distribution in the northeastern Yellow Sea during Holocene sea-level rise. J Sediment Res 67(2): 341-349 

  35. Lee HJ, Lee S (2011) Sand Transport offshore the Saemangeum Dike, Midwest Coast of Korea. J Coastal Res 27(1):153- 165 

  36. Lobo FJ, Hernndez-Molina FJ, Somoza L, Rodero J, Maldonado A, Barnolas A (2000) Patterns of bottom current flow deduced from dune asymmetries over the Gulf of Cadiz shelf (southwest Spain). Mar Geol 164(3): 91-117 

  37. McCave IN, Langhorne DN (1982) Sand waves and sediment transport around the end of a tidal sand bank. Sedimentology 29(1):95-110 

  38. Stride AH (1963) Current swept sea floors near the southern half of Great Britain. Q J Geol Soc Lond 119(1-4):175- 197 

  39. Van den Berg JH (1987) Bedform migration and bed-load transport in some rivers and tidal environments. Sedimentology 34(4):681-698 

  40. Van Dijk TAGP, Kleinhans MG (2005) Porcesses controlling the dynamics of compound sand waves in the North Sea, Netherlands. J Geophys Res 110(F4):F04S10. doi:10.1029/2004JF000173 

  41. Van Landeghem KJJ, Wheeler AJ, Mitchell N, Sutton G (2009) Variations in sediment wave dimensions across the tidally dominated Irish Sea, NW Europe. Mar Geol 263(1-4):108-119 

  42. Van Landeghem KJJ, Baas JH, Mitchell NC, Wilcockson D, Wheeler AJ (2012) Reversed sediment wave migration in the Irish Sea, NW Europe: A reappraisal of the validity of geometry-based predictive modelling and assumptions. Mar Geol 295-298:95-112 

  43. Van Rijn LC (1984) Sediment transport, Part I: bedload transport. J Hydraul Eng 110(10):1431-1456 

  44. Venditti JG, Church M, Bennet SJ (2005) On the transition between 2D and 3D dunes. Sedimentology 52(6):1343- 1359 

  45. Wienberg C, Hebbln D (2005) Impact of dumped sediments on subaqueous dunes, outer Weser Estuary, German Bight, southeastern North Sea. Geo-Mar Lett 25(1):43-53 

  46. Xu JP, Wong FL, Kvitdk R, Smith DP, Paull CK (2008) Sandwave migration in Monterey Submarine Canyon, Central California. Mar Geol 248(3-4):193-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