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실태 및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Consumer Consumption Status and Demand of Rice-win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3, 2013년, pp.478 - 486  

김은혜 (한국식품연구원) ,  안병학 (한국식품연구원) ,  이민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실태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4부를 회수하여(회수율 77%) 분석에 이용하였다. 남성과 여성이 각각 67명(43.5%), 87명(56.5%)의 비율이었고, 20대가 74명(48.1%)으로 평균 연령은 31.4세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대가 47명(30.5%)으로 가장 많았고, 주류비를 포함한 월 평균 외식비는 40만원 미만이 97명(63.0%)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약주 섭취 빈도는 월 1~2회(60명, 39.0%)이고, 주로 민속주점(81명, 52.6%)과 한식당(36명, 23.4%)에서 섭취하고, 맛(79명, 51.3%)과 주변의 추천(18명, 11.7%) 등의 이유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주의 만족도는 3.46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불만족 이유로 숙취(55명, 35.7%), 맛(26명, 16.9%), 가격(16명, 10.4%)이라 하여 소비자 불만족 요인 개선을 통한 만족도 증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컨셉 요구도 분석 결과, 쌀류(89명, 57.8%)로 만든 과일 향(78명, 48.7%)과 과일 맛(90명, 58.4%)이 나는 약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약주의 소비촉진 방법으로 약주 브랜드 개발 및 관리(92명, 59.7%)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약주 1병(300 mL)에 대한 가격민감성 측정 결과 무관심가격(IDP)은 약 2,900원으로 약 32% 수준이며, 최저가격점(OPP)은 2,950원으로 나타나 소비자가 수용하는 약주 1병의 가격대는 1,950원~4,800원인 것으로 형성되었다. 약주 제품 속성에 대한 IPA 결과,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영역에 국산원료 사용여부, 구매 용이성, 정보 제공, 외관 속성이 위치하여 이에 따른 유통채널 확대, 홍보 등의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는 약주와 어울리는 음식을 즐기고, 기분전환을 위해, 친목 도모를 위해 약주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도에 알맞은 약주 컨셉 개발과 더불어 소비 실태 및 구매 동기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만족도와 소비 증대를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umer consumption and product concept demands of Korean rice-wine.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April 28, 2010 to May 6 2010, targeted 200 consumers in Seoul and the Gyeonggi-do area.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51.3%) drank rice-wine becaus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실태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요구도에 따른 약주 컨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생산자에게 제공하여 제품 생산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주는 어떤 특징을 갖는 제품인가? 전통주는 넓은 범위의 의미로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원리를 계승·발전시켜 진흥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술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중 약주는 막걸리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류라고 할 수 있다. 약주는 곡류, 곡류 이외의 전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료, 누룩과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 제성한 맑은 술로(5), 최근 소비 트렌드인 건강과 재료 고유의 풍미를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약주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컨셉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원하는 약주의 적정 용량은? 2%)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소비자가 원하는 약주의 적정 용량은 평균 372.94 mL, 적정 알코올 도수는 11.61%로 조사되었다.
전통주의 정의는? 전통주는 넓은 범위의 의미로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원리를 계승·발전시켜 진흥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술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중 약주는 막걸리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류라고 할 수 있다. 약주는 곡류, 곡류 이외의 전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료, 누룩과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 제성한 맑은 술로(5), 최근 소비 트렌드인 건강과 재료 고유의 풍미를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Datamonitor. 2011. Health concerns & alcoholic beverage preferences: Implication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p 1-170. 

  2. Datamonitor. 2012. TrendSights: Sensory fusion. p 1-79. 

  3. Datamonitor. 2012. Premiumization in alcoholic drinks analyzer, by selected category. p 1-2. 

  4. Yeo SH, Jeong YJ. 2010.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 a plan in the Korean Makgeolli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43: 55-64. 

  5.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11. Liquor tax law. Access at July, 10. 2012. Available in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EC%A3%BC%EC%84%B8%EB%B2%95&x32&y15#liBgcolor0. 

  6. Kim HR, Jo SJ, Lee SJ, Ahn BH.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from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51-557. 

  7. Lee SJ, Ahn BH. 2010.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19-123. 

  8. Lee SJ, Kwon YH, Kim HR, Ahn BH. 2007.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Food Science and Biotechnol 16: 374-380. 

  9. Kong MH. Jeong ST, Yeo SH, Choi JH, Choi HS, Han GJ, Jang MS, Chung IM. 2011. Determination of ginseng Yakju quality using different percentages and application dates of ginse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07-214. 

  10. Lee JS, Kim JH, Lee DH, Kim NM, Ahn BH. 2008.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 traditional alcohol beverages and traditional ginseng alcohol beverages. The Korean Ginseng Research and Industry 2: 3-6. 

  11. Lee JO, Kim CJ. 2011. The influence of adding buckwheat sprout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akju. Korean J Food Culture 26: 72-79. 

  12. Jin TY, Lee WG,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13. Lee SJ, Kim EH, Lee HG. 2008. Development of rice wines using Cornus officinali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by antioxidant activity te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1-30. 

  14. Kim YS, Park YS. 2007.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in containing medicinal herb. Food Science and Industry 40: 83-89. 

  15. Shin JH, Choi DJ, Sung NJ. 2004. Nutritional properties of Yakju brewed with natural plants. Korean J Food & Nutr 17: 18-24. 

  16. Kim SJ, Baek JY, Park CK, Kim GW. 2004. Gastroprotective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18-822. 

  17. Lee SJ. 2011. Effect of brand recognition and familiarity on consumer preferences for commercial rice wines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3-29. 

  18. Seo SH, Lee JE. 2009.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compatible with traditional Korean liquors. Korean J Food Culture 24: 1-9. 

  19. Kim YJ, Han YS. 2006.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Korean J Food Culture 21: 31-41. 

  20. Jee JH, Lee HS, Lee JW, Suh DS, Kim HS, Kim KO. 2008.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liking of commercial sojues marke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0-165. 

  21. Yoo KS, Kim JS, Jin Q, Moon JS, Kim MD, Han NS. 2008. 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commercial red win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30-435. 

  22. Kim HB, Cho SE. 2007. Impacts of consumer's lifestyle on the choice attributes of beer.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9: 187-204. 

  23. Guinard JX, Uotani B, Schlich P. 2001. Internal and external mapping of preferences for commercial lager beer: comparison of hedonic ratings by consumers blind versus with knowledge of brand and price. Food Qual Prefer 12: 243-255. 

  24. Bastian SEP, Collins C, Johnson TE. 2010. Understanding consumer preferences for Shiraz wine and Cheddar cheese pairings. Food Qual Prefer 21: 668-678. 

  25. Barreiro-Hurle J, Colombo S, Cantos-Villar E. 2008. Is there a market for functional wine? Consumer preferences and willingness to pay for resveratrol-enriched red wine. Food Qual Prefer 19: 360-371. 

  26. Brentari E, Levaggi R, Zuccolotto P. 2011. Pricing strategies for Italian red wine. Food Qual Prefer 22: 725-732. 

  27. Keown C, Casey M. 1995. Purchasing behaviour in the Northern Ireland wine market. Br Food J 97: 17-20. 

  28. Jaeger SR, Danaher PJ, Brodie RJ. 2009. Wine purchase decisions and consumption behaviours: Insights from a probability sample drawn in Auckland, New Zealand. Food Qual Prefer 20: 312-319. 

  29. Jover AJV, Montes FJL, Fuentes MMF. 2004. Measuring perceptions of quality in food products: the case of red wine. Food Qual Prefer 15: 453-469. 

  30. Saenz-Navajas MP, Campo E, Sutan A, Ballester J, Valentin D. 2013. Perception of wine quality according to extrinsic cues: The case of Burgundy wine consumers. Food Qual Prefer 27: 44-53. 

  31. Lee SJ. 2010.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and perception about Korean yakju in the Gyunggi area of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11-19. 

  32. Lee DP. 2006. Policy issu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e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1(2): 1-9. 

  33. Lewis RS, Shoemaker S. 1997. Price-sensitivity measurement: A tool for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38: 44-54. 

  34. Lee SJ, Kim HA.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price sensitivity fo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university foodservices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area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20-1230. 

  35. Kim HA. 2012.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 perception of coffee shop prices through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82-1189. 

  36. Son MY, Ryu JC, Kim TK. 2009. An analysis of consumers preferences and price sensitivity when purchasing domestic wine. Korean J Food Preserv 16: 17-22. 

  37. Lee MA. 2007. Analysis of foreign customers' price sensitivity on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using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4-130. 

  38. Cho MS, Koh SI, Oh SU. 2007.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food.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2: 265-287. 

  39. Kang HJ, Lee YJ. 2010. A study of importance-performance of wellbeing fusion menu using IPA. The Korean J Culinary Res 16: 77-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